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ak load rate(i.e., maximum daily flow/average daily flow) has not been considered for industrial water demand planning in Korea to date, while area unit method based on average daily flow has been applied to decide capacity of industrial water treatment plants(WTPs). Designers of industrial WTPs has assumed that peak load would not exist if operation rate of factories in industrial sites were close to 100%. However, peak load rates were calculated as 1.10~2.53 based on daily water flow from 2009 to 2014 for 9 industrial WTPs which have been operated more than 9 years(9-38 years). Furthermore, average operation rates of 9 industrial WTPs was less than 70% which means current area unit method has tendency to overestimate water demand.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consider peak load for the calculation of water demand under current area unit method application to prevent overestimation. However, for the precise future industrial water demand calculation more precise data gathering for average daily flow and consideration of peak load rate are recommended.
복령(Poria cocos wolf)은 진균류의 일종으로 소나무 벌목 후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자란다. 복령 재배에 이 용되는 소나무 껍질에는 수용성 플라보노이드인 탁시폴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이뇨 및 진정작용, 항염증, 항암, 항산화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배목에 대한 복령의 탁시폴린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복령 종균은 본소에서 자체개발한 JF47-01, 02, 03을 대상으로 오염여부 및 균사 활력을 검사한 후 시험균으로 사용하였으며, 재배목은 소나무, 해송, 리기다 소나무, 리기테다 소나무를 벌채 한 후 음지에서 3개월 이상 건조하여 원목으로 사용하였다. 재배사는 오염과 해충 침입을 막기 위해 밀실에 서 온도 25~30°C, 습도 55% 내외가 되도록 유지 관리하였다. 재배된 복령과 재배목의 탁시폴린 함량은 고성 능액체크로마트그래피(HPLC,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판중인 국내 자연산 복령과 중국산 복령의 탁시폴린 함량을 분석한 결과 국내산 복령이 1.11㎍/g, 중국산 복령이 1.47㎍/g의 함량으로 조사되었 다. 복령 재배목의 탁시폴린 함량은 4수종 재배목 수피별로 각각 소나무 304.9㎍/g, 리기다 294.2㎍/g, 해송 37.7㎍/g으로 조사되었으며 변재 및 심재에서는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리기다 소나무에서 재배한 복 령의 탁시폴린 함량은 1.4㎍/g으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재배목에서 생산된 복령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앞으로 복령의 산업화를 위하여 기능성 물질인 탁시폴린 함량을 증대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잎새버섯속에 속하며 사물기생균으로서 참나무류 나 밤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그루터기에 늦여름부터 늦가을에 걸쳐 발생한다. 맛과 향이 우수한 식·약 겸용버섯 버섯으로 최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잎새버섯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잎새버섯 재 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된 수확후배지를 곤충 사육, 유기물용 퇴비자원화를 위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잎새버섯 재배 시 잎새버섯 수확후배지 적정 첨가율 및 영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잎새버 섯 수확후배지를 신선한 참나무톱밥 및 영양원별 첨가율을 달리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배지 적정 첨가율 구명시험에서는 수확후배지를 30% 첨가 한 처리에서 자실체 수확소요일수는 55.7일, 자실체 수량은 1kg 봉지배지당 115.4g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영양원 선발시험에서는 맥주박 10%, 15% 처리 가 1kg 봉지배지당 수량이 126.9g, 129.9g으로 양호하였으며, 밀기울 혼합 처리에서는 다소 저조하였다.
노루궁뎅이버섯은 항산화, 항염증, 항균, 혈관노화억제 효과 등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병 또는 봉지 재배기술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다. 본 연구 결과는 수입에 의존하는 배지재료의 가격 폭등과 수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충북지역 버섯의 로컬푸드화 기반을 조성하고자, 로컬푸드화가 가능한 봉지재배용 배지자원을 조사하고 이를 활용한 노루궁뎅이버섯 재배특성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으며, 배지량을 절감하면서도 노루궁뎅이버섯의 수량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재배기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2007년도 영농활용기술로 보급된 노루궁뎅이버섯 봉지재배 기술 은 참나무톱밥과 쌀겨를 부피비 8:2로 혼합하고, 혼합배지 2 kg을 입봉한 다음 균 접종과 배양과정을 거쳐 버 섯 발생 유도는 봉지 뚜껑의 솜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개선된 재배기술의 배지 조성은 무게비로 혼합(면실박 1+비트펄프 1.5 + 면실피 펠렛 3 + 톱밥 5.3 + 쌀겨 2.1)하여 수분을 60%로 조절한 다음 혼합배지 880 g을 입 봉한 뒤 균 접종과 배양과정을 거치며, 버섯 발생 유도는 배지 상단에서 2 cm 아래(원기가 잘 형성된 지점) 에 T자형(1.3~1.4 cm 크기)으로 봉지를 절개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노루궁뎅이버섯 봉지재배용 배지 조성과 버섯 발생 유도 방법을 개선하면 입봉되는 배지량은 44% 절감하면서도 수량은 65% 증수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성도 매우 우수하였다.
