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1

        66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편리한 고속도로 유지관리를 위해 주행 중인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장의 노면 포장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손상을 탐지하는 딥러닝 기반의 고속도로 포장 손상 조사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66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교량은 강연선 통해 도입되는 압축력을 이용하는 구조로서 강연선의 긴장력을 당초 의도대로 확보하는 것이 PSC 교량의 안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PSC 교량의 긴장력은 시공 당시부터 사용 중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감소하므로 현재 상태에서 긴장력의 크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강연선의 강 심선을 FBG 광섬유 센서가 내장된 카본섬유 심선으로 대체시킨 스마트 강연선을 개발하고 검증했으며, 이를 실제의 외부 텐던 교량에 적용하여 약 500일 동안 안정적으로 계측을 실시하고 있다.
        66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만㎡이상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지역에 설치된 공동구는 도시계획시설로서 지하매설물(전선로, 수도관, 하수도관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 통합안전관리, 도시미관 개선, 도로구조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기하기 위하여 지중에 설치된 시설물이다. 지하매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부분에서는 효과적이지만 24시간 관리 인력의 투입으로 인한 유지관리 비용 중대로 수용시설물 점용기관의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공동구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해 AI 및 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공동구 시설물을 안전관리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한다.
        666.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 노년층은 노화현상이 현저하게 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건강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를 함께 다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반가정이나 실버타운(Silver Town) 등에서 거주자의 상태를 체크하고, 언제 도래할지 모르는 각종 위급상황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물리적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신 노년층은 은퇴 이후의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업무기회의 상대적 박탈감과 자신만의 업무 공간부족 등으로 인한 소외감을 겪고 있다. 이는 사회적인 큰 손실로 자연적인 노화현상에 따른 각종 인지능력의 저하를 보완하는 제품을 제공해서 이들의 경험과 능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자아실현의 기회를 넓혀줌으로써 사회적 효율을 극대화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Digital Technology)에 기반 한 새로운 주거공간에서 필요로 하는 ICT, IoT 등의 기술융합 과 스마트폰 기능을 가구로 유입한 지능형(Smart) 가구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에 맞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실버세대의 욕구와 경제력은 주목되고 있는 성장가능성 있는 시장으로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지원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각종 신기술이 적용된 가구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신 노년층이 집이나 실버타운 등에서 사용 할 수 있는 하이테크(High-tech)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홈 퍼니처(Smart-home Furniture)’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가구산업 및 가구디자인 발전에 일조(一助)하고자 한다.
        66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고속도로 구조물 점검은 인력위주로 수행중에 있으나, 관리대상 구조물의 급증으로 인력점검의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4차 산업기술(IoT, 드론, AI, 로봇 등)을 활용한 점검로봇 및 점검장비를 개발하여 고속도로 구조물 점검에 활용할 예정이며, 구조물 상태 자동 평가기술을 개발하여 안전점검의 신뢰성 및 효율성을 향상할 예정이다.
        67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agricultural industry has weakened as demand for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has declined due to accelerating market liberalization, aging and shrinking of rural population, and stagnating rural households’ incomes. On the other hand, as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unfolds in earnest, tremendous changes are expected, and those changes won’t be confined to certain industries but would shaken the world we know of entirely. Smart farm, which is one exampl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the future as smart farm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behind it, not the size of arable land, will determine competitiveness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driv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anagerial efficiency. In consideration that John W.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has recently been presente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model in the policy field, this study analyzed problem stream, policy stream, and political strea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mart farm policy, and looked into what role the government played as policy entrepreneur in policy window. The smart farm policy was put on policy agenda by the government and was approved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Smart Farm Plan together with relevant ministries at the 5th Economy-Related Ministers’ Meeting held in April 2018. This suggests that change of the government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political stream, and explicitl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politics in formation of an agricultural policy. In addition, actual outcome of the policy and how policy alternatives that will enhance people’s understanding will support it seem to be the key to success. It also shows that it is important that policy alternatives be determined based on sufficient discussion amongst stakeholders.
