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11

        263.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양플랫폼의 탑사이드 구조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파이프 연결 구조의 피로 수명 증가를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용해석프로그램인 MSC Patran/Nastran을 적용하였으며, 대표적인 중앙부 구조 형상을 해석 모델로 선정하였다. 하중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8 절점 솔리드 요소를 이용한 모델링을 구현하였다. 주요하중은 횡방향 하중 2가지와 대각선 파이프에 인장 하중을 고려하였다. 주요 위치에서의 Hot spot 응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0.01 mm dummy 쉘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0.5 t와 1.5 t 위치에서의 주응력을 계산한 후 외삽법에 따라 용접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추정하였다. 일부 구간에서는 만족해야 하는 피로 수명 이하로 평가되어, 보강이 필요하였다. 보강은 기존 설계된 파이프의 두께나 지름을 변경하지 않고, 피로 수명이 부족한 부위에 응력집중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브래킷을 추가하였다. 인장 하중에 대해서는 bracket toe에서 응력은 23 % 증가하였고, 기존에 문제가 된 파이프의 내측, 외측에서의 응력은 약 8 % 감소하였다. 휨 하중에 대해서는 bracket toe에서 응력은 3 % 증가하였고, 기존에 문제가 된 파이프의 내측, 외측에서의 응력은 약 48 % 감소하였다. 신규 브래킷 보강으로 인하여, bracket toe의 응력증가 가 발생하였지만, S-N 커브 자체가 파이프 조인트에 비해 좋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국부 보강을 통한 피로 수명 개선 방법은 기존 설계안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피로 수명 증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6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는 선원교대를 지연시키면서 선박과 선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선원의 승선환경에 있어 해운기업과 정부가 놓치고 있는 사각지대는 존재하고 있다. 선원의 안전을 위협하는 비상체제 상황에서 인적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효과적인 교대방안을 구상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직 및 현직 선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승선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안전이었으며 비상체제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임금 및 복지의 향상보다 선원의 원활한 교대방안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국적해운기업의 대륙별 주요 항로를 분석하여 기항 횟수가 많고 항공연계성지수가 높은 항만을 거점항만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국제해운에 승선하는 국내 선원의 효과적인 교대를 위한 이동경로를 구상하였다. 그를 위해 비상 시 선원의 안전한 본국 귀환 및 이송을 위하여 선박과 항만, 항공을 연계한 이동경로 구축은 다른 나라와의 협의가 필수적이다. 또한, 국제해사기구의 협 력을 통해 선원교대의 어려움에 처해있는 선원들을 위해 함께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시작으로 국적 선원이 승선하는 정기선과 부정 기선의 귀항로 및 불귀항로 정보와 선원 수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어 상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체계가 갖추어진다면 비상체제 발생 시 우리나라의 정책 대응방향을 보다 빠르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선원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해운기업의 노력과 더 불어 개정이 필요한 국내법을 검토하고 선원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국민적·사회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4,200원
        265.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삶과 역사의 현장에 편재한 모순대립은 예이츠의 마음속에 비극적 서정 성을 잉태하는 씨앗으로 작동했다. 비극적 서정성은 그가 철학적 사색을 거치면서 ‘비극적 황홀’로 귀결되어 재현되었다. 이를 시에 재현하는 것은 그의 큰 관심사였다. 그 가 강조한 ‘비극적 황홀’은 에드먼드 버크가 주장한 ‘안도감이 수반된 두려움’과 같은 맥락으로 숭고의 다른 이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버크의 숭고의 관념을 예이츠의 다섯 시편에 적용하여 예이츠 시에 재현된 ‘비극적 황홀’의 의미를 확인하면서, 숭고를 논증하는 것이다.
