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9

        90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늘날 직장인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에 있어 상사부하교환관계와 조직지원인식이 조직 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조직유효성을 높이는데 있어 중요하게 인식 되고 있는 구성원의 조직응집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 일과 가정 사이에서 양립할 수 없는 개인의 역할 요구에 있어 느끼게 되는 갈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조직지원인식과 상사부하교환관계를 선행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조직응집력 변수를 종속변수, 그리 고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지원인식과 상사부하교환관계 모두 조직응집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나 조직응집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일과 가정 사이에서의 개인의 역할 갈등 중 일-가정 갈등은 조직응집력에 유의하지 않았으나, 가정-일 갈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일 갈등이 조직응집력에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갈 등과 가정-일 갈등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조절효과의 경우 조직지원인식과 일-가정 갈등의 상호작용항 을 투입한 분석만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상사부하교환관계가 구성원의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는 영향을 미친다 는 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개인의 역할 갈등이 조직응집력에 부정적 영향 요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의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오직 조직지원인식과 일-가정 갈등의 상호작용항만이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 조직응집력에 있어 일에서 시작되는 역할 갈 등이 높을수록 조직응집력을 낮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6,400원
        90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직장인 이직문제는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분노, 조직지원과 같은 요인이 직장인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 직장인의 분노관련 연구는 매우 적으며, 분노가 직장인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기 위한 보호요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분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분노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지역소재 직장인 3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장인의 분노는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 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인식은 직장인의 분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노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이 이를 완화하는 보 호요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의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직지 원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직장인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지원 하기 위한 다양한 정신건강 관련 개입 방안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언하였다.
        5,700원
        90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경관향상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산시를 대상으로 시민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설문 구성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경산시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성별, 연령, 거주기간 등에 관한 3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관 인식에 관한 설문으로는 경관이 과거보다 좋아진 이유 또는 나빠진 이유,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산시의 경관이 좋아진 이유로는 ‘하천이 정비되어서’가 24.3%로 가장 높 았고, ‘도심가로가 정비되어서’가 22%로 다음으로 빈도가 높았다. 경산시의 경관이 나빠진 이유로는 ‘도심가로가 복잡 하게 되어서’가 2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고층건물 및 아파트 건설’ 17.3%의 빈도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경관 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하천 등을 정비(26.8%)’하고, ‘가로수 및 간판 정비 등 가로경관 개선(21.8%)’을 우선적 개 선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행정중심의 하천 및 도심가로 정비가 도시경관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공원녹지 조성, 기존 공원 및 광장 정비, 산림보호 강화 등과 같이 도시의 녹지가 도시경관향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
        4,000원
        904.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공정성의 인식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윤옥경(2006), 김응분(2010), 최은하(2013) 등 연구에 따르면 여성교도관은 남성교도관보다 조직 내 제한된 범위내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주장에 따라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 여성교정공무원이 생각하는 조직 내 공정성을 파악하고, 조직 내 공정성(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9일부터 28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유효한 설문지 107부를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조직 내의 공정한 절차보다는 결과 측면의 보상과 관련된 분배공정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교정공무원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상, 근무환경, 직무와 관련된 승진 등의 내재적 만족도를 높이는 등 인적자원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6,100원
        90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uge the opin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f English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t seek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and provide referential data necessary to run a better English policy in school.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294 particpants including 2,040 parents of public schools and 1,254 English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2 questions about the policies of TE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and the 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We used the SPSS 20.0 software to perform chi-square and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nd parents were in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both TEE and the NEAT.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parents thought that teaching English in English is important, and that the NEAT should be used for practical English improvement.
