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4

        2041.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약주의 제조방법중 반숙미를 밑술 담금에 사용하는 양조방법에 대하여 이 방법의 효과를 양조학적인 관점에서 입증해 보기 위한 것이다. 쌀을 여러 온도에서 가열처리한 후 쌀 전분과 쌀 단백질의 가수분해 용이도를 조사하고 전통적인 방문주의 제조방법에 따라 반숙미를 사용하는 양조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60∼65℃에서 반숙된 쌀이 80∼100℃에서 완숙된 쌀보다 당화 및 단백질의 분해가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졌다. 반숙미를 혼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완숙미만 사용한 약주보다 당분, 총아미노산 및 exract의 함량이 2배 정도 더 높았다. 반숙미를 혼용하여 제조한 약주가 완숙미만 사용한 약주보다 관능검사에서 훨씬 좋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이 전통적인 약주류의 제조시에 반숙미를 혼용하는 것은 양조학적인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042.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능력이 높고 향도 좋은 Rhizopus japonicus T2와 밀가루로써 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날밀가루로 누룩을 만들었을 때에는 가열처리 한 밀가루로 만들었을 때보다 당화효소의 생산은 현저하게 높아졌으나 산성 protease의 생산은 감소하였다. 밀가루에 0.5%의 염산을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와 중성 protease의 생산이 감소하였다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에 가장 적합한 급수비율은 밀가루에 대하여 28%이었다. 곰팡이를 접종한 후 즉시 성형을 하는 것보다 10∼20시간 전배양을 한 후에 성형을 하는 것이 당화효소의 생산에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은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의 최적온도도 28℃이었다. 28℃에서 배양할 때에 당화효소 생산을 위하 최적배양시간은 36∼72시간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생산을 위 한 최적배양시간은 36시간이었다.
        4,000원
        2043.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당화효소와 호정화효소의 생산능력이 높고 향도 좋은 Aspergillus oryzae L2와 밀가루로써 누룩을 제조할 때에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밀가루를 가열처리 했을 때에는 날밀가루에 비하여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증가되었으나 당화효소의 생산은 감소되었다. 밀가루에 0.5%의 염산을 함유하는 물을 급수했을 때에는 당화효소와 단백질분해호소의 생산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급수비율은 밀가루에 대하여 28%일 때가 가장 좋았다. 국균을 접종한 후 즉시 성형을 하는 것보다 20시간 전 배양을 한 후에 성형을 하는 것이 당화효소의 생산에 좋았고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은 성형을 하지 않은 것이 좋았다. 당화효소생산의 최적온도는 36℃이었고 단백질분해효소생산의 최적 온도는 28℃이었다.
        4,000원
        2044.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울토마토에 적합한 수경재배방식에 관한 연구 결과, 담액수경에서 주경의 기부직경, 엽장, 엽폭, 화방길이 등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암면재배와 NFT는 유사하였다. 개화시기와 과실의 착색일에 대하여는 각 방식마다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실의 수확량은 담액수경에서 많았다. 건물율, 유기산, 경도, 당도 등은 담액수경에서 낮았고, 당산비와 vitamin C는 높아 담액수경에서 품질이 약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울토마토의 여름재배에서는 담액수경방식이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045.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46.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047.
        199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 난자의 시험관내 수정시 이성체인 1, 2 propanediol과 1, 3 propanediol과의 동결보호제의 이용에 대한 독성효과를 조사하였다. 프랑스에 있는 도축장의 난소에서 채취한 미성숙 난자 212개를 시험관내 성숙과 heparin(10g/ml)첨가에 의한 수정 및 배양을 실시하였다. 소 난자의 시험관내 성숙과 수정시 propanediol의 독성효과를 시험한 결과 1,3 propanediol은 80%의 정상 난할분할율과 5.7%의 낮은 다핵분
        4,000원
        2048.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분장애조건에서 오차드그라스(cv. Potomac) 종자의 발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 6,000(PEG) 및 생장조절제(GA, Kinetin, NAA)를 종자에 전처리하여 0 bar와 -5 bar의 두 수분조건하에서 17일간 발아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처리를 하지 않은 종자는 수분 삼투압 -5bar 조건에서 대조구(0 bar)에 비해 총 발아율은 감소되었으며 평균발아 소요일수와 발아
        4,000원
        2051.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2052.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054.
        199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205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2056.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800원
        2057.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100원
        2058.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분 장애시 목초 발아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삼투압 0, -5 bar 두 수준에서 tall fescue, orchardgrass, Kentucky bluegrass 및 alfalfa의 총 발아율, 발아속도계수를 구하였으며, 누적 발아율의 경시적인 변화를 logistic 및 Weibull 함수를 이용하여 비선형회귀 잔차에 의하여 함수간 비교를 하였고, 각 함수로부터 추정된 계수를 조사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삼투압 수준 -5 bar
        4,000원
        2059.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ulsi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emusifiers and the pressure of homogenizer in coffee whitene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1. To obtain a standard emulsifier, the ratio of mono and diglycerides (Atoms 150), sorbitan monostearate (Span 60) and polyoxylene(20) sorbitan monostearate (Tween 60) was 60 : 20 : 20 and the optimum quantity was about 0.9% for stable emulsion. 2. Characteristics as coffee whitner were markedly improved when the pressure of homogenizer was 200∼250㎏/㎠ and homogenizing times are over 4. 3. The good whitening capacity was showed when fat glouble`s average diameter was under 0.5㎛.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