        5,100원
        266.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세의 초로에 접어든 예이츠는 시인으로서의 ‘책임’을 통감하고 1914년 여섯 번째 시집 『책임』을 발행한다. 그는 아일랜드 상원의원으로서 사회적 책임, 일생 동안 사랑했던 모드 곤을 비롯한 주변 인물들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 아름다운 시를 쓰고자 한 시인으로서의 심미학적 책임을 이 시집에서 시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이 시집을 중심으로 전과 후의 시세계가 완전히 달라져서 예이츠 학자들은 이 시집을 매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한다.
        6,600원
        26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 B. 예이츠의 시는 1920년대 이후 중국에 소개되었는데, 그는 아일랜 드의 대표적 시인이다. 그의 시는 중국의 시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특히 나인 리브스파 시인들 중 무 단과 연 게이자에 대한 영향이 크다. 비교연구를 통해서, 본 논문은 무 단은 자신의 시 스타일 형성에 예이츠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연 게이자는 자신의 시이론을 형성하는데 많은 자양분을 흡수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5,500원
        268.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메기 (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 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 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 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 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 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 (THX), 더 넓은 너비 (WX) 및 더 넓은 면적 (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269.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 플러그 육묘 시 품종에 따른 육묘일수와 용기 트레이 종류가 묘소질 및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파 품종은 ‘백암외대파’와 ‘설동한로파’, 육묘일수는 40일, 65일 및 90일, 플러그 셀 종류는 128공, 200공 및 406공을 이용하여 모 생육과 수확 시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육묘 시 모의 생육은 각 품종 별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생육량이 커졌으나, 플러그 트레이 종류에 따라서 406공이 생육량이 낮았다. ‘백암외대파’는 생육 시 생체중에서 모 생육이 좋았던 처리가 후기 생육 시에도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동한로파’는 육묘 시 처리에 의해 분얼수가 증가하였으나 개체 별 생체중이 떨어져 수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플러그묘 정식 후 수량은 두 품종 모두 품종 별 육묘일수에 따른 영향을 받아 65일 육묘가 40일이나 90일보다 상품수량이 높았으며, 육묘용기에 따라서는 406공이 128공이나 200공보다 수량이 낮은 경향을 보여, 플러그 용기는 목적에 따라 선택 범위를 조절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동남아 등 해외에서도 파 육묘 시 국내 플러그 육묘 기술을 활용하면 노동력 절감이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70.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골프 드라이버 스윙 시 운동역학적 변인들이 비거리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신체 건강한 15명의 KPGA 골프 선수들이 참여하였다. 8대의 VICON 모션 캡쳐 카메라(250 Hz), 2대의 지면반력기(1000 Hz), 그리고 Trackman을 이용하여 운동학적 및 운동역학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분석은 Pearson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드라이버 비거리와 볼 스피드, 클럽 헤드 스피드, 엑스 펙터, 그리고 지면반력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스매쉬 팩터와 무릎 토크는 비거리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볼 스피드, 클럽 헤드 스피드, 엑스 펙터, 지면반력은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매쉬 팩터와 무릎 토크는 비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재질과 곡률반경이 다른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 후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 기기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곡률 평균 7.77±0.24 mm인 20명(평균연령= 24.73±2.5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C 8.5mm 와 9.0 mm의 BC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 그리고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총 4가지의 동일도수의 렌즈(-3.00 D)를 참여자들이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렌즈 착용 전과 착용 중 자동굴절검사계를 이용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 자동굴절계 및 각막지형도 측정한 굴절력의 변화량의 4종의 렌즈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자동굴절계 p=0.691, 각막지형도 p=0.438). 재질별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하이드로겔 0.05±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12±0.04 D(p=0.327), 베이스커브 따른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BC 9.0 mm은 0.06±0.05D, BC 8.5 mm 인 경우 0.11±0.05 D(p=0.482) 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재질별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하이드로겔 0.30±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38±0.05 D(p=0.298), BC에 따른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BC 9.0 mm은 0.36±0.04 D, BC 8.5 mm는 0.32±0.06 D,(p=0.482)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37). 결론 : 렌즈의 재질과 베이스커브에 따른 렌즈 착용전 후 자동굴절계를 통한 덧댐굴절검사 측정은 차이가 없지만 각막지형도상에서는 0.25 D 이상의 변화가 측정됨으로, 콘택트렌즈 처방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시 된다.
