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8

        116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mental values obtained from existing papers and the analytical values obtain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show a similar aspect, with a yield load of 74.5 kN in the experiment and a yield load of 69.3kN in the analysis result showing a difference of about 6%.
        116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116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보를 가공하고 조직화하는 제작자 중심에서 시각적 요소 활용과 디자인 사고의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크 버틴(JacqouesBertin)의 정보의 시각화 요소, 그래픽 요소를 정리하였다. 더불어 인포그래픽의 편집은 내용과 구성에 따라 시각적 요소를 적절히 배분하고 적용하는 관점과 틸(Teal)의 “디자인 사고란 확산적 사고를 기반으로 가능성을 도출하여 해결책을 찾는 사고법”이라는 것을 통해 인포그래픽 제작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기 위한 과정을 디자인 사고 중 하나라는 관점을 가진다. 사례연구에서 정보의 가공과 시각화 단계의 결과물을 대상으로 회상적 보고 중 하나인 리뷰의 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이포는 사용자에게 주목성을 이끌고, 아이콘 역할을 하여 세부적인 설명글을 이끌어주는 요소로, 평면도형은 정보의 내용을 구분 지어주는 요소와 시각적 저해요소로도 활용되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편집 레이아웃에서 단순한 요소와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요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색상은 정보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인근한 요소들의 색상, 정보의 의미를 반영한 색상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개념적 정보가 시각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 요소의 활용과 편집의 복합적인 개념이 작용하겠지만 정보가 가지는 개념적 내용이 효율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시각적 표현의 결과물이 정보전달의 요소라고 할 때 디자인 제작 단계에서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보의 조직화 시각화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최소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16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ile cities became bigger and bigger since 1990s, many indiscretely high buildings started to be built in the mountain areas inside a city and in the rural areas in the suburb of each city. To regulate such indiscrete developments, the government prepared for some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criteria by having enacted the “Landscape Act” and established a strong management mean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by having introduced the natural landscape deliberation system and the landscape deliberation one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owever, since some uniform levels of absolute height and no. of stories are suggest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it is hard to consider the effects of a real building structure onto the relevant landscape. Accordingly, this thesis is intended to grasp the contrast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allowable height section, which is presented through landscape sensitivity. As the results from the visual contrast rating on a small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Dangjin and a large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Seosan as the apartment complexes surrounded with natural landscapes tha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finalized. First, there were deducted some factors, that is, forms, lines, colors, textures and sizes as the ones with which can measure and evaluate the contrasting properties when a structure gets into a natural landscape. Second, in case of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compared to a large one (in the foreground), it was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ies were bigger.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y of the landscape factor of the foreground compared to that of the middle one becomes bigger depending on a distance. Third, as the results from an evaluation on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each floor of a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s, forms, lines, colors, textures and sizes are very significant. Among those factors, the factors, forms and lines in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showed each log regression. But in all of the other cases, they showed each line regression. Fourth, as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landscape factor, the coefficients of the shapes and lines have similar coefficients and the colors and the textures have similar ones, too. In case of the sizes of apartment complexes, the colors and the textures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have similar coefficients, in case of that in the middle ground, the shapes and lines have similar coefficients. Fifth, as the results from estimating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on the floors within the allowed scope of the landscape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y was 3.5 to 4.9 in case of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but 2.5to 3.7 in case of a small scale of one. In case of a large scale of apartment complex, the value was 3.5 to 5.3, but in case of a large one in the middle ground was 2.9 to 4.9. Sixth, it was comprehende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becom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size of apartment complex and the distance of a view point.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find the meaning from the aspect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comprehending a proper range of heights of structures objectively during a natural landscape deliberation or a landscape deliberation.