        5,400원
        906.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조품 이미지의 산자이 브랜드들이 최근 시장에서 급속도로 수용되어 주류 글로벌 브랜드를 위협하게 된 이유 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그에 따른 실용적 소비 마인드의 활성화가 소비자로 하여금 산자이 브랜드의 낮은 상징적 가치보다는 우수한 실용적인 측면을 중시하게 하였고 이에 따라 산자이 브 랜드 선호가 증가하게 되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산자이 브랜드 선호 사이의 인과관계 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계층 이동성이 제한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는(vs. 제한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 기능적, 실용적 측면에서 우수하나 브랜드 의 상징적 가치가 낮은 산자이 제품의 선호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현상은 낮은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이 소비자들의 실용적 소비 마인드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을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러한 결과는 최근 글로벌 사회에서 널리 담론화되고 있는 사회계층 이동성의 둔화가 소비자의 제품 평가와 선호 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700원
        90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ood quality in a company cafeteria located in Daejon. 400 people were given questionnaires, of which 34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or analysis (90.25% response rate). Our results show, 85.63% of customers eat at the cafeteria more than 3~4 times per week. 48.68% of people surveyed chose their meal based on the proximity when they enter the cafeteria. 39.59% sai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ating at the cafeteria was taste. 33.72% said it was quality. The type of food that was leftover the most was ‘Guk’ (soup). 52.20% said ‘Guk’ was leftover due to the awful taste. Food quality (34.60%) and taste (34.02%) required the most improvement according to those surveyed. Additionally, we divided food quality into 3 factors: ‘sanitation & service’, ‘food’, and ‘menu composition’. People who marked down ‘no other place to eat’ was the reason they ate at the cafeteria also had the lowest satisfaction scores across all items (p<0.001). Improving the ‘Guk’ and ‘meat’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leftover food. Unsurprisingly, the ‘taste’ of leftover food had the lowest satisfaction scores. Those who had the lowest quality satisfaction scores also wanted to improve ‘taste’, ‘quality’ and ‘sanitation’ the most (p<0.001).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odservice manager can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afeteria food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taste, quality and sanitation of the food that it serves.
        4,000원
        908.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검토하여 리더십 유형과 제도적 환경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사회자본의 구성요인으로 신뢰, 참여, 네트워크를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신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는 제도적 환경으로서 제도 공정성과 성과관리가 높을수록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참여를 형성하는데는 리더십 유형 중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며, 이를 근거로 해양경찰의 사회자본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리더십의 변화와 제도적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000원
        909.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ocal food value perception on purchasing and experience inconsumers. χ2-test,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most common place for buying agricultural products was ‘hypermarkets’ (41.7%),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purchasing local food was ‘local government’s certification products’ (23.7%). The most important value recognition itemfor local food was ‘I think that local food is a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3.74 points), followed by ‘I think that localfood have a value of respect for customers’ (3.61 points) and ‘I have a faith for the local food.’ (3.61 points) in that order.The main tourism experience activity was ‘food experience’ (49.0%), and information source of local food experiencetourism was ‘mass media (TV, newspapers, etc.)’ (37.3%). As age increased, experience of local food also increased. Themost effectual value recognition item for purchasing local food was ‘I think that local food have a value of respect forcustomers’. The most effectual value recognition item for increasing intake experience of local food was ‘I think that the localfood is high-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4,000원
        9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health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ood recognition, snack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of 1st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Subjects were 5,554 students from 16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nd 3,406 students from 9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in Seoul, Korea. Students from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for facility satisfaction and hygiene satisfaction (all p<0.05). For fruit, the preference (p<0.05) and recognition (attitude, p<0.001: intention, p<0.05: eating habit, p<0.001: social-environment, p<0.001: self-efficacy, p<0.001) of students in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For the habit of checking the manufacturer, students in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in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p<0.05). The result suggested that we hav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fruits can be purchased easily at a tuck shop and to educate adolescents for the importance of healthy food purchasing behavior. In conclusion, healthy school tuck shop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ssibility to healthy food.
        4,000원
        91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ges in perception concerning nutrition labeling and students' availability of processed foods and is to investigate parents'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on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conducting directly to the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105 persons) by the nutrition teacher in each school. The part that checked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education, the name of manufacturer (p<0.05), raw material and content (p<0.001), food additives (p<0.001), nutritive components (p<0.05) et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 idea about nutrition labeling has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the question items in 'it is reliable' (p<0.001), 'satisfied'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In spite of one time education, it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t can be possible to get desired nutrition information. Thus, although it was one time training conducted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carried out formal education due to school environment, a variety of practical education of children's dietary life is required targeting comprehensive senior students,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conducted for children as well as parents.