        4,000원
        27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을 대상으로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13명(46.92±5.91세)의 대상자들을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 후 조절래그, 스트레이라이트, 입체시력, 수평사위, 근거리 버전스, 자각적 시력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을 대상으로 중심-원용 및 중심-근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사이에서 조절래그, 스트레이라이트, 입체시력, 수평사위, 근거리 버전스, 자각적 시력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낮은 가입도의 근시성 노안에서 중심-근용 및 중심-원용 동시보기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의 질 그리고 조절 및 버전스 반응과 관련된 시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200원
        273.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시야의 좌측과 우측만 가리는 시야 가리개를 이용하여 주변 시야 가림에 따른 집중력 향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한 시야 가리개는 가로와 세로 5 cm x 4 .8 cm 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안경의 좌측과 우측에 고정 클립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재질은 검정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lylene)소재를 이용하였으며 클립을 포함하여 무게는 2.3 gram이었다. 건강한 20대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15일간 시야 가리개를 사용하도록 한 후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평가는 집중력 향상과 시야 가리개의 구조에 대한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정량평가를 위하여 주의력 집중이 필요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전두엽(frontal lobe) 영역인 F4 위치에 대한 Mid β 밴드(15~20Hz) 신호의 파워(power)와 ERD/S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0명 중 80%인 40명이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였을 때 집중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정량평가 결과 시야 가리개를 착용하고 동영상을 시청하였을 때 ERS peak(p=.023)와 ERD+ERS peak 값이 유의(p=.017)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시야 가리개만을 사용하여도 집중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야를 모두 가리는 덮개 형태 또는 시야의 상측과 하측을 가리지 않더라도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간편한 방법으로 집중이 필요한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7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effect of the turbulence intensity in across-wind direction on the wind load in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was analyzed. ‘Ansys fluent’ software was used for CFD simulation. And the fluctuating wind speed applied to the simulation was generated according to Korean Design Standard and Von Karman wind turbulence model. The turbulence intensity in across-wind direction for simulation was applied from 0 to 100% of the turbulence intensity in along-wind dire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urbulence intensity in across-wind direction had a particularly great effect on the wind load in across-wind direction.
        4,000원
        277.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of M5 low-level lighting (LLL) with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mainly the ecological traffic safety merits and the convenience and traffic efficiency of mainten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high mounted pole lightings. The basic photometric property of the developed facility is analyzed. The visual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visibility distance and subjective opinions from the subjects on several factors related to lighting performance. METHODS : The basic photometric properties of LLL were measured in a tunnel-shaped shield with a visibility meter (LMK 5 Color). The visibility distance between LLL and existing pole-based lighting was observed by 13 subjects under various weather conditions, such as dry, rainy, and wet conditions. In addition, the subjective opinions in terms of several pre-designed factors regarding lighting performance were surveyed. RESULTS : The developed M5 LLL satisfied photometric requirements such as average surface luminance, overall uniformity, and lane uniformity, as suggested by the lighting guidelines. More than 200 m of visibility distances were measured under normal weather conditions for both LLL and existing pole lightings. However, more than 200 m were observed under a wet surface and a rain intensity of 20 mm/h in the case of LLL, but visibility distance was reduced to 48.46 m in the case of pole lightings. A higher visibility distance was observed in the case of amber colored L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bjective opinion survey, all types of lightings had favored ratings, and the whitecolored LLL showed the highest ratings under normal weather conditions. However, existing pole lightings had unfavorable ratings under wet surface and rainy conditions, whereas the amber colored LLL had favorable ratings compared to pole lightings in terms of uniformity of illumination, glar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CONCLUSIONS : The necessity of M5 LLL lies on the cost-effective application to the low standard roadways where the cost is always the main factor to consider in safety facilities and the ecological benefits of roadsides. The developed LLL satisfied the basic optical property suggested by the related lighting guidelines and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terms of visibility distance across various weather conditions compared to the existing high mounted pole lightings.
