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0

        118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3식물인 닭의장풀과 CAM식물인 돌나물이 수분스트레스에 대해 어떠한 생리적인 반응의 차이를 보이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식물은 정상적인 환경 조건하에서 보여주는 대표적인 특징은 생장이다. 닭의장풀은 수분스트레스에 처해졌을 때 생장이 거의 멈추었으나 돌나물은 생장에 커다란 영향을 받지 못하였다. 닭의장풀의 수분함유량의 변화는 3주 째 12% 감소하였다. 수분 함유량의 변화는 식물의 고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돌나물의 수분함유량의 변화
        4,000원
        1185.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Maenghyun-bong at Injae.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consisted of 337 taxa, i.e., 262 species, 3 subspecies, 59 varieties, and 13 formae. Korean endemic plants were Asarum maculatum, Aconogonon microcarpum, Clematis trichotoma, Corydalis maculata, Vicia chosenensis, Viola diamantiacai, Lonicera subsessilis, and Cirsium setidens. Also, the conservatory plants classified from first grade to fifth grade were distributed 69 taxa in the Mt. Maenghyung-bong area. The naturalized plants found eleven species. Especially, Eleutherococcus senticosus, Cimicifuga heracleifolia, Anemone umbros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in this area firstly.
        4,000원
        1186.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Gangneung-si (Kangwon-do). The collected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all 903 taxa including cultivated species, and classified into 755 species, 1 subspecies, 124 varieties, and 23 forms of 450 genera under 126 families.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16 taxa were Korean endemic species. Law-protec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The special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were 75 taxa; V rank species 2 taxa, IV rank species 9 taxa, III rank species 21 taxa, II rank species 14 taxa, and I rank species 29 taxa. A naturalized plants were 45 species, correspond to 15.5% of totaling 290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Floristic geography of the investigated area was regarded as the boundary between middle regions in floristic pattern of the Korean peninsula.
        4,800원
        1187.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Northeast Chuncheon area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006 to October, 2007. Vascular plant of investigated region were composed of 113 families, 469 genera, 793 species, 2 subspecies, 114 varieties and 39 forma, totaling 948 taxa. The Pteridophyta index (Pte-Q) was 1.11. Thirty-three species including endemic genus Echinosophora among the 948 taxa were Korean endemic. Two endangered, 21 rare plants and 150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 were 68 taxa, and life form spectra was H-D4-R5-e type. 948 taxa listed consists of 314 taxa (33.2%) of edible plants, 285 taxa (30.1%) of medicinal plants, 153 taxa (16.2%) of pasture plants, 135 taxa (14.3%) of ornamental plants, 38 taxa (4.0%) of timber plants, 24 taxa (2.5%) of fiber plants and 5 taxa (0.5%) of industrial plants. The vegetation of Northeast Chuncheon area were classified three communities as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6,700원
        1188.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for environment conservation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of Gotjawal terrain which is covered by aa rubble flow in Jeju island.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February 2007 to February 2008 at the site of four Gotjawal terrains. The vascular plants in Gotjawal were consisted of total 616 taxa including 111 taxa of ferns; 124 families, 401 genera, 514 species, 3 subspecies, 55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plants, the special plant specie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02 taxa including 19 taxa in grade category. Law-protec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6 taxa such as Quercus gilva, Mankyuya chejuense, Cymbidium nipponicum, and Galeola septentrionalis etc. Also,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8 taxa such as Mankyuya chejuense, Cardamine violifolia, Rubus hongnoensis, and Ligularia taquetii etc.