        116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조각구와 우전위 요소들을 도출해 내는데 있어서 저자의 핵어선 분석이 기존의 다른 분석들보다 더 수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특히 논문은 최근 Kim(2017)이 핵어말 구조을 가정하여 제시한 새로운 주장들을 검토해 보고 이들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Kim의 주장이 주목을 받은 것은 관용 표현을 이용하여 새로운 주장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즉 공백 우전위 구문에서 우전위 요소는 단일절로부터 이동에 의해 도출되나, 조각구는 제자리 생략에 의해 이동 없이 유도되며 무공백 우전위 구문의 우전위 요소도 이중절에서 제자리 생략에 의해 이동 없이 유도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잘적인 분석들을 더 들여다 본 결과 저자의 핵어선 단일절 분석이 Kim의 문제들을 직면하지 않고 또 논의하는 관용적 의미의 출현과 부재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더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116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별 환경, 정채 흐름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어온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도시고형폐기물을 비롯한 폐자원을 증기, 열, 전력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에 의거하여 사업장에서 폐기물을 변환시켜 생산된 연료 및 소각 열에너지를 신재생에너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자원순환기본법」의 소각처분부담금 감면을 위한 에너지 회수율 증진을 목적으로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 중 열적처리의 시장 규모는 연간 190만 달러, 연평균 4.3%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선진국 대비 국내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력은 50% 이하의 낮은 수준을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평균 증기발전 효율이 10% 정도로 매우 낮으며,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은 주로 발전 보다 증기의 직접적 이용에 편향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 공정에 요소기술 적용 시 에너지 절감량을 열정산법에 따라 산정하여 에너지 고효율화 및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각시설에 적용한 요소기술은 증기 회수 및 활용을 중점으로 ①열 회수 능력강화(저온이코노마이저, 낮은 공기비 연소), ②증기의 효율적 이용(저온촉매탈질, 고효율 건식 배기가스 처리, 백연저감 미적용 또는 가동 중지, 배수폐쇄 시스템 미적용), ③증기터빈 시스템의 효율 향상(고온고압 보일러)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은 요소기술 적용 시 추가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증기량을 기준으로 보일러 배기가스량, 폐기물 저위발열량, 각 요소기술 변화 요인(과잉공기비, 출구온도 등), 국가고유 전력배출계수를 바탕으로 산정하였다.
        116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structural behavior of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of modular system was evalua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FEA). As a result of FEA, results of experiment and analysis were nearly similar to validate analysis model. Parametric analysis will be necessary using this valid analysis model
        116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influence factors of heat transfer in a voided slab under fire situation. The effects of a void in a slab on heat transfer are presented and the result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for each influence factor. For this purpose,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heat transfer factors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in a voided slab.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fluence factors which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spectrum were derived.
        116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 of meso-scal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on concrete split tensile strength. Using the meso-scale finite element analysis, an analytical study on split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was conduct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size effect on split tensile strength was confirmed.
        117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KEPIC-SNG, the domestic technical standard of the SC structure, the condition that the baseplate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s is not bonded to the surface plate is suggested. However, if the baseplate is bonded only to the wingplate, all of the rebar loads generated on the baseplate will be transferred to the wingplate. The wingplate is expected to be conservatively designed in spacing and thickness to support the rebar load. In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bonding conditions between surface plate and baseplat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tructural strength was increased when the baseplate and the surface plate were bonded. Based on this result, it is possible to propose an economical design for the RC-SC connection such as increasing the wingplate spacing.
        1171.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지점부 경계조건을 고려하여 단순보의 유한요소모델을 개선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유한요소모델개선 기법은 주로 가속도 응답으로부터 추정된 동특성(고유진동수, 모드형상)을 이용하여 유한요소모델을 개선하였다. 이렇게 개선된 유한요소모델은 실제 구조물의 정적응답을 예측하기 어렵고, 잘못된 구조물의 물성치를 추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안된 기법은 먼저, 구조물의 처짐과 지점부 회전변위를 계측하여 지점부 경계조건을 간략화한 유한요소모델의 회전 스프링 강성을 정량적으로 추정한다. 회전 스프링 강성이 개선된 유한요소모델과 구조물의 동특성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물성치를 추정함으로써 최종 개선된 유한요소모델을 구축된다. 제안된 유한요소 모델 개선 기법과 기존 유한요소모델개선 기법을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 및 검증하였다.