최근 정삼투(FO) 공정의 성능향상을 위해 유입수에 낮은 수압을 가하는 가압형 정삼투(PAFO) 공정이 관심을 받 고 있다. Structure parameter는 FO 및 PAFO 공정 운전시 유도용질의 확산 저항성(Solute resistivity)을 결정하며, 이는 Solution-diffusion model (S-D model)을 통한 수투과 및 염투과 성능 예측을 지배하는 인자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S-D model을 이용하여 가압형 정삼투시 유입수 측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Structure parameter 변화 양상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 중국 시는 급격한 사회변화가 초래한 혼란 속에서 다양한 방향을 모색했 다. 현실비판과 자아의 성찰이 함께 시작되고 있었지만 여전한 사회정치적 지배구조로 인하 여 시는 주로 집단의식을 벗어난 개인의 자아를 향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路也는 주위의 변화를 살필 줄 모르는 성격과 자기 자신에 대한 천착으로 인하여 독특한 시 세계를 보여주 는 시인이다. 그녀의 시가 2000년대의 아이콘이 될 수 있는 것은 현실과 자아의 관계가 고독 으로 귀결되고, 자신의 진실한 순간들이 타자에 의하여 수용되지 않으며, 현실을 벗어난 자신 의 꿈 또한 소외를 심화시켜갈 뿐이기 때문이다. 그녀의 고독과 어긋남, 그리고 자신으로 말 미암은 소외는 21세기의 현실을 살아가는 중국인과 우리의 현실이기도 하다.
Carcasses of pigs were trench buried using either general soil or mature compost as a cover material and the malodorous substances discharged were observed about a year. With the soil burial method, the speed of decay was shown to be dominantly affected by the ambient air temperature. However the compost burial method’s decaying process took place quickly, even ambient air temperature was dropped; it holds the temperature of 40oC or higher. With the compost burial method, there was a period whe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g carcasses and the temperature of cover-material layer were strongly reversed. From this discovery, level of decay process could be speculated. With the soil burial method there was a trend when malodorous substances concentration was high,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 the cover soil was also tends to be high. However, the compost burial method had different result. When malodorous substances concentration was high the level of concentration in the compost cover layer was observed to be lower. This indicates compost burial method shown to intercept and absorb malodorous substances. Furthermore, the compost burial method appears to be able to contribute to deactivate the pathogens by quickly decompose the carcasses at a high temperature.
린후이인과 빙신은 모두 자신의 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여주며 한 시대를 풍미한 작가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두 여성 작가는 서로의 배우자가 대학 동문이었던 까닭에 서로에 대 해 잘 아는 사이였음에도 불구하고, 빙신의 풍자 작품 당신에게 충고하나니(我勸你) (1931) 와 우리 마나님의 응접실(我們太太的客廳) (1933)로 인해 관계가 악화되었다. 그렇다면 빙신 은 왜 이와 같은 작품을 발표하였을까? 본고에서는 그 이유로 두 여성 작가가 지닌 상이한 여성관을 꼽고 있다. 빙신은 자애롭고 지혜로운 따뜻한 어머니의 품 안에서 어머니의 모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지대하다고 보았고, 아울러 교육 받은 신여성에 의해 낡은 중국의 가정이 과거의 구습과 악폐로부터 벗어나야 새로운 중국 또한 탄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린후이인은 여성의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에 관심을 보였고, 능력 있는 여성일지라 도 가정일에 매몰되어야 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했다. 따라서 그녀의 시에서는 주체적이고 적 극적인 자아가 등장하고, 전도된 기존의 남녀 성역할이 나타난다. 이처럼 두 사람은 여성에 대한 교육과 계몽에는 같은 입장을 보였지만, 가정과 양육면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견해를 가졌기에 결국 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胡寬(1952-1995)은 우리에게도, 중국 독자들에게도 낯선 시인이다. ‘七月派’ 시인 胡征의 아 들이었던 후콴은 아버지의 정치적 수난으로 인해 불우한 유년을 보내야 했고, 43세에 지병으 로 사망했다. 1976년경 시작된 후콴의 시 쓰기는 今天이 대변하는 몽롱시의 시대사조와는 거의 무관했고, 北京 중심의 ‘홍위병 세대 공감’으로부터 동떨어져 자신만의 시를 썼다. 현실 에 대한 신화적 상상이나 낭만을 허용하지 않는 후콴은 태생적 반항과 懷疑, 시를 통한 현실 顚覆을 실험하고 실현했다.
