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9

        661.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을 토대로 대학 운동부 선수의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 개발과 요인 구조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이론과 선행연구의 결과로부터 문항을 추출한 후 선수들과의 면담을 통해 24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척도로 265명의 선수에게 수집된 1차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이 실시되었다. 척도의 타당도 검증은 300명의 선수에게 수집된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3요인 11문항을 확증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동기유형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일원 다변량분석을 통해 고교 선수, 출전유형과 운동경력에 따른 기본 심리적 욕구의 집단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부 선수의 기본 욕구 측정도구 개발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자기결정성이론에서 기본 욕구와 주요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662.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심리기술훈련과 4주간의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경기력결정 심리요인과 운동스트레스 요인의 효과 및 지속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비 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2007년 대한축구협회에 등록된 U대학 축구 부24명(실험집단=13명, 통제집단=11명)이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연령(19세-22세)은 20세, 경력(7년-13년)은 10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질적 분석 방법을 위해 면담과 개방형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양적분석 방법으로는 윤영길이 1999년과 2004에 개발한 대학축구선수의 스트레스 검사지와 축구경기력 결정 심리요인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검사지의 타당도는 4개요인과 6개요인 으로 신뢰도는 각각 .817과 .826이었다. 축구선수의 경기력결정 심리요인과 운동스트레스 요인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유의수준 .05에서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과 심리기술훈련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축구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을 받고난 후 경기력결정요인이 높아졌다. 둘째, 대학축구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을 받고난 후 운동스트레스 요인이 낮아졌다. 셋째. 경기력결정 요인의 지속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스트레스 요인의 지속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68.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있어 신체활동의 선택 및 지속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를 통하여 운동변화단계를 예측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683명을 대상으로 운동변화단계,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행동규제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기본적 심리욕구와 행동규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적 심리욕구 하위변인인 유능성, 관계성, 자율성과 행동규제의 하위변인인 부과적 규제, 확인적 규제, 내적 규제에서는 유지단계가 계획전단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에서는 무동기와 외적규제에서는 계획전 단계가 유지단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대해 행동규제의 하위 변인 중 확인적 규제와 내적 규제만이 운동변화단계를 판별하는데 작용하였다.
        671.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5차 스포츠심리상담사 자격연수 참가자의 동기와 연수과정에 대한 평가 및 전반적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총 124명으로 이들은 4일 32시간의 연수과정에 2급 또는 3급 연수에 참여하였다. 개방형 질문과 설문지로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의 연수참가 동기는 2급의 경우 현장지도와 적용, 전문성 제고, 평소관심 순으로 나타났고, 3급의 경우 전문성 제고와 평소관심, 현장지도와 적용 순으로 나타났다. 도움이 된 과목은 2,3급 모두 상담의 원리와 기술/상담실습이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고, 개선요구사항에서는 2급의 경우 교육의 질 향상이, 3급의 경우 일정 및 연수과정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담을 원하는 분야는 2급의 경우 엘리트 스포츠 분야가, 3급은 운동/건강분야와 엘리트 스포츠 분야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차후 연수는 2,3급 모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절대적이었으며, 1급까지 도전하겠다는 참여자도 70%에 육박하였다. 2,3급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강의내용,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시설, 식사 및 숙소선정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72.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장면에서 운동참여자들이 겪게 되는 동기저하나 의욕상실, 그리고 중도탈락과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운동심리 상담모델 개발과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 소재의 J 대학부설 국민체육센터에 등록하여 참여한 고객들 중 운동참여율이 비교적 낮고, 운동행동변화단계가 1-3단계에 속하는 대상을 중심으로 목적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5명, 14명 총 29명을 무선배치 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심리 상담 모델 구성은 기초욕구평가, 심층적 평가, 목표구성 및 기초실행, 응용모델 실행, 결과 및 평가에 대한 상담 모델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구성하였다. 모델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심리상담 모델이 적용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운동결과기대가 높았고, 운동 지속성도 경향성, 강화성, 그리고 가능성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운동만족 하위요인중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다. 셋째, 실제 운동참여 정도는 실험집단의 운동심리 상담 프로그램 참여 후 참여빈도가 증가하고, 참여지속시간이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운동참여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심리상담 차원의 전략으로서 참여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운동참여의 개인적, 환경적, 사회적 방해 및 장애 요인들을 분석하여 그 요인들을 직접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운동심리 상담모델을 통하여 운동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지식확충과 태도변화, 내적동기의 강화, 그리고 폭넓은 사회적 지지를 확보함으로써 신체적 자기 효능감을 크게 갖도록 하는 것이 여러 운동 방해 및 장애요인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최선의 운동심리 상담전략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접근한 운동심리 상담의 모델은 운동행동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673.