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통도사의 중흥과 근대한국불교의 개혁을 주도한 김 구하의 개혁정신과 방향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구하는 일제강점 기인 1908년 이후 수행과 교육과 포교로 불교교단과 통도사를 개혁한 선각자였 다. 기존연구들은 그가 친일반민족 조사대상자의 명단에 오르자 김구하의 제자 들이 김구하의 구국애국과 독립운동을 위한 업적들을 밝히는데 주목하였다. 그 런데 김구하는 구국애국과 독립운동만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에 한국불교 근대화 를 위해 수많은 업적들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는 개혁실천가로서의 김구하의 업적을 밝히지 못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김구하가 남긴 업적들을 일제강점기에 근대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수행결사와 개혁론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고찰하여 그의 개혁방향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그가 지향했던 한국불교의 개혁방향은 전통불교의 계승과 세간법의 활용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특히 전자는 경허의 정혜결사정신 을 계승하였다면, 후자는 범란의 진취적이면서도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개혁실 천에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대만 스이린(施懿琳) 교수는 대만 문사에 대한 초탐 ― 1919-1923년 대만문예총지를 대 상으로(台灣文社初探―以1919-1923台灣文藝叢誌為對象) 라는 글에서 “대만문예총지(1921. 03.15.) 제3년 제3호에 게재된 堅忍論(二) 와 史前人類論(續) 이라는 두 편의 글을 쓴 사람 은 박윤원인데, 그는 아마도 한국 사람인 듯하다.”라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스이린 교수 가 추정한데로 박윤원(朴潤元)은 한국 사람이다. 박윤원은 기자 출신이다. 그는 1919년부터 1 921년까지 약 3년간 대만에 체류한 바 있다. 박윤원은 대만에 있을 때 대만 ‘문사(文社)’ 잡지 인 대만문예총지(台灣文藝叢誌)와 숭문사문집(崇文社文集)에 세 편의 글을 기고했다. 또 한 그는 조선 계몽잡지인 개벽과 동아일보에 대만과 관련된 글을 기고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1920년대 조선과 대만을 무대로 창작 활동을 전개한 박윤원이라는 인물 발굴과 그가 조선에서 기고한 글에 나타난 대만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는 대한제국시기에 들어온 교회당의 정오 종소리와, 1940년경 종이 강탈 되면서 독주한 사이렌의 변화상을 통해 ‘일제강점기 정오의 소리정경’(사운드스 케이프, Soundscape)을 다룬다. 기존 소리정경연구는 주로 사회적, 정치적 의미 만을 다뤘으나, 소리정경의 체계를 좀 더 명확히 적용하여 소리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더불어 밝힌다. 교회당의 종소리는 어떤 일상적 소리보다도 큰 소리였다 는 점에서 정신적 권력을 보여주는 ‘성스러운 소음’이다. 교회당의 종소리는 일 상적 소리, 즉 기조음으로서 당대인들의 삶에 새로운 리듬이 됐다. 이는 3.1만세 운동이 종소리를 사용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사이렌은 정치적 목적에서 정오소 리정경을 강탈하려 한 도구로 다뤄졌다. 전쟁물자를 이유로 종이 강탈된 후, 사 이렌이 교회당의 삼종체계가 그러하였듯이 세 번 울리는 체계로 변하며 새로운 관습이 되려 했던 점 및 사이렌을 통한 천황숭배방침이 유대교적 성격이었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됐다. 기조음은 일상적이라 사람들에게 특별하게 인지되지 못 하고, 사라진 후에야 향수되기도 한다. 가령, 윤동주는 종이 사라진 정경에 휘파 람을 호출함으로써 종의 기조음이 담던 정신적, 정치적 영향력을 다시 그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milk’ was produced and supplied introduced and spread in the modern Joseon period. Condensed milk and powdered milk were mainly consumed i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nce they could be conveniently preserved for a long time, although raw milk was also produced and consumed. For areas adjacent to farms, milk delivery service was offered while areas with great consumption received an additional supply from different areas by rail. Since no manufacturing plants were operational in Korea, condensed milk and powdered milk consumed in Joseon had to be imported. In the case of condensed milk, when production in Japan increased, extra supply was aggressively sent into their colony, Joseon. The ‘Gyeongseong Milk Association’ founded in 1937 i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at it led to standardiza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and prices as well as pasteurization of milk.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milk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controlled. As milk was purchased as a war supply, the milk consumption market became distorted and limited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경성의 공업 분포를 업종별로 나누어 분석한다. 경성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중심 도시로, 당시 공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일제강점기 공업의 이해를 위해 경성 공업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경성 공업을 분석한 기존 연구는 공업 분포에 대한 정량적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성적・기술적인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근대 경성 공업의 정량적 분석을 클러스터 기법의 하나인 AMOEBA (A Multidirectional Optimal Ecotope-Based Algorithm) 기법을 통해 진행한다. 클러스 터 분석 결과 금속과 기계 공업은 용산 일대와 청계천 이남, 방직 공업은 창신동, 청계천 이북에서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제재업은 청계천 이남, 화학 공업은 용산 일대에서 클러스터가 탐색되었다. 금속과 기계 공업, 제재업 등은 일본인 공장이 우세하였으며, 방직 공업은 조선인 공장이 우세하여 민족별로 업종 집중의 차이가 있었다. 민족별 주거지 차이 외 도심 및 철도 접근성 등 다른 요소 역시 공업의 공간 분포에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1930년대 경성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주거지와 공업활동을 분석한다. 1930년대는 한반도의 공업화가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경성은 당시 공업화의 핵심공간이었다. 이 연구는 경성공업의 공간적 분포를 조선인과 일본인의 두 민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근대 한국의 인문·사회적 공간현상에 대한 연구가 정성적 접근에 제한된 바, 이 연구에서는 근대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공간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성은 민족에 따른 주거지 분화가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화는 주요 민족 별 공업 분포에도 반영되었다. 하지만 공업의 공간적 분포는 민족 별 주거지 분화 뿐만 아니라 지가 등 다른 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근대 역사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Generally, the outcomes of the historical study in some domain would be a most fundamental and basic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and core component of them. Specially in case of social science,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research much more emphasized that would be divided into independent academic field. In Korean history including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the most remarkable historic event would b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one of the most obstacle should overcome. Though the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 of Korea have considerable own history, the research and study of that not so much have been performed or investigated includ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f fisheries history have merely focused on partial topics like ‘Fishermen’s Association’,‘Fisheries Industry Despoliation’. And the historical study of fisheries business and industry’s overall status and trend in local area except Pusan also not enough. The aims of this study are exploring the fisheries trends and statu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and finding out the overall major fisheries business issues that would be a better understanding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Achieving that Objectives, over 800 articles of medi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other historical data were gathered, refined and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of major fisheries topics and issues that including overall fisheries status, trends, fisheries catches, local fisheries cooperatives and fisheries exhibi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ongyeo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atus of fisheries in Korea had been deteriorated for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Japanese fisheries capitalist during that period. Though the level of Tongyeong in fisheries was very high in terms of catches ratio and population of fisherman, the distribution networks of fishermen’s association was not good enough. And the Tongyeong fisheries exhibition in 1922 has positive aspects for considering both composition of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Even though the results and findings would be a helpful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the fisheries business trends and statu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e research and study of that should be accomplished.
