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7

        821.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hundred [(Duroc×Yorkshire)×Landrace] pigs were used in a 117-d growth assay (including four growth stage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actobacillus reuteri on performance of swine, fecal and rectumal microflora and carcass grade. Pig diet was divided tow types, commercial diet (Control group) and supplemention of 0.1% Lactobacillus reuteri (Treatmental group). There was tend to increased in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Feed/gain) in treat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 number of Lactobacilius spp. into rectum and feaces and carcass rate tended to increase in treat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mmonia emission from excreta were decrease by supplemention of 0.1% Lactobacillus reuteri in feed (P
        822.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운영시스템 기술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시스템을 종합관제시스템 운영시스템, 계획시스템, 정보기술 등의 크게 4가지 기능으로 분류하며, 총 19가지 신기술 대안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운영시스템 기술대안에 대해서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기술대안별 중요도와 생산성 향상지수를 추정하고 생산성 향상 평가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생산성 향상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운영시스템 기술 도입에 따른 대안별 기대 생산성을 산출해 보았다 따라서, 새로운 운영시스템의 도입시 기대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823.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earthworm meal (EWM) on the performance of spent laying hens after induced molting,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egg yolks. A total of 90 laying hens at 73 weeks of ag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0% (Control) and 0.2% of EWM for 4 weeks. Eggs were collected and weighted every day and egg production and feed conversion were recorded every wee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were measured at last week of experimental period. An amount of feed intake increased by supplemental with EMW except for first week experimental period (P<0.05). When 76 and 77 week of ag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were improved by the supplemented with EWM (P<0.01), but average egg weight was not different when fed a EWM, therefore feed/egg ma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fed a EWM. The ratio of egg yolk n-6/n-3 fatty acids conten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fed a EMW (P<0.05). It is concluded that supplementing 0.2% of earthworm meal in the spent laying hens after induced molting was fast in recover of physical strength, therefore improves laying performance.
        824.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on performance of broiler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evelopment of natural antibiotic in process of broilers production. A total of 320 broiler chicks at 7 day of age were fed the commercial diet and water, water containing 0 ppm (control), 300 ppm (T1), 600 ppm (T2) and 1000 ppm (T3) of extracts from rhus trees for 7 weeks.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improvement by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at 7 to 21 days of age (P<0.05), but amount of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 When 21 to 35 days of age, body weight gain, amount of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 and mortality were almost same results when 7 to 21days of age,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35 to 49 days of age, body weight gain in T1 and T3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P<0.05), also feed conversion ratio was improve by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There was a decrease in the microflora population of both E coli. and salmonella in the cecum contents and feaces in broilers by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Emission of ammonia and VFA gas from excret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5 to 10 days of storaged period (P<0.05).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fat, and crude ash of feed were tend to increased in broiler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of feed in broiler three treatmental group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a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eding extracts from rhus trees of 300 to 1000 ppm of broiler production were improvement in the body weight gain, feed conversion ratio, and mortality due to increasing nutrients digestibility from feed, decreasing of microflora population of both E coli. and salmonella in the cecum contents and feaces, decreasing emission of ammonia and VFA gas from excreta.
        825.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당귀는 우리 나라는 참당귀 (Angelica gigas), 중국은 중국당귀 (A. sinensis) , 일본은 일당귀 (A.acutiloba)를 각각 같은 용도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일당귀는 과거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재배되고 있으며, 중국당귀는 ‘97년 이후 종자를 도입하여 재배하였으나 실패하여 농가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들 종의 생산성과 중국당귀의 국내 적응성을 수원 (해발 50 m), 진부 (해발 500 m), 태백 (해발 700 m) 3개지역에서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당귀, 일당귀는 3개 지역 모두 정상적으로 생육되고 수확이 되었다. 2. 중국당귀의 생존율은 테백 70.3%, 진부 45.2%, 수원 4%로 수원에서는 7월 이후 고온기에 고사되었다. 3. 중국당귀의 10a당 수량은 태백 160 kg, 진부 127 kg, 수원 8 kg으로 태백, 진부에서는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수량이 극히 낮았으며, 수원에서는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4. 중국당귀는 해발 500 m 이하에서는 생존율이 극히 낮으며, 해발 700 m 이상의 높은 지역에서는 생존은 가능하나 생산성이 낮아 국내생산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826.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s 함량에 미치는 elicitor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chitosan처리구의 생장량은 10 mg/L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ginsenosides의 함량은 5 mg/L처리농도에서 14.48 mg/g . DW로 대조구에 비해 약9%의 함량증대를 가져왔다. 세포내에서 이차대사계를 활성화시키는 중간 신호전달 물질(signal transducer)로 알려진 jasmonic acid를 인삼 부정근 배양에 처리한 결과 부정근의 생장량은 10 uM 처리구에서 ginsenosides함량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인삼 부정근의 생장은 다소 억제되었다.
