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와 기상조건의 변화로 기후의 변동폭이 증가하면서 극심한 가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 개발된 용수원의 수질 오염, 물 분배에 관한 상류지역의 반대 및 지방자치단체간의 수리권 문제 등도 상류지역으로부터의 맑은 수자원 확보를 필요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용수공급 관리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고 있으며, 수도권의 용수수요 변화에 대한 북한강 유역 댐의 용수공급 능력에 대한 적절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만한 사람들의 자세 제어 능력의 부족에 관한 경험적 증거를 얻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비만 여대생(15명)과 정상체중 여대생(15명)에게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기울여서 버티는 과제를 수행시켰다. 그리고 지면 반력기를 이용하여 압력 중심의 y축과 x축의 최대값, 최소값을 산출하여 그 절대값을 전, 후, 좌, 우 방향의 자세 안정성 한계의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비만 여부와 기울이기 방향에 대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좌우 방향의 안정성 한계가 전후 방향의 안정성 한계보다 컸다. 둘째, 비만 집단이 정상체중 집단보다 안정성 한계가 작았다. 특히, 비만 집단과 정상체중 집단간의 차이는 전방 안정성 한계와 오른쪽 안정성 한계에서 나타났다. 즉, 비만 집단은 정상체중 집단과 비교해서 앞으로 기울이기아 오른쪽으로 기울이기 능력에서 결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만한 사람들의 자세 유지 능력의 부족을 의미하며, 비만과 자세 제어에 관한 추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건조김의 저장 중 품질 안정성에 미치는 저장조건에 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기 위해 몇가지 광원, a , 포장 및 온도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건조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16:0(13.6%) 및 20:5(45.7%) 이었다. 건조김의 품질 안정성을 지방질 산화 및 chlorophyll 함량의 변화로 판단할 때, 건조김의 품질은 형광등 하에서 가장 악화되었고, 다음이 백열등, 암소저장 순 이었으며, 또한 a 가 증가할수록,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급격히
식품부산물인 포도과피에 함유된 수용성 색소인 anthocyanin을 새로운 천연식용색소로 개발하고자 pH, 당, 유기산 및 빛 등의 영향에 대한 색소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포도과피의 anthocyanin 색소는 pH가 낮을수록 색깔의 강도가 높고 안정하였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영향은 pH가 낮을수록 안정하였고 pH 가 증가할수록 색소파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