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축구 팀의 운영과 선수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축구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축구지도자가 축구팀을 운영하고 축구선수를 지도하는데 있어 나타나는 독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초 여건을 축구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로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프로축구팀이나 국가대표 축구팀 감독 경력이 있는 국내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팀운영과 선수 지도에 요구되는 요건을 탐색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을 창출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축구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을 주제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대한 전문가회의를 개최해 축구 팀의 운영과 선수 지도에서 요구되는 심리적 펀더멘틀을 구조화하였다. 전문가회의 결과 축구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은 사회적 펀더멘틀, 성격적 펀더멘틀, 인지적 펀더멘틀, 동기적 펀더멘틀로 구조화되었다. 사회적 펀더멘틀은 신뢰나 희생 등 지도자와 팀의 다른 구성원 사이의 소통의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성격적 펀더멘틀은 배려나 소신 등 지도자 개인의 독특성을 반영하는 요소로, 인지적 펀더멘틀은 축구 관련 전문지식 관련 요소로, 동기적 펀더멘틀은 훈련이나 경기 상황에서 선수가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하는 기술과 관련된 요소로 규정하였으며, 규정한 개념을 논의하였다. 축구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을 탐색한 결과 지도력의 심리적 펀더멘틀은 축구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요인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674.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우승한 경험이 있는 상금랭킹 10위 이내의 여자 프로골프선수들과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으면서 우승경험이 있는 한국 여자 프로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심층적 면담을 통해 경기 전과 경기 중에 발생하는 심리적인 방해요인들과 그에 따른 대응 극복전략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골프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방해요인과 대응 극복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이우만(1999)이 선행 연구들을 참조하여 프로골퍼들에게 적합하도록 재수정한 64개의 질문 문항 및 개방형 문항에서 이근춘(2000)이 세부영역과 일반영역의 분류를 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그 중 스포츠 심리학자 3인과 프로골퍼 6인의 회의와 논의를 통하여 1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녹음 내용을 재생하여 문자화시켜 문서로 작성한 녹취록과 녹음 내용을 연구결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측정 과정을 거쳐 내용 분석한 결과, 모든 선수들이 다양한 방해요인들에 대한 대응 극복전략으로서 긍정적 사고, 자기조절, 이완, 전문가 조언, 전력, 주의집중, 이미지트레이닝, 기분전환, 음식조절, 휴식, 대안적 행동, 명상, 자아대화, 신앙의지, 적극적 행동, 주위의 격려, 지도자의 도움, 훈련, 무시, 과제최선, 캐디의 조언, 전략 등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신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과 개인의 심리기술 능력 및 훌륭한 조언자의 역할이 선수들의 부정적 경쟁상황을 통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675.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체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육상수업에 심리기술훈련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재미요인이나 재미저해요인에 변화가 있는지를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체육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내적동기를 양적으로 분석하여 수업 전․후 흥미-즐거움, 지각된 유능감, 노력-중요성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육상수업방식에서 가장 큰 재미요인을 찾는 것으로 보였으며, 육상수업 전․후 내적동기는 지각된 유능감 요인에서 t값이 6.64(p<.05)로 가장 큰 차이값을 보였고, 흥미-즐거움과 노력-중요성 요인에서도 t값이 6.46, 5.37(p<.05)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기수업에서 심리기술훈련이 학생들의 재미와 내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교체육 전반에 심리기술훈련을 도입하거나, 대학 실기 강좌의 경우 체조나 수영과 같이 기초종목으로 육성해야 함에도 학생들의 재미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강좌에 적용시킴으로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7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rick pavement were widely introduced on the pavement in rural area. A variety of vision effects can be created from patterns of brick pavement. However, in most of brick pavement works,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concer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psychological effect on brick pavement patter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Psychological impression on brick pavement pattern is similar among man and woman groups. 2)Stack bond and running bond pattern have a simple, relaxed, organized, and comfor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ket weave & stack bond pattern has a simple and organiz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Herringbone bond pattern has a complex, dislike and uncomfor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Pinwheel bond pattern has a highly complex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asket weave and Basket weave variation bond pattern have a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3)Employment of brick pavement pattern on this research i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ick pavement patterns that hav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 concerned.
