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concerned with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mall scale hospital. We intended to developing image management system which is used of the existing analog devices such as medical camera, supersonic analyser, endoscope etc. We deve
Since ultrasound has different reflections depending on components of organization, analysis of ultrasound images of skeletal muscle can offe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ports as concerns skeletal muscle structu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ultrasound method for evaluat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keletal muscle and also conducted to examine its practicality. After obtaining images of the elbow flexors from an ultrasound image device with 88 normal subjects whose ages were between twenty and seventy years old (44 men and 44 women), muscular density and white area index (WAI) which indicat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keletal muscle were analyzed with gray scale analysis.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subject's age and items which obtained from measuring ultrasound images and the differences in relations to sex and age. Muscular density and WAI had a high correlation with age 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en and women with greater ag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skeletal muscle structure which analyzed the ultrasound images has high practicality because it is a non-invasive method which complements physical therapy diagnosis and research methods and promotes functionality evaluation.
통증은 다른 일반 감각과는 달리 감각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이 있어, 인격, 기대, 암시, 과거 통증경험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환경 등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의 호소를 객관화하려는 노력은 여러 통증 치료 의사들한테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도 정확한 객관적인 진단방법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최근에 PET이나 fMRI의 등장은 이러한 면에서 통증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움을 주고 있고 현재에도 이러한 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뇌는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부위의 뇌 신경활동이 항진되면 이와 함께 그 부위의 국소적 뇌 혈류 및 대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리적 변화를 이용하여 뇌에 국소적 신경활성화가 생기는 위치를 mapping 할 수 있다. mapping 대상 뇌 기능은 지각, 운동, 기억, 언어 등의 기능에서 출발하여 최근 감정, 정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판단, 의식, 마음까지 조사대상이 넓어지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뇌 기능 영상기법에 대한 내용과 뇌 기능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통증의 평가를 어떻게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망막은 각막, 동공, 황반부, 시신경원판 등으로 구성된 눈의 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망막은 사진기처럼 모든 물체로부터 빛을 감지하기 때문에 손상될 시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며 깐혹 시각을 앓기도 한다. 안과학분야에서 안과학자들은 망막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특수한 기계를 사용한다 이 연구에서 레이저 스캔 및 공초점 시스랩을 사용하여 망막 형상 습득을 위한 기계 를 개발하는 기초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슬레지, 광량 감쇄기, 폴리곤 미러와 검류계를 포함하는 종합 광학 시스템은 레이저의 통제 및 망막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해 광학 bed 에 설치하였다. 스랩 모터, 레이저 파워 및 APD를 통제하기 위해 Visual C++ 로 인해 모아진 제어판은 ADA ← board와 함께 제공되었다 동시에 망막을 측정하기 위한 소프트혜어를 Open GL(영상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는 망막 측정 시스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