후콴은 상존하는 죽음의 위협에 직면한 자신의 불안과 공포, 좌절을 객관화하고, 그것을 冷酷과 奇異에 가까운 시적 형상으로 재구성한다. 그의 시는 당면한 현실의 부조리를 드러낼 뿐 문제해결의 가능성이나 필요에 주목하지 않는다. 후콴은 ‘삶과 죽음의 경계’ 위에서 이방 인처럼 시를 썼고, 모든 관습과 전통의 ‘이교도’를 자처했다. 중국 當代詩의 변방에서, 후콴은 중국 사회의 소외와 그 비극을 시로써 형상화하고 있었다.
블레이크 시학에서 시인의 임무는 타락한 영혼을 깨우치도록 하는 것이다. 『경험의 노래』에 등장하는 시적 화자는 물에 젖은 해안가에 서있으며, 『엘비언 딸 들의 예견』에서는 엘비언의 딸들이 비상하는 우순을 해안가에서 올려다본다. 여기서 물의 이미지는 시인의 고통과 갈등, 주저함과 꿈, 억압과 욕망과 같은 시적 세계를 보여주는 모티브이다. 바슐라르의 상상력에 따르면, “물은 우리에 게 하나의 육체와 혼과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 전체적 존재로서 나타난다”고 한 다. 물은 항상 흐르고 아래로 떨어지며, 죽음으로 끝난다. 본 논문에서는 블레이 크의 시에 드러난 물의 이미지를 통하여 시인이 꿈꾸는 새로운 인식의 과정을 탐색해 본다. 블레이크의 시에서 “물에 젖은 해안”과 “이슬 젖은 풀밭,” “차가운 안개,” “물에 사는 풀,” “비밀의 눈물”과 같은 물의 이미지는 억압과 자유, 그리 고 인간존재와 타락한 영혼을 보여주는 시적 현실이다. “물의 물질적 상상력은 위기에 처해있다”는 바슐라르의 지적처럼 물의 이미지는 인물이 처해있는 주저 함과 인식의 한계상황을 잘 보여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imulation-based educational for delivery nursing program on knowledg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onfid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are 51 nursing student. This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delivery nurs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subjects from 31th, August to 25th, September, 2015. The program consist of a scenario in which each of the situations presented from first stage of labor to the fourth stage of labor.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delivery nursing knowledg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onfidence.
Conclus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of labor simulation was effective on improving knowledg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confidence among nursing students.
Water dropwort(Oenanthe javanica) is grown usually in submerged paddy field and is widely used as additive in foods like Kimchi, fish soup. However, its cultivation in the under submerged cultivation has been known to cause the reduction in quality of water dropwort plants mainly due to the presence of dirt and some parasites like leeches and water animal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wetland cultivation(WLC) of water dropwort plan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ubmerged cultivation(SBC) in the greenhouse paddy field conditions. WLC and SBC treatments maintained water levels to the depth of less than 5cm and about 20cm, respectively. Vegetative stem sections were planted in September and plants were harvested in early April. The results showed that height and yield of water dropwort plants were higher in SBC than in WLC. Total yield per 10a in WLC was 12.3% lower than in SBC (2.34 vs 2.63 tons). However, the useful quality factors such as vitamin C, inorganic nutrients, chlorophyll, and anthocyanin contents were found to be considerably higher in WLC. That is Ca, K, Mg, and anthocyanin contents in the stem were increased 235%, 6%, 143% and 290%,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SBC plants. The length of underground internodes from WLC elongated about 2 times more than that of SBC,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lant length and advance in harvest time. On the other hand, water dropwort plants with wetland cultivation can be produced with good cleanliness and quality, but the cultivation system should be optimized and developed to get more yield the same as SBC.
인구의 약 3퍼센트를 차지하는 약시는 시로에 병리학적 이상 없이 시력의 발달성 저하로 정의할 수 있다. 적절한 시자극이 없으면, 신경 가소성 기간 동안 시각계는 계속적으로 약시로 발전한다. 약시의 시감각은 시 력, 대비감도의 저하와 공간 왜곡이 비정상적일 뿐만 아니라 추적과 추종 운동과 같은 눈 움직임에도 이상을 보인다. 그러므로, 약시 치료에서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적용되어 야 한다.