        677.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아동들을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심리․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남 무안군 청계면에 위치한 푸른솔 어린이집 6세 원아 16명을 대상으로 2006년 3월 23일부터 7월 20일까지 매주 1회 1시간씩 실시하여 총 18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검사의 행동측정을 위해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검사표(Pycho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를 사용,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평가하였다. 원예활동을 실시 한 후 아동들의 사회․심리적 행동척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 중 ‘어른에게 잘 접근한다’, ‘학급친구에게 사랑을 받는다’, ‘동조력이 있다’, ‘말을 잘한다’, ‘새로운 상황에 잘 적응한다’ 등 6문항이 월등히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정서적 행동 특성에서도 원예활동을 실시 한 후에 정서적으로 안정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두려움을 나타낸다’, ‘노여움을 나타낸다’의 항목에서 부정적 정서의 감소폭이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678.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심리기술훈련(PST)의 효과를 다룬 선행연구는 대부분 고교생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지를 사용하여 PST 훈련 전후의 단일 심리적 변인(예:집중력,불안)이나 경기력을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입증해 왔다. 그러나 PST의 효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종목과 대상 및 기간을 다룬 연구가 필요하며, 비진단검사지와 심층적인 상담기법을 활용하여 대상자가 갖고 있는 사고의 구조적인 원인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PST의 효과가 다중 심리변인에도 동시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아야 한다는 점이 후속연구에서 보완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어왔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비진단검사지(MBTI)와 상담기법(REBT)을 활용한 PST가 중학교 남자 사격(공기소총) 선수의 경기력과 다중 심리변인(불안, 자신감, 기분상태, 집중력)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선수 경력 만 3년째인 대상자(남, 중3)에게 10회기의 PST를 실시하고 전후의 변인을 비교한 결과, 경기력 향상과 불안감소, 자신감 향상, 기분상태 개선, 집중력 향상, 인지구조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PST의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결과를 지지함과 동시에 PST 효과가 다중 심리변인을 동시에 개선시키며 적용 대상이 중학생 선수층으로 보다 더 넓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결과는 PST의 효과가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운동부내의 구타문제, 이 연구에서 발견된 대상자의 독특한 오류반응과 이에 대한 대비, 비진단검사지의 활용 등이 논의되었다.
        67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psychological-horticultural therapy for promoting ecmotional intelligence. We carried out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jects were 11 children at K welfare center in Jungrang-gu. Children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program applied for 8 weeks.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us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t-test using SPSS 12.0. The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increased slightly after the program,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viewpoint, children were changed in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empathy and they experienced.
        680.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무용으로 한국무용, 댄스스포츠, 에어로빅, 재즈댄스 등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742명을 대상으로 자아 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를 조사 및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무용 참여종목과 참여형태, 운영실태에 따른 자아 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분석결과 자아 존중감은 한국무용, 매일 참여, 교육내용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은 한국무용, 2-3년 이상, 주4-5회 참여, 교육내용에 만족 할수록, 시설수준이 좋을수록 높으며, 사회적 지지는 한국무용, 스포츠센터, 2년 이상, 주4-5회 참여집단, 교육내용에 만족 할수록, 시설수준이 좋을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무용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회귀분석에서 자아 존중감은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