        1172.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둥축소량을 발생시키는 원인과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코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코드에서 언급하고 있는 내용들은공시체의 건조수축, 크리프,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그리고 구조해석에서 산출되는 탄성변형을 다루고 있으나, 장기간의 모니터링에 의해 나타나는 온도에 의한 변형은 기존의 연구에 의해 발생되는 요소들에 의한 것보다 축소량이 적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온도에 의한 변형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건조수축, 크리프 및 탄성변형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공시체의 실험에 대해서는 온 도에 대한 항목은 습도에 대한 항으로 대체하여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제안식에 의한 보정수치는 축소량 산정시 상부방향 4.9 mm 와 하부방향 1.0 mm의 오차를 나타내어 측정에 의한 수치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기둥축소량 산정에 있어서 누락 될 수 있는 온도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더 연구하여 그 영향계수를(수직온도보정계수,) 고려하고, 공시체의 시험뿐만 아니라 구조체의 온도 보정에 관한 기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1173.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연성중심의 보강을 위하여 벽체의 양단부에서 경계요소를 형성하는 내진 보강공법이 적용된 벽체의 반복 휨 거동을 평가하였다. 벽체 경계요소에서 구속효과를 위한 횡보강은 프리스트레스트 와이어로프를 사용하였다. 주요 변수는 제시된 단면 확대공법의 보강 높이로 하였다. 최소 보강 높이는 보강 벽체와 기존 벽체의 모멘트 분포의 비교로부터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제시된 보강방법은 벽체의 휨 강성 및 연성향상에 매우 효율적이었는데, 최대내력 시 강성과 최대내력의 80%지점에서 산정한 일손상지수는 무보강 벽체에 비해 각각 평 균 46%와 210% 증가하였다. 보강높이가 벽체의 일손상지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보강높이가 2.0 이상일 때 중요하지 않았다. 보강된 벽체 의 휨 내력은 ACI 318-14에서 제안하는 등가응력블록을 통한 예측 값보다 22% 이상 높았다.
        1174.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마다 쏟아져 나오는 신제품들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 마케팅 전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시장을 먼저 선도한 업체와 뒤쫓아 가는 업체들의 경쟁 또한 더욱 가열되고 있다. 대기업을 기반으로 한 회사들은 상대적으로 모기업의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광고 마케팅을 해 시장진입이 그나마 쉬운 반면에 별다른 브랜드 기반 없이 시장에 진입해야 하는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들의 진입장벽은 더욱 어렵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품의 신뢰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소비자와 가장 접점에 있는 패키지 디자인의 수준 격차는 선도업체와 더욱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홍삼 농가들의 해외 수출을 위한 국가경쟁력과 국내 판로 개척을 위해 현재 국내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이는 상위 업체 4개 브랜드 28개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요소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2~3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98명을 상대로 한승문(2009)의 패키지 디자인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한 6가지 평가기준을 대입하여 4개의 우수 패키지디자인 제품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우수 패키지 디자인을 참조하여 새로운 지자체 홍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추후 제품경쟁력이 있음에도 우수한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조사 분석 없이 무분별하게 이루어지는 지자체 농수산 브랜드 업체들의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자료로 쓰이기를 기대한다.
        117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트리트 파이터 2는 1990년대 대전 격투 게임(Fighting Game)이라는 장르에서 혁신적인 역 할을 하였던 게임이다. 이 게임이 흥행했던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필자는 캐 릭터의 배경음악(Background Music)에 관하여 서술하고자한다. 사운드적인 측면에서 열두 명 의 캐릭터에 어울리는 주제음악(Theme Music)과, 각 캐릭터의 기술을 사용할 때 나오는 보이 스(Voice)가 탁월한 게임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2는 캐릭터의 체력에 따라 배경음악이 다른 양 상을 보이는데 이를 화성적으로 분석하고, 음악 심리학(Music Psychology)의 관점에서 연구해보 고자 한다.