        827.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치광이풀의 모상근 뱌양에 의해 의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인 scopolamine과 hyoscyamine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3종의 곰팡이와 1종의 효모 유래의 생물학적 elicitor를 supernatant와 homogenate의 형태로 처리하였다. Elicitor 중 Candida albicans는 supernatant와 homogenate 모두 scopolamin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Fusarium solani의 homogenate와 C. albicans의 supernatant 처리로 hyoscyam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fungus strain도 대조구에 비해 tropane alkaloids의 생산을 다소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C. albicans가 tropane alkaloids 생산에 적합한 elicitor임으로 구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대량배양에 의한 tropane alklaoids 대량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82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유형별로 터미널 배치 형태, 장비 종류 및 규모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평가함으로써 각 터미널 형태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기존의 재래 터미널, ECT 무인 터미널 그리고 Ceres 도크 식 터미널 등 현재 개장 중인 3개 터미널 형태에 대하여 총면적, 안벽길이, 투입 장비 등을 기준으로 생산성을 분석하고, 장비 구입비, 건설비, 인건비 등을 포함하는 총비용을 도출하여 경제성을 평가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와 우리나라의 터미널 운영 환경을 고려하여 각 유형의 도입 타당성을 검토하고, 최적 유형과 유형별 도입 단계를 제시한다.
        829.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 논에서 쌀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년 전남 광양만 간척지에서 토양염분농도별 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조성간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 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 상관이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구성 요소면에서 볼 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830.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지재배방법을 이용하여 감자 상위급종서의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자 경삽플러그묘를 SP2, PP2 2종류의 배지와 5종류의 심지수(폭 1.5cm, 길이 40cm)를 처리한 스치로폼 베드(길이 51×폭 31.5×높이 20cm, 0.032m3 )에 정식, 재배하여 배지의 물리성과 생육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직후 총공극량은 SP2배지와 PP2배지간에 차이가 없이 83-85% 수준이었다. 가비중은 배지별로는 Jeju scoria가 혼용된 SP2배지가 0.27g. mL1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심지수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수확직후 배지내의 수분함유량은 SP2배지보다 PP2배지가 높았으며 심지수간에는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55%에서 70%까지 함량이 많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3. 감자 지상부의 생육형질은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1m2 당 총서중과 괴경평균수량은 SP2배지와 PP2배지 모두 심지수 6개에서 가장 높았다.
        83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활성탄을 토양개량제로 활용하기위한 기초시험으로서 시호의 포트시험을 실시한 결과 시호의 생장은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가 첨가되었을 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분얼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다. 근의 생장과 비대는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 10-30% 첨가되 었을때 주근장과 근직경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시호를 재배할 경우 폐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3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earthworm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feed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120 broiler chicks at 7 days of ag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Control), 0.2% and 0.4% of earthworm meal for 6 weeks. When fed on both starter and finisher diets, the body weight gain and amount of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chicks fed 0.4% of earthworm meal than those fed 0% and 0.2% of earthworm meal.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feed conversion ratio and mortality among the treatments. When fed on both starter and finisher diets,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f feed was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 but crude fat and crude ash digestibilities of feed were tend to increased in chicks fed earthworm me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of feed in chicks fed 0.4% of earthworm meal was significantly(P<0.05) improved as compared with those in 0.2% or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s of 0.4% earthworm meal were effective in improve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of diet resulted improved broiler performance in broiler chicks.
        83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과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구황작물인 토란을 활성탄(Activate Charcoal)을 시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성탄시용에 따른 토란의 생장은 활성탄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엽장이 크고, 엽병속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10%∼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지하부의 생장에서도 활성탄10%∼20%처리가 주당 괴경수가 많고 괴경중이 무거워 양호한 경향이었다. 한편 괴경(槐莖)의 수량과 부산물인 엽병(葉柄)의 수량은 활성탄 10%∼20%처리가 생육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토란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의 효과가 인정되어 앞으로 작물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38.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약용작물인 한약재로 수요가 많고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더덕과 도라지를 폐 활성탄을 사용하여 재배할 경우 생산성 을 높이고 고품질을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의 생장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경장과 경직경이 커서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활성탄 20%가 첨가되었을 때 효과가 인정 되었다. 2. 더덕과 도라지의 개화는 각 처리 공히 90%이상이 개화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활성탄(Activated Charcoal)10%와 20%처리가 각각 95%가 개화되어 개화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근의 생장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 20%첨가되었을 때 주근장과 주근폭이 크고 근의 무게가 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더덕과 도라지를 재배할 경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3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약재로 수요가 많고 꽃이 아름다워 화훼용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황금을 활성탄을 사용하여 분화재배를 실시할 경우 꽃의 수명이 오래가고 수확시 품질이 양호한 한약재를 생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본 시험을 수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황금의 생장은 활성 탄(Activated Charcoal) 30%가 첨가되었을때 경장과 경태가 크고 가지수가 많아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2. 황금의 개화는 각 처리 공히 90%이상이 개화되었다. 3. 수량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 30%첨가되었을 때 생육이 양호하여 근경과 근장이 크고 근중이 무거워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이유는 활성탄 시용에 의한 토양의 보수력과 보비력이 양호하여 물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보다 더 낮은 농도나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황금을 재배할 경우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효과가 인정되어 약초의 종류에 따른 농도별 시험이 계속적으로 이 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