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선은 해상에서 발생한 화재와 같은 사고로 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작된 특수선이다. 이러한 소방선의 조작 능력 은 불의에 발생한 해상 사고에 대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대처 능력과 직결된다. 소방선 조작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 다양한 훈 련을 해야 하지만 출항에 따른 비용과 수반되는 위험, 해상의 기상과 시각에 따른 제약 등으로 현실 상황에서는 훈련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적 은 비용으로 제한없이 다양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소방선 훈련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외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소방방재계획상의 특정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에 건립될 대공간 건축물의 소방방재계획 수립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도출코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소방방재설비관련 법규 검토와 국내 3개, 국외 8개의 대규모 실내경기장을 대상으로 화재감지설비 소화설비 배연설비 피난계획 적용현황을 조사하여 대공간의 소방방재시스템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규모 실내경기장의 화재감지설비는 공간특성에 적합한 적외선화재감지기, 염감지기 등이 유력한 화재감지설비로 사용되며, 소화설비는 건식살수설비, 방수총소화설비 등이 채택되었으며 배연에서는 축연시스템이 적극 활용됨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has set up the fire protection and early suppression plan for Asan Oeam folk village which is composed of traditional wooden building instinct or compl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require attentive considerations about the fire property of the Waga and the straw roofed house. Especially, as the straw roofed house has property that the transfer and development of the fire is fast. Therefore we studied on the transferring possibilities of the fire dangerous instinct through measuring the distance from of the eaves edge and trees in neighboring house. 2. This research proposes the tools for the priority protective building through consideration of fire risk and cultural priority because the fire prevention for all is impossible at the same time. 3. The most important thing is preserve the cultural identities of traditional folk village in establishing the fire hydrant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Traditional folk village landscape should be considered.
The number of high-rise buildings already constructed and/or being constructed is getting increas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example, Lotte world 2 in seoul and taipei 101 in taiwan, respectively Maintenances of those skyscrapers, especi
At this study, we are developing a possible control system through remote monitoring for fire protection in various chemical factory facilities. It's possible to do real time confirmation of a normal operation presence of the various equipment installed in a chemical factory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t a fire fighting head office, an area fire department and a chemical factory situation room using this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When occurring, abnormal operation is the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which can check this immediately and notify the situation room administrator. After it was tested using developed remote monitoring control system, the remote monitoring for which the internet network was used confirmed possible.
게임의 중독성 및 사행성으로 인한 게임 산업의 부정적인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게임의 부정적인 인식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교육에 적용한 시스템 개발이나 기능성을 부여한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개발 노력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방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분석 및 필수 설계요소 연구를 통해서 기능성 소방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의 발전방안에 대해서 제안 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remote automatic diagnosis and repair system which automatically reads the problems such as "out of order" occurred on equipment at customer's equipment from a remote computer center using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It shows the scheme of the network configurations and features of the system. In addition, a way to implement the overall system, the specific functions of unit, and the operational specifications between the center's computer and customer's computer are also presented.also presented.
In this study, for the assesment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riser pipe with groove joints, in-plane cyclic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pipe installation method suggested by NFPA13 and the allowable side sway of KBC. In addition, elbow and tee, which are weak parts of piping system, were separated and component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목적: 외상성 사건을 자주 경험하는 소방공무원은 상당한 신체 및 심리적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을 뿐만 아니라 PTSD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신체-심리 운동 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의 G 소방서에서 근무 중인 24명의 소방공무원이 참가하였으며, 처치집단(n=12)에 주 2회 매 회기 당 약 2시간가량 마음챙김 기반 신체-심리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하여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삶의 질, 사건 충격 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신체적 증상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하여 매 회기 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프로그램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1주일 뒤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처치집단에서 삶의 심리적 만족도가 높아졌고, PTSD 증상, 심혈관 문제가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의 경우, 크게 다섯 가지 영역-신체 감각, 마음챙김 경험, 심리적 안정, 행동 변화, 심신 일원에 대한 보고가 나타났다. 논의: 마음챙김 기반 신체-심리 운동 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the number of fire stations per radius centered at bridges on the national road route was calculated through GIS based on BMS and POI information. The fire risk could be represented as the number of fire stations nearby bridges. The radius was 5km but could be extended to longer distances. The number of fire station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Gangwon mountain area, and northern part of Gyeongsang area were smaller than those in other districts.
본 연구에서는 초/장대 철도터널 및 철도사고와 관련하여 기존 국내 소방대응체계 및 해외 소방대응체계를 분석하고 Golden time안에 소방관이 신속히 사고현장으로 접근하여 인명 구조 및 소방대응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주목표라 할 수 있다.
국외 선진국에서는 매해 철도사고(도심철도 및 일반철도, 고속철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철도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초장대터널 주변에 화재진압열차를 배치해 두고 있으며 일반 철도 사고발생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Rail road형 특수소방차량이 개발되어 철도인근 소방서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다.