This paper deals with architectural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society in Jichang district in North East China, focused on the articles of Manseon-ilbo published the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struction-related contents in the area closely connected with topical interest, publicity, and enlightenment as a local media source provide positive grounds about pending issues in colonial situations.
This paper handles with articles issued in the 1940's newspapers just before the Pacific War. At that time Japanese enter in the Chinese continent, and construct a stable basis in the intimate association with Germany and Italy, countering against the United State.
Among articles regarding architecture, most of contents are based on healthcare and public facilities, and urban planning. Overwhelmingly the most popular articles are about new construc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residential matters. The shortage of goods and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resulted in urban and house problems, which were particularly much more serious in Korea society. Such social atmosphere made all activities regarding building constructions, in particular educational facilities, in civil level rather than the help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us, through education and house matters we can read a slice of Korean society to survive in the colonial environment of Jichang district.
Though the debate of the establishment time, place and characteristic of the first fisheries cooperatives in Korea has been existed, it is clear that they had been established in the neighborhood of Tongyeo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ut the objective, motiv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irst fisheries cooperatives are still slightly vague. To explain and explore that of fisheries cooperatives, over 1,000 articles of media, about 100 docu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many of research paper and others were included and refined. Through the result of that process, three core factors were founded that affect both the emergence of fisheries cooperatives and relationship of the them. The first one is about the royal family’s fishing area where in the neighborhood of Tongyeong. The next one is Kentaro Kashii who was called king or devil of the Korean fisheries industry and the last one is fishermen and their organizations including fisheries cooperatives. Some of the above and the fishing rights conflict that make a guidance for understanding them has not been clearly mention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birth of the first fisheries cooperatives were caused by not on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mainly Korean fishermen’s voluntary activity and free will against fishing rights conflict between them. And both of the first fisheries cooperatives had somewhat difference in their constitution of organiz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but it was a tragic irony that the more exploitation and despoliation were conducted by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Japanese capitalist the more movement and activity of Korean were frequently and severely occurred. Even though the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a proof and helpful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establishment and their activity of fisheries cooperatives in Tongyeong, more research and contribution would be need by members of fisheries academic and business wor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rsion of Dongnaebu Gaeksa block to public market during Japan’s Colonial Period. The block of Gaeksa was convert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for the first time and afterwards occupied by the public market. Dongnae Traditional Market(五日場) had kept up since late 18th century. Dongnae public market was transferred to the site of Dongnaebu Gaeksa in 1937. Especially Dongnae public market(東萊公設市場) in the construction cost of establishment was supplied on loan. A number of traditional markets were reformed into the public markets in the 1930s. and the public market was installed more by the organization of colonial period. Dongnae public market was one of those markets, too. Eventually the establishment of public market meant that the block of Gaeksa had disappeared completely.
일제시기 함경도는 ‘군(郡)’의 숫자가 늘어난 유일한 지역이다. 증설된 네 개의 군은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개는 1914년부제(府制)의 실시에 따라 부가 분리되면서 나머지 지역이 군이 된 경우이고, 나머지 2개는 도의 군 면적이 넓고 인구도 많아 증설된 경우이다. 후자의 경우 도 내 군들 사이의 균형과 ‘부원(富源)’의 개발 가능성을 고려했던 것 같다. 또 함경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부와 지정면·읍의 증가가 활발히 이뤄졌다. 이는 도시화의 진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배경은 일본의 군사적 점령,1930년대 이후 ‘북선(北鮮) 개발’이다. 이러한 행정구역의 변화와 서로 호응하면서 함경도의 인구 구성도 변화하였다. 함경도의 산업별 인구 비중을 보면 1920년은 전국과 유사하게 농업이 85% 전후를 차지하는 1차 산업 위주의 지역이었으나, 1940년 농업인구의비중은 50%를 넘지 못했다. 대신 광공업과 어업 인구의 성장, 그에 따른 상업과 교통업 인구의 증가가 눈에 띈다. 함경도의인구 증가는 사회적인 요인이 컸는데, 인구 흡수 요인으로 ‘북선 개발’에 수반한 여러 사업의 진전을 꼽을 수 있다. 이에 한국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일본인도 일자리를 찾아 모여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