목 적: 3D TV에서 2D 및 3D 영상 시청 전, 후 피로도와 시기능 변화를 피로도 설문지(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와 시기능 검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시기능의 이상이 없고 3D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양안 교정시력 0.8 이상인 23-29세(평균 연 령 25.3±1.6세)의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7인치 3D TV를 이용하여 2.5m 거리에서 30분 길이의 2D 및 3D 영화를 시청하였다. 시청 전, 후 피로도(5가지 범주, 28가지 항목의 설문) 및 시기능(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 폭주 근점, 상대조절력 등)을 검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2D 및 3D 영상 시청 전, 후에 피로도 검사에서 2D 영상에서는 흐려 보임(p=0.019), 건조함 (p=0.023), 피로함(p=0.003)이 영상 시청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3D영상에서는 피로함 (p=0.019), 어지러움(p=0.047)이 영상 시청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총 28개의 항 목 중에 2D에서 3개 항목, 3D에서 2개 항목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그 점수 변화는 크지 않았다. 또한 시기 능 검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2D 및 3D 영상 시청 전, 후에 피로감은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이는 3D 영상 전후 피로도가 증가했 다는 이전의 보고와 다른 결과이다. 이는 본 실험과 이전 보고들의 3D 시청 환경(3D 컨텐츠, 시청 거리, 3D 영상 표시 장치 등)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또한 3D TV 시청 시 특정 조건에서는 피로감이 2D에 비교하여 심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국내 콘크리트 포장의 노후화로 인하여 부분 단면 보수를 통해 매년 약 600억 원 정도의 유지보수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나 짧은 수명 문제, 보수부위의 2차 파손 등으로 아스팔트를 이용한 덧씌우기 공법 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콘크리트 포장에 아스팔트 덧씌우기를 적용할 경우, 포장 공용성에 영향을 미 치는 주요 결함은 반사균열이다. 환경 하중 및 교통 하중으로 인해 발생한 인장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하여 기존 하부 층의 균열 또는 줄눈의 형상이 그대로 반사되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 균열은 포장의 주행 성과 승차감을 저하시키고 포장 파손의 가속화를 유발하여 결국 포장의 장기 공용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우수한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 공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균열의 발생을 모사하고 재료의 균열 저항 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실험 장비 및 방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국외의 경우 ʻTexas Overlay Testerʼ라는 이름으로 실제 아스팔트 도로에서 발생하는 반사균열의 매커니즘과 유사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비가 개발 되어 덧씌우기 혼합물의 배합 설계 및 덧씌우기 두께 설계 시 적용 중에 있다. 그러나 이는 수평 방향으로 만 실험이 가능하여 차량 하중이 유발하는 전단응력에 의한 반사균열 매커니즘의 모사는 불가능하다. 이 에 따라 기존 장비의 장점은 유지하고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ʻHeart Overlay Testerʼ라는 명칭의 반사균 열 모사 실험 장비를 개발하였다. 실험 가능한 온도 범위를 넓혀 극한 기상 상태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도 록 하였으며 하중 또한 3축으로 재하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하중 조건 하에서 반사균열 모사가 가능하도 록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싱 시스템을 적용 하여 균열 진전을 관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반복적인 개구변위 제어를 통해 균열을 발생시키고 하중 감소법을 이용하여 반복횟수를 시 편의 피로 수명 (균열 저항성)으로 결정하며, 그 과정에서 균열의 진전과정을 비교 평가하게 된다. 본 장 비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실험 결과 분석 방법으로 재료의 반사균열 특성을 더욱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 으며, 차후 안정적인 덧씌우기를 통한 복합포장 시스템 구축 및 도로의 기능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이며, 근본적인 교통사고의 감소를 위한 연구와 대책 마련 이 필요하다. 기존에 다수 진행되었던 차량여건이나 사고건수 연구는 단편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복합적인 사고 예방과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사고밀도모형의 연구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이 연구는 심층적이고 다양한 교통 특성과 인구지표를 전국에 반영할 수 있는 교통사고 밀도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의 되는 자료는 전국 460개의 광역시 및 시・군구를 하나의 존으로 선정하여 2008~2015 년까지 발생한 교통사고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독립변수와 그에 따른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고,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종속변수는 사고밀도로 정하고, 독립 변수는 인구밀도, 경제활동인구, 1인가구수, 고령인구수 등과 같은 인구 기반지표와 토지이용 및 사회경 제적인 지표들로 정하였다. 결정된 변수들의 상관분석 및 F검정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유의성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가장 신뢰성 있는 교통사고밀도 모형을 결정한다. 중점적인 관련 변수로는 인구밀도, 경 제활동인구, 고령인구수, 상업면적, 장애인비율 등과 같은 변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 고, 반대로 속도방지시설과 같은 변수들은 음의 상관관계일 것으로 예측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결과적 으로, 전국 시・군구 단위의 설명력있는 모형 개발과 이를 통한 정책평가나 장래의 계획에도 활용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