        4,300원
        91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뢰성 해석을 수행할 때 정보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식론적 불확실성(epistemic uncertainty)은 고유의 변동성에 의해 존재하는 내재적 불확실성(aleatory uncertainty)보다 더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개발된 확률이론은 주로 내재적 불확실성을 모델링하는데 이용된 반면, 인식론적 불확실성의 모델링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접근법이 없었다. 최근 이를 위해 probability theory를 포함한 여러 접근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통계적 이론들을 바탕으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각 방법들의 결과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장 확률을 계산하는 문제를 가지고 이러한 방법들이 인식론적 불확실성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robability method, combined distribution method, interval analysis method 그리고 evidence theory를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문제에 대해 각 방법들의 특징들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력변수의 확률분포 형태를 알 수 있다면 probability method가 가장 우수하나, 이를 전혀 모르면 interval method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계산비용 면에서는 두 방법이 유사하므로 결국 입력변수의 확률특성 정보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방법을 선택한다. Combined distribution method는 failure probability의 평균만 제공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이 방법은 계산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Evidence theory는 probability와 interval 방법의 중간에 해당하며, 구간별 probability assignment를 세분화 할수록 probability결과에 접근한다. 이 방법은 계산비용이 가장 높은 것이 문제이다.
        4,000원
        91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직선교 모델의 객체인식을 통해 각 객체별 고유 명칭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3차원 객체의 수치적 인식을 위해 국부 좌표계 상의 솔리드 객체 도심 좌표를 활용하였으며, 객체의 분류, 부재의 구분, 교량 방향 인식 등을 수행하여 객체특성집합을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경간정보, 부재정보, 객체의 순서정보를 포함한 객체별 고유 명칭을 부여하였고, 트러스 교량 모델 및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갖는 교량모델에 적용하여 각 부재별 객체특성집합을 이용한 명칭의 부여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제 교량의 3차원 모델을 대상으로 제안된 방법론을 통해 객체특성집합 정의 및 객체별 명칭을 부여하였고, 이를 매개로 모바일 장치용 모듈과 로컬 서버용 모듈에 적용하였다. 객체인식을 통한 명칭부여 알고리즘을 활용한 방법과 기존 현장점검 방식의 비교를 통해 기존 유지관리 현장점검 업무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91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ared evidences on the definition and variables of intrinsic motivation of French and English learners. In spite of its prevalence and importanc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has been underestimated and ill-defined. This study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studi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ticle,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reviewed around two main issues: Firs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otivation; then,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The findings showed that, set aside intrinsic values, all the variables for learning English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learning French. Howev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Fren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learning English.
        7,000원
        91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 및 구성원의 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상호작용공정성은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조직지원인식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구성원의 정서적 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연구모델을 제안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293명의 포항지역 철강산업단지 내 기업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방법에 의해 모은 자료를 SPSS 20 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에, 상호작용공정성은 상사 -부하 간 교환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과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는 정서적 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부하 간 교환관계는 정서적 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환이론의 틀 내에서 상사와의 개별적인 관계 보다는 조직과의 관계가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력이 더 높다고 본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의 개별적인 관계가 조직과의 관계보다 이직의도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91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무원 청렴도는 국가 브랜드 향상 및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핵심요인이며 사회적 자본형성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2014년 부패인식지수는 100점 만점중 55점으로 6년 연속 하위권에 정체되어 있고, 국내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청렴도평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청렴도는 하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다수의 청렴정책 발표와 감사원 징계를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어 공무원의 청렴 또는 반부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가 중요하다는데 출발한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경상남도 공무원 집단을 대상으로 청렴도 인식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통해 청렴도 향상방안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청렴도 및 청렴도 노력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였고, 행정분야별 청렴도는 소방, 토지, 환경이었으며, 건축·건설·주택은 매우 낮게 인식하였다. 부패인식에서 부패계층으로 국·과장 (46.5%)이 가장 높고, 부패업무분야는 공사발주 분야(45.4%)가 많으며, 부패원인으로 공무원 부패행위에 대한 관대한 처벌(30.6%), 부패유형은 직위를 이용한 알선이나 청탁(35.7%)로 높게 인식하였다. 청렴정책은 인지하는 정책으로 반부패청렴교육(79.4%), 효과가 큰 청렴정책은 원-스트라이크아웃제(28.9%), 부정 인지시 대처방법은 내부고발시스템 이용(23.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부패에 대한 공무원의 관대한 인식, 둘째 공무원 청렴교육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 셋째, 익명성보장내부고발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 마련을 제시하였다.