        671.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선진국에서는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형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미국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모든 이에게 컴퓨터 과학을(Computer Science for All)’이라는 슬로건을 중심으로 코딩 교육에 적극투자를 하고 있고, 핀란드와 영국은 4-5세의 유아들이 코딩을 배우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2) 하지만 IT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는 최근에서야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2015년에서야 개정된 교과과정에 따라 코딩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이들에게 새로운 언어와 사고법으로 놀면서 코딩 개념을 가르치는 다양한 유아 교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스마트기능이 탑재된 토이형태의 교구들이 학부모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타 교구에 비해 스마트 토이는 고가의 교구인데다 흥미위주로만 만들어진 교구들이 많아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증대시키는 요소와 유아들의 어포던스가 잘 반영된 교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딩교육을 위한 스마트토이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국내 인터넷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스마트 토이를 대상으로 어포던스 요소별로 사례 분석하고 코딩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감각적 어포던스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타 과목에 비해 자신이 직접 만든 장남감이라는 인식이 강해 생명력을 느끼며 흥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물리적 어포던스는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직접 조립하고 연결하는 방식에 대한 흥미는 상대적으로 타 장남감에 비해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67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마트폰 제조사 브랜드들은 매년 새로운 스마트폰이 나올 때 마다 업그레이드된 UI(User Interface)를 선보이며 경쟁사들과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새로운 스마트폰 UI를 통해 목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들을 축척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은 수용자의 자극정도에 따라 인지과정에 중요한 결정 역할을 하며 새로운 경험을 통해 사용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형성하게 되고 사용 후 만족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 만족 및 태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사용자 경험이 브랜드경험을 매개로 사용자 만족과 사용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용자 경험요인인 사용자만족경험, 유용적경험, 디자인만족경험, A/S만족경험 모두 사용자 만족과 사용자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은 브랜드경험을 매개하여 사용자 만족 및 사용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스마트폰 UI설계 시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요인들을 고려한 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용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경험 연구와 마케팅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67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Smartphone shopping malls provid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s including web sites, web design, use convenience, information for products and shopping and various after services. Accordingly, it is needed to expand and classify service qualities based on th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smartphone shopping malls, and then analyze path structur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 customer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qualiti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based on the e-SERVQUAL by Lee(2002) and the SERVQUAL by Parasuraman et al.(1988, 2005), the smartphone shopping malls' service qualities based on service quality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used in the previous use studies, and the Website quality factors of service industry and to analyze path structure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 customer satisfaction → behavioral intention o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confirm the system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s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college students of university located in northeastern of Seoul. It was from December 7 - 15, 2017, and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28 collected. Of them, effective questionnaires used in the final study were a total of 201 except 27 that couldn't be used. In this study, empirical analysis was done wit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istics Package SPSS18.0. Results -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like customer system quality, Web design quality, convenience quality, information-offering quality, service quality, and product quality. Second, it showed that system quality, Web design quality, and information-offering qu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it suggested that quality factor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quality, information-offering quality, system quality and Web design quality. Finally, it showed that customer service quality, product quality, and convenience quality did not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aid that customer satisfaction of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by,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relations between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Meanwhi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rust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above study revealed that smartphone shopping malls' quali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and it was possible to generalize after empirical analysis was made in the path structure. Conclusions - Smartphone shopping mall users consider usefulness of obtaining shopping information and quality on quick and abundant shopping information more important than access environment of smartphone shopping malls and kind services of smartphone shopping mall managers. Thereby, smartphone shopping mall marketers need to take service qualities like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offering quality into more consideration.
        674.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교육 수용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하여 인지된 조직지원, 스마트 교육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태도, 그리고 스마트 교육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417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 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조직 지원은 스마트 교육의 용이성 보다는 유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 교육에 대해 유용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된 영유아 교사일수록 스마트 교육 운영에 대해 적극적인 의도를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영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유용성에 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67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약적인 기술발전으로 인해 빠르게 변모하는 사회는 ICT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 환경에서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TV, PC 그리고 스마트폰 등의 형태로 발전하며 이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GU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ICT환경과 상황에 맞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소비하는 행태를 보이는 것이 콘텐츠 소비 패러다임의 현재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르게 나타나는 GUI 디자인 개발 과정의 다른 점을 기본적으로 인식하고 서로 다른 UI 디자인을 사용자 평가방법을 기반으로 비교 검증하는 점에 초점을 두어 실증 과정을 거쳐 보다 사용자 중심적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평가모델을 구축한 선행연구를 평가모델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TV GUI 디자인의 체감적 문제의식과 개발평가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LCA 다면평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평가요소, 평가유형, 평가방법, 평가척도인 4가지 평가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스마트 TV GUI 구조 현황을 조사 하였다. 