그러나 국내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는 구조적으로 외부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 방벽 및 고가다리에 위치하고 철도터널의 경우 소방법규에 적용을 받지 않아 소방 설비가 미 구축되어 터널내부에서 화재사고발생시 대형인명사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심철도 또한 대부분이 지하에 설치된 초/장대터널 구조로 되어 있어 사고발생시 탈출하는 인원과 농연으로 인한 시야제한, 다양한 장애물로 인하여 외부에서의 소방관의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국외에서처럼 철도 및 철도터널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특수소방차량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노후화된 도심철도에 대한 소방대응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에 관하여 대전지역의 특수성을 전국상황과 대비·파악하기 위하여, 최근 5년 동안의 소방공무원 순직·공상자 현황 및 소방공무원 특수건강검진 자료를 중심으로 대전과 전국을 비교하면서 분석하고 그 개선점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대전소방공무원들의 사고발생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구급분야의 사고발생율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다른 업무보다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들은 앞선 연구자들이 제안한 것들과 많은 부분에서 공감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안전보건 향상은 개인과 조직 전체의 사기진작을 가져오며, 소방 활동의 능률과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소방방재청에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상황개선을 위해 최대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석유화학 산업은 1960년 정부 주도로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시작되었다. 이후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여왔다. 그러나 석유화학산업은 다양한 종류의 공정과 물질이 대량으로 존재하여 그 잠재위험성이 크며, 사고의 발생형태가 화재, 폭발 또는 독성물질의 누출로써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적·물적 손실과 함께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종 사고사례와 통계를 여러 가지 측면으로 위험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울산 석유화학공단의 화재위험성으로부터 손실의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재난의 양상도 변화하였다. 과거에는 재난이 한 가정이나 한 마을의 문제였지만 현대에는 대형건물붕괴나 원자력발전소 파괴 등에 의해 재난 자체가 한 도시는 물론 한 나라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2011년 서울시 우면산 산사태 등에서 보면 재난의 대처에 소방공무원 뿐만 아니라 관련 유관 기관을 비롯해 여러 봉사단체에서도 힘을 보태 주었다. 그 중에서도 전문 재난대응 봉사단체인 의용소방대도 있었다. 의용소방대는 이름만 달리하였을 뿐 과거부터 존재하며 각종 재난의 예방과 복구를 위해 관설소방과 함께 해왔다. 현재는 관설소방의 확대로 인해 그 위상이 줄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대형 재난현장에서 대응과 복구를 통해 피해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규 소방공무원의 두 배가 넘는 조직을 보유하고 있는 의용소방대를 잘 활용하면 점점 대처가 어려워져만 가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의용소방대를 보다 발전시켜야 하기에 우선 의용소방대의 일반적인 사항, 정의, 조직체계, 역할, 특성, 운영에 관해서 먼저 살펴본 다음 우리나라와 외국의 의용소방대 역사를 통해서 그 정신을 다시 한 번 조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응급상황 속에서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현장 활동에 임하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개선 또는 향상시켜 질 좋은 소방서비스를 통해 ‘안전 한국’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먼저 직무와 직무만족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이 ‘국민의 안전’이라는 소방조직의 목표 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직무만족은 조직효과성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을 독립변수로 하는 설문조사의 기본적 설계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령, 직위, 근무경력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구모형 내 독립변수인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선행된 연구들을 조사하였는데, 이 중 Gilmer가 제시한 7가지 직무요인을 소방공무원의 실정에 맞게 자긍심, 금전적인 보상, 근무환경, 직무여건, 소방행정에 대한 이해의 5가지로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직무요인들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재난으로 인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재난대응을 위한 많은 노력을 실시하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의 중복, 상황보고체계 및 부서별·기능별 운영의 이원화, 정보공유 미흡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관리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재난대응 시 일선에서 노력하고 있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재난대응을 위한 통합관리시스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재난관리체계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현재 인력의 부족, 예산의 중복 등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 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이원화된 재난관리체계에 대해 일원화를 실시해야 한다. 현재 재난관리체계상에서 조직, 상황보고, 예산 등의 다양한 부분에서 이원화로 낭비가 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통합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일원화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통합재난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교육·훈련이 강화되어야 한다. 통합재난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의식조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가장 먼저 조직적인 측면이 먼저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전문적인 인력 확보와 그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은 조직의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필요하다. 넷째, 유관기관과의 통합상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최근 발생하는 재난은 한 개의 대응기관으로 대응하기에는 힘든 부분이 많다. 이에 재난 유관기관 담당자의 정기적인 모임으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높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한 공동대응전략 수립, 대응절차 및 매뉴얼 작성 등 세부적인 활동이 요구된다.
화재 현장은 매우 높은 온도 및 습도가 요구되는 장소이며, 또한 소화활동 중에도 폭발 및 붕괴 등의 위험이 상존하는 장소이다. 이러한 극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대원에게 소방진압복은 생명을 담보하는 중요한 장비이며, 이 기초장비의 성능이 화재진압의 성공과 실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유럽 및 미국의 소방진압복의 성능기준과 국내 소방진압복의 성능기준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대륙별 소방진압복의 성능기준을 비교 검토하여 공통시험기준 및 비공통시험기준을 도출하여 소방대원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화재진압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 국내 소방진압복의 시험기준에 화재현장의 환경조건에 필수적인 시험기준(안)을 선정하여 추후 시험기준의 개정 추진시 신규 시험기준(안)을 추가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과거 발생하였던 대형 재난성 산불, 즉 ‘96년 고성산불, ’00년 삼척 등 5개 지역 동해안 산불, ‘05년 양양산불에서 남겨 준 여러 가지 문제 중 소방공무원들의 산불 대응능력 부족의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 소방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산불진압 경험, 교육훈련기관, 자체 및 전문교육기관 교육훈련 이수 현황, 교과과정 등에 관한 실태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산불에 대한 교육훈련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연재해를 비롯한 인적재난 등 방재정보에 대한 관리기관이 상이하고, 일부 보안이 요구되는 재난 정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적시적소의 자료 공유와 활용, 자료의 정확도 및 표준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방재청만의 고유주제도 개발을 위하여 기구축된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및 방재 관련 유관기관 자료에 대하여 자료 정확성 검토 및 수정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시범지역에 대한 방재기본도 및 방재주제도 작성을 위한 정량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구축된 방재기본도 및 방재주제도 자료들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소방방재 지리정보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