        117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강현실 토이게임은 이런 증강현실 게임의 개념 내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게임 장르의 일종으 로, 현실세계의 완구를 이용해서 게임을 진행하는 콘텐츠 혹은 하드웨어를 부르는 용어이다. 본 연 구는 이런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토이게임 개발에 관한 모델을 위한 요소를 분석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른 게임과 다르게 나타나는 토이 게임의 세 가지 특징을 기존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선정한 요소들을 증강현실 토이게임을 개발할 때 고려할 중요 요소들을 도출했다. 도출한 요소들의 개발요소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진행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방법으로 분석해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일부 문항을 제외하고 변수 선정의 합당한 결 과가 나왔으며 요소다차원척도법으로 분류해 본 결과 군집분석에서 합당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1177.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명시적 학습에서 암묵적 요소를 최소화시킨 명시적 학습과 암묵적 학습의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었다. 방법: 36명의 피험자들은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들은 배드민턴 경험이 없는 여자 중학생으로 구성하였다. 과제는 배드민턴 서브라인에서 반대편 코트에 위치한 목표물을 향하여 쇼트 서브를 정확하게 넣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시적 운동학습 효과와 암묵적 운동학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습득단계 3(집단) × 4(분단), 파지단계 3(집단) ×2(분단), 그리고 지연파지검사단계에서 3(집단)×2(분단)에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습득단계에서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파지단계와 지연파지단계에서도 암묵적 운동학습 집단이 명시적 운동학습 집단보다 오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17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yields,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11 adzuki bean cultivars cultivated in a paddy field with somewhat poorly drained soil. The adzuki bean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the paddy field from 2015 to 2016 in Milyang, Gyeongsangnam, Korea.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16.5% in 2015 and 31.0% in 2016 at the experimental site during adzuki bean cultivation. As the soil moisture content increased, most of the adzuki bean cultivars showed deceases in stem height, first setting pod node, number of pods, 100 seed weight, and yield. Chungju-pat produced the greatest yields among the 11 cultivars in 2015 and 2016, whereas Hongeon had the smallest yields. Adzuki bean yields after paddy field cultivation was lower for all cultivars than for adzuki bean yields from the same cultivars after upland field cultivation. Chungju-pat and Chilbo-pat showed the smallest decreases in yields after paddy field cultivation, whereas Hongeon and Kumsil showed the greatest yield reduc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omposition. Some mineral components (P2O5, Ca, and Mg)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cross cultivars. Chungju-pat had the highest Ca and Mg contents, but antioxidant components (polyphenol and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ABTS and DPPH) were highest in Saegil and lowest in Jungbu-pat. PCA and clustering analyses, based on the growth, yield, and antioxidant component measurements, performed to identify which variables contributed the most to separating adzuki bean cultivars or to grouping cultiva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had the most influence on grouping cultivars together. Among the 11 cultivars, Saegil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cultivars, but the other 10 cultiv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paddy field cultivation. Soil moisture content affected adzuki bean yield and antioxidant component contents.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led to a decrease in yield, but an increase in antioxidant components.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improve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adzuki bean cultivar for use in paddy fields.
        117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n analytical research on the size effect of concrete flexural-compressive strength. The meso-scal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analyze various sizes of specime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effect that the flexural-compressive strength becomes smaller as the size of specimen becomes bigger is analytically confirmed.
        118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est and requirement of seismic qualification for nonstructural components are increasing in South Korea after observing nonstructural component failures by Kyungju earthquake on 12, October, 2016. However, amplification of input motion by hight of building are not considered in most of seismic qualification or design for nonstructural component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seismic loads are compared which is applied to seismic qualification or design for structural or nonstructural component. As a result, amplification effect by vertical location in a building for nonstructural component should be considered for efficient seismic qualifications. Also, further studies are needed how to apply those amplification effects to required response spec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