이후 스마트 TV GUI 디자인을 DLCA 다면평가에 대입하여 4가지 평가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와 LCA 데이 터를 종합하여 DLCA 다면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마트 TV GUI 디자인 평가에 있어 DLCA 다면평가가 앞으로의 디자인 평가모델로써 기인하는 바를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676.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Y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00명과 부모 239명이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교사와 부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𝑥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부모 모두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유로는 유아에 대한 빠른 정보 교류 및 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의 사용경험여부는 교사와 부모 모두 높았으나 횟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에서 실질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내용은 유아의 활동사진 게시가 가장 높았고, 스마트 앱을 활용한 의사소통에서 가장 중요한 효과는 영유아 정보교류 및 상담이었으며 교사와 부모 간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의 불편한 점, 개선사항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와 부모간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앱을 활용한 알림장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스마트 앱 알림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장단점을 충분히 파악하여 스마트 앱 알림장이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더욱 발전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677.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나아가 자체적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개선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필수적이다. 현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TMS(Tele Me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환경오염 배출 물질을 실시간 감시 중에 있으며, 환경오염 배출 기준치 초과 시에는 예・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환경 배출 물질 초과 발생 시 원인 분석 기능이 없고 특정 측정 장소(굴뚝 상단의 배출구나 특정 수질 측정소 등)에서의 환경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사 문제 혹은 동일한 문제 발생 시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점을 적극 보완하여 개선된 시스템을 기획하며,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사업장 내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조치를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환경 모니터링 및 감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678.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smart training for the effective training of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of compan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smart training introduction and related difficulties and propose concrete activation pla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rough the online survey, we tried to confirm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about smart training. Questionnaires include what are the benefits, expectations, and difficulties of smart training, etc.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1, 2017 to September 4, 2017. A total of 69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s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 found out the cause of inhibition of smart training activation and suggested activation strategies. Results – The main reason for the provision of smart training is the expectation of the training performance and the recognitio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training in a flexible manner. The effectiveness of smart training operation was evaluated as a high level of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raining course and the capacity of training institute. As a result of checking factors that hinders the activation of smart training,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hat the time and cost burden of the training institutes is excessive. The lack of expertise in the design of smart training courses and the burden of employers and trainees. Conclusions – In order to activate smart training, it is necessary to find solutions to the obstacles at the internal or external level of training institutions. The internal barriers to the training organization are lack of internal competence for preparation and course management. In this regard, we need to consider providing consulting, best practices or guidance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operating smart training. On the other hand, as an external obstacle fact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smart training.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strategies that can lead to participation in smart training from the viewpoint of employers and learners.
        679.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근거하여, 혁신의 특성인 상대적 이익,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 복잡성 등이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관련하여 개인 혁신성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경기권 및 강원도 지역의 5개 대학을 선정하고 2017년도 2학기에 이 대학들의 교수학습지원(개발)센터에서 주관한 스마트 기기 활용 교수법 특강에 참여한 교수.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Rogers의 5개 특성 과 수용의도, 개인 혁신성 측정을 위한 척도를 구성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계 수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5개 변인이 혁신의 수용의 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개인 혁신성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이익과 적합 성, 복잡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찰가능성과 시험가능성은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가설에서 기각된 관찰가능성과 시험 가능성을 제외하고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 이익과 복잡성에서만 개인 혁 신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68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속적인 마이크로 콤포넌트 오디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사 제품들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보다 나은 포지션의 오디오 디자인 제품으로 제안하였다. 더욱 발전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블루투스 기능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스마트 오디오 디자인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용성을 개선하여 버튼 레이아웃과 라이팅을 강조하여 편리한 기능의 오디오 디자인 제품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디자인 연구 과정에서는 시장조사에 근거하여 무선 블루투스 기능성과 편리한 사용성을 보여주고 미니멀 디자인 전략(Design Strategy)으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른 디자인 방향(Design Direction)을 선정하였다. 특히 본 디자인 연구에서는 음악을 듣고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버튼의 레이아웃 디자인과 라이팅 칼라를 실용적으로 적용하여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연구하였다. 가운데 볼륨키 주변으로 모든 버튼들을 배치하여 사용성을 중시하여 연구 개발하였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설정된 디자인 전략에 따른 구조를 확정하고 경쟁사 분석을 기획팀과 마케팅 부서와 연계하여 공동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다양한 아이디어 스케치를 전개하였다. 디자인 외형에 관한 논의는 2D/3D 렌더링 회의를 통하여 디자인 의도와 전략의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부서와의 지속적인 회의를 통하여 디자인 수정과정이 진행되었으며 최종안을 선정하여 디자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성과 품위를 높여주는 고급스러움을 기반으로 버튼의 사용성이 개선된 감성 라이팅 스마트 오디오 콤포넌트 디자인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한 오디오 제품의 아이덴티티 가치를 향상하여 디자인 연구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