        6,000원
        9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od safety accidents like the occurrence of domestic animal diseases create an air of anxiety in consumers and increase their concerns about animal welfare.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 awareness of animal welfare livestock and attempted to look into the impacts of consumer awareness o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 It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y difference in considerations of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depending on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nd consumption intention using Levene's equal varianc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ir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livestock on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 consumption intention,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sumer awareness, consumers were little aware of animal welfare while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animal welfare and had the intent to consume livestock products produced following animal welfa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wareness and consumption intention of animal welfare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between people who were aware of animal welfare and those who were not. In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onsumption intention, people who had the intent to consume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s cared more than those who did not. Likewise, people who had the intent to consume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s cared about the place of purchase, price, freshness, taste and quality more than those who were not. As a result of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two factors of internal property and external property of consideration in livestock products, it turned out that internal property only had impacts on consumption intention. Thus, considering the consumers' consciousness that they would like to be provided with safe livestock products relevant to items such as safety and reliability among their considerations in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the government and livestock industry should establish an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for animal welfare livestock products
        4,300원
        91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experi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how they perceive English grammar education with regard to its role in learning English and the need and ways of including grammar instruction into the curriculum.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23 teachers and 1513 6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ith 20 teachers were done through e-mail.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re three-fold.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hey perceived that English grammar knowledge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ing English. Second, majority of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grammar instruction should start in 5th grade,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mmar teaching approaches; the teachers prefer the inductive method, while the students prefer the deductive one. Third, many teachers considered that grammar instruction woul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English class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but they believed that activities for grammar instruction should be well designed in order to keep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made.
        8,700원
        91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운전능력에 필요한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신경심리학적 인지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와는 달리 운전상황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한 컴퓨터 기반 운전상황인식 과제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인지평가도구와 운전상황인식 간에 상관관계와 운전상황인식 과제에 대한 인지요소의 설명력을 조사하여 공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운전상황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컴퓨터 기반 운전상황인식 과제이다. 신경학적 인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와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Korean Wechsler Aadult Intelligence Scale-Ⅳ; K-WAIS-Ⅳ)중 작업기억 검사 항목과 기호쓰기(coding subtest)를 실시하였다. 시각주의 검사로 별지우기 검사도구를 적용하였고, 기호잇기검사(Trail Making Test A, B; TMT A, B) 를 실시하였다. 뇌졸중과 외상성 뇌손상 환자 73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운전상황인식 전문가, 교통사고 처리 전문가, 작업치료사에게 컴퓨터 기반 운전상황인식 과제를 시연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작업치 료사에게 운전사황인식 과제의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결과 : 인지 평가도구와 운전상황인식 과제 간에 상관관계와 설명력이 가장 높은 인지평가로는 웩슬러 성 인 지능검사의 기호쓰기이다. TMT와 별지우기 검사, 순서화, 작업기억도 운전상황인식과 관련성이 있으 며 설명력 있는 변인이다. 운전상황인식 과제를 사용한 전문가들은 이 과제가 운전상황인식을 평가하고 운전관련 인지를 평가하는데 적합하다고 하였다. 결론 : 컴퓨터 기반 운전상황인식 과제는 정보처리속도, 선택주의, 주의이동, 작업기억과 같은 기초적인 인 지능력과 상관관계가 있고 인지 측면에서 운전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과제로 적합하다.
        5,200원
        92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입학전형을 선진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중의 하나다. 입학사정관 Admissions Officer)을 통하여 내신과 수능이라는 점수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입학생의 잠재력과 자질, 성장가능성 등을 다각적이고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여 각 대학 고유의 인재상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신입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도는 각 대학이 대입전형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육성하고 채용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학과 모집단위별 특성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방법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전형은 각 대학의 설립이념과 교육목적을 반영하는 다양한 전형방식을 운영하여 특기와 적성, 잠재성 및 발전가능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이라는 교육효과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학생들의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입학사정관전형에 대한 사교육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입학사정관전형에 적용 가능한 사교육 감소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공교육 활성화를 도모하는 입학사정관전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대안 및 제도적 개선점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