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색 스프레이 카네이션 품종 ‘Lyra’는 노랑색 스프레이 품종 ‘Ballantyne’와 적색 스프레이 품종 ‘Chateau’을 인공 교배하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Lyra’는 1999년에 교배하여 2001-2003년까지 품종 특성을 조사하였고, 2003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Lyra’는 밝은 분홍색 절화 스프레이 품종으로 다 분지성이고 절화장이 길며 향기가 있는 조기 개화성 품종이다. 절화 수명은 7일이고 시들음병에는 중간정도의 저항
‘춘풍적축면’은 ‘포자비적축면’과 ‘먹치마’를 교배 육성한 잎상추로 누운타원형 잎을 가진 축면 상추이다. 2000년 교배하여 2007년까지 계통육종법에 선발과 고정을 하였다. 전국 6개 지역(대관령, 경기, 충북, 전북, 경남, 제주)에서 2년간 봄, 여름, 가을 재배하였을 때 평균 2,069 kg/10a을 나타내어 기존 품종보다 주당 53매 정도의 잎을 수확할 수 있으며, 주당 무게는 평균 372 g으로 6% 수량성이 많은 품종이다. ‘춘풍적축면’은
1998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Athena’ 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백색 스탠다드 ‘Tinek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1999년에 95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선발 된 ‘원교 D1-19’를 ‘White Day’로 명명하였다. ‘White Day’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149D이며 화형은 반고심형의 화형이며 향기는 ‘Tineke’에 비하여 많
‘Heidi’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4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에 생육이 왕성하고 진분홍색인 ‘Freedom Rose’를 모본으로, 진한 녹색 잎에 결각이 있으며 적색인 ‘Red Velvet’을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2년과 2003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9’를 육성하였고, 2004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Heidi’로 명명
‘드림문’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계통의 국화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5년도에 황색 스프레이 국화 ‘Patra (yellow)’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분홍색 ‘Sei-Rosa’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화색과 화형이 우수한 12계통을 예비 선발하였다. 2006-2008년 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과 품평회로 4번째 개체인 ‘GCS06-27-4’를 최종선발하여 ‘드림문(Dream Moon)’으로 명명하였다. ‘드림
복숭아의 기원은 중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장기간이 짧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낮았다. 이런 이유로 육종가들은 저장성을 높이는 것과 향과 맛을 좋게 하는데 육종 목표를 설정했으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육종가들은 이 목표에 따라 새로운 품종(‘천홍’, ‘수홍’, ‘하홍’, ‘유명’, ‘백미조생’, ‘천향’, ‘진미’, ‘수미’, ‘미스홍’, ‘유미’)을 육성하였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는 육성 품종의 보호와 특허권을 확보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마커의
고품질 녹색자엽 검정콩 신품종 육성 연구의 일환으로 녹색자엽의 유전자원별 녹색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 및 조성과 이들의 유전양상을 검토하고, 유전적 배경을 달리한 녹색자엽 자원을 활용한 녹색자엽 검정콩의 선발 효율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유전적 배경이 상이한 녹색자엽 자원을 검정콩 육종프로그램에 도입코자 실시한 특성조사 결과 핵유전 녹색자엽 유전자 d1d2를 보유한 자원은 세포질 유전 녹색자엽 유전자 cytG를 보유한 자원보다 총 엽록소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경향이었고, 조성에서는 d1d2 보유 자원은 엽록소 a의 함량이 엽록소 b보다 2배 이상 높고, cytG 보유 유전자원은 엽록소 b의 함량이 엽록소 a 함량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2. 핵유전 녹색자엽 유전자(d1d2)는 당대의 종실에서 발현되어 F1 세대의 F2 종실에서부터 선발이 가능하며, 2개의 열성유전자에 지배를 받는다. 3. 녹색 종피의 핵유전 녹색자엽(d1d2)과 황색자엽 검정콩(D1D2)의 교배후대에서 검정색 종피에 녹색자엽 종자를 가진 개체는 모본의 유전적 배경에 따라 조금은 다르지만 F2 전체 개체 중 3% 미만의 낮은 비율로 나타나, 향후 핵유전 녹색자엽 검정콩 신품종 육성효율 증진을 위해서는 핵유전 녹색자엽 검정콩 중간모본 개발과 선발방법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999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Escimo’ 품종을 모본으로 생육이 우수하고 다수성인 스탠다드 ‘Medeo’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0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840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걸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54’를 ‘Honey Lemon’로 명명하였다. ‘Honey Lemon’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
1998년도에 절화장이 길고 화형이 우수한 적색의 스탠다드 ‘레드산드라’ 품종을 모본으로 꽃수가 많고 줄기가 강건한 주홍색의 스탠다드 ‘바로네스’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1999년에 파종 후 287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27’을 200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스노우
1999년도에 분홍색의 대형 스탠다드 장미 ‘Silba87’ 품종을 모본으로 화형이 우수하지만 흰가루병에 약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Bravo’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2000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2080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 선발 된 ‘원교 D1-37’을 2003년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07년 황색 겹꽃프리지아 품종 육성을 위한 목적으로’02년 2월에 ‘Golden Crown’과 ‘White Wing’ 조합의 실생계통과 ‘Yvonne’ 품종을 교배하여 연황색 다화성 품종 ‘Shiny Lemon’을 개발하였다. 2002년 2월 교배하여 300개의 종자를 획득하였으며, 실생으로부터 파종 7개월 후 화색이 선명한 연황색 다화성 겹꽃 우수개체를 1차로 선발하였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4년에 걸쳐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wo different types of feed additive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cost in growing and finishing pigs. One additive is an herb extract, with Fenugreek (Trigonella foenum graecum) as the main component, while the other feed additive contains aminolevulinic acid (ALA). In the first experiment, 128 grower pigs were allotted to 4 different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8 pigs per replicate; the trial lasted for 28 days. The positive control group (PC) which is the control group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wth rate (580.6 g/d) followed by the ALA group (532.0 g/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There were marginal reductions in feed costs measured as feed cost per head in ALA and HE added diet. However, the feed cost per weight gain of ALA treatm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C)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In the second experiment, 80 finisher pigs were allotted to 4 treatment groups and replicated 4 times with 5 pigs per replicate; the trial lasted for 70 days. The treatment group supplemented with an herb extract (HE) had a significantly higher (p<0.05) feed intake (2,415.8 g/d)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Feed cost per head in HE and ALA treatments were higher than PC treatment, and feed cost per weight gain of HE was higher than PC treat (p<0.05). The results from these experiments suggests that these two types of feed additives can both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without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animals. And aminolevulinic acid was good in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st of grower and finisher pi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