        4,000원
        278.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접목은 대목의 특성을 이용하여 환경에 대한 적응성 확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이용 할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에 적합한 대목을 탐색하고 수경재배에서 접목묘 이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경재배에 적합한 대목을 탐색하기 위하여 8개 대목 품종과 3개 재배품종의 생육과 양액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접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재배 품종 ‘대프니스’, ‘수퍼도태랑’, ‘미니찰’을 실생묘와 ‘비브로킹’, ‘맥시포트’ 대목에 각각 접목한 접목묘의 생육과 양액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경재배 대목 적응성 탐색 결과 토마토 품종별 엽 발생 속도가 다르고 엽면적의 차이도 컸다. 재배품종에 비하여 ‘맥시포트’와 ‘버팀목’이 양액흡수는 많았고, ‘닥터큐’, ‘올라운드’, ‘비브로킹’, ‘파이팅’은 흡수력이 떨어졌다. 재배품종을 ‘비브로킹’, ‘맥시포트’ 대목에 각각 접목하여 실생묘와 양액 흡수력을 비교하였을 때 ‘비브로킹’ 접목묘는 실생에 비하여 흡수가 적었던 반면에 ‘맥시포트’ 대목 접목묘는 흡수가 더 많았다. ‘맥시포트’ 대목 접목묘의 초장, 경경, 엽수는 실생묘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엽면적,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 뿌리의 부피는 접목묘가 훨씬 많았다. 품종별로는 ‘대프니스’와 ‘미니찰’은 접목에 의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장량 증가하였으며 ‘수퍼도태랑’은 상대적으로 접목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품종에 따른 접목 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7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nge in the open porosity of bulk graphite as a function of the uniaxial molding pressure during manufacturing is studied using artificial graphite powder. Subsequently, the graphite is impregn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open porosity on the impregnation efficiency and to improve the density of the final bulk graphite. Bulk graphite i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uniaxial molding pressures after mixing graphite powder, which is the by-product of processing the final graphite products and phenolic resin. The bulk density and open porosity are measured using the Archimedes method. The bulk density and open porosity of bulk graphite increase as the molding pressure increases. The open porosity of molded bulk graphite is 25.35% at 30 MPa and 29.84% at 300 MPa. It is confirmed that the impregnation efficiency increases when the impregnation process is performed on a specimen with large open porosity. In this study, the bulk density of bulk graphite molded at 300 MPa is 11.06% higher than that before impregnation, which is the highest reported increas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higher the uniaxial pressure, the higher the density of bulk graphite.
        4,000원
        280.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신의 종류와 처리 농도가 온실 내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 삽목묘의 발근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삽수는 NAD(1- naphthylacetamide), IAA(3-indoleacetic acid), 그리고 IBA (indole-3-butyric acid)에 각각 50, 100, 150, 및 200mg·L -1 농도로 1시간 동안 침지 처리되었다. 무처리는 대조구로 설정 되었다. 삽수들은 2020년 6월 4일에 코이어가 충진된 딸기 육 묘용 트레이에 삽목 되었다. 가습 처리는 2주 동안 처리되었다. 대조구, IBA, 및 IAA는 처리간 발근율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AD 처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발근율이 관찰되었다. 생존율은 대조구와 IBA 50mg·L -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엽수는 IBA 100mg·L -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IAA 100과 150mg·L -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더 많은 주근 수가 관찰되었다. 지하 부 건물중은 대조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총 뿌리길이, 뿌리 표 면적, 근단 수 및 뿌리 분기 수는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대조구, IAA, 그리고 IBA 처리는 유사한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보였다. 그러나, NAD 처리는 가장 좋지 않은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보였다. 이를 고려하였을 때, NAD 처리는 IAA, IBA와 비교하여 딸기 삽목묘의 발근에 적절하지 않은 생장조절물질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