        4,500원
        1190.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1,083m)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0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89과 302속 397종 1아종 59변종 11품종의 총 4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자주꿩의다리, 매미꽃, 청괴불나무 등 17분류군,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은 세뿔투구꽃의 1분류군, 산림청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등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7.3%, 도시화지수는 12.2%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식물은 160여 분류군이며, 이중에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금낭화, 다닥냉이, 잔개자리, 애기땅빈대, 돼지풀, 코스모스, 주홍서나물, 털별꽃아재비, 원추천인국,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나도바랭이, 큰김의털, 호밀풀, 자주닭개비 등 17분류군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본 지역은 세뿔투구꽃을 포함한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행위와 많은 탐방객의 출입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탐방객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와 같은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100원
        1191.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간섭 및 영향에 따른 도시지역에서의 식물종의 분포패턴 및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전주시에서 자생적으로 이입된 모든 유관속 식물종에 대한 포괄적 자료습득을 위하여 각 1헥타 크기의 106개 표본 조사구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표본조사구는 전주시의 전형적인 토지이용유형을 대표하고 도심지역으로부터 다양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선정되었다. 종풍부성, 생활형의 패턴 그리고 외래종의 비율이 표본조사구의 헤메로비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되었다. 식물종의 수는 적당히 영향을 받는 부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당한 교란은 종풍부성 증가를 유도한다는 중간 교란 가설에 상응하는 결과이다.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지의 식물상은 일년생 식물과 외래종의 비율이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일부 식물종들은 토지이용유형과 도시구역에 상응하는 유사한 분포를 갖는 세 가지 그룹인 도시지역 기피종(땅비싸리, 졸참나무, 개옻나무 등), 도시지역 및 외곽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종(닭의장풀, 개망초, 박주가리 등)과 도시지역 선호종(애기땅빈대, 개쑥갓, 서양민들레 등)으로 구분되었다.
        4,000원
        1199.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피해 억제 효과가 있는 대항식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경상대학교 부속농장 시설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55㎝×35㎝×25㎝인 pot에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이 높은 경남 함안의 수박 재배지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15㎏씩 담은 후, 토양을 각각 300g씩 채취하여 선충의 사전밀도를 조사하였고, pot를 임의로 4등분하여 왼쪽은 대항식물 씨앗을 파종하였고, 오른쪽은 기주식물인 수박 씨앗을 파종하였다. 후보 대항식물은 20종의 식물을 선발하였으며, 수박은 고구마뿌리혹선충에 감수성인 금보수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60일 후 토양 300g 당 선충 수, 기주식물과 대항식물의 뿌리피해지수, 뿌리무게, 지상부의 생중량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피해지수는 Netscher과 Sikora(1991)의 방법에 따라 선충의 피해가 없는 뿌리를 0으로 시작하여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10까지 나누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토양 내 선충수는 참깨(Sesamum indicum)를 심은 pot의 밀도감소율이 77.1%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나팔꽃(Pharbitis nil)과 참깨는 고구마뿌리혹선충으로부터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았다. 또한, 나팔꽃의 경우, 기주식물의 뿌리피해지수가 다른 대항식물과 대조구(RI=9~10)에 대비하여 낮은 피해지수(RI=1)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씨앗을 파종한 pot에서는 기주식물과 대항식물의 생중량 평균이 각각 101.4g과 74.9g으로 다른 처리구와 대비하여 생장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나팔꽃, 봉선화, 그리고 참깨가 대항식물로써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살선충활성 및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20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농작물에 대한 달팽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피제를 탐색하기 위해 포트 정식된 배추를 대상으로 대형 곤충사육상자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국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몇 종의 달팽이류에 대해 친환경 자재로 이용되고 있는 동식물 추출물과 외국에서 달팽이 기피제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제 등을 이용하여 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작은뾰족민달팽이를 대상으로 한 기피시험에서 녹차추출물 달용이는 달팽이 접종 9일 뒤에 95%의 높은 기피율을 보였으나 목초액은 기피효과가 전혀 없었다. 수용성 칼슘을 17% 함유하고 있는 해양 불가사리 추출물은 65%의 기피율을 나타내었고, 외국산 구리테이프는 99%의 매우 높은 기피효과가 있었다. 껍질이 있는 달팽이와 껍질이 없는 민달팽이류 2종을 혼합하여 접종한 시험에서 접종 10일 후 기피율은 식물추출물인 달용이와 팽이자바가 65%내외, 수용성 칼슘이 27%의 기피효과가 있었고, 국산 및 외국산 구리테이프는 98%의 매우 높은 기피효과가 있었으나 알미늄테이프는 기피효과가 없었다. 달팽이류 종류별로 국산 구리테이프에 대한 기피율을 조사한 결과 껍질이 있는 달팽이는 접종 13일 후에 51%의 기피율을 보인 반면 껍질이 없는 작은뾰족민달팽이와 노랑뾰족민달팽이는 85% 내외의 높은 기피율을 나타내에 달팽이보다 민달팽이류에 대한 기피효과가 훨씬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