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PIT tag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과 무선추적법(radio telemetry)을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파충류에 적용한 후, 이를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국립공원 내 파충류 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IT tag은 현재까지 알려진 파충류 개체표시법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오대산국립공원과 월악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 출현한
본 논문은 수산자원보호구역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향에 대한 정책수립 지원라 체계적인 어장환경실태조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진단적 연구접근으로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계절별로 장기적으로 모니터링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어장환경의 실태와 변화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어장환경은 오염이 진행되었거나 진행 중인 것으로 진단되었는데, 각 영역별로 수질과 저질 오염특성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서 오염원과 이용실태 및 지형적 특성 등 제반 환경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수질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되었다. 또한, 보호구역의 지정면적은 점차적으로 변화되어 왔는데, 2003년도와 처음 시정시의 면적을 비교해 볼 때, 총 면적변화는 -22.9~2.4% 범위로 완도 도암만은 약 2.4% 정도 미미한 증가를 보였지만, 전체 구역은 평균 약 6.4%가 감소하였고, 한산만이 가장 큰 비율로 감소하였다. 전체 면적 중 육역이 약 6.1%, 해역이 약 6.6%가 감소되었지만, 2008년 시 군별로 고시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지정면적의 감소는 대부분 육역인 것으로 사료 되었다. 보호구역의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효과적인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효적인 수질관리방안 뿐만 아니라 개발 및 이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와 데이터(정보)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해역별로 종합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각종 관련 법률을 정비 보완해서 조사, 평가, 협의 등 관리방향과 관련된 요소를 일관성있고 체계적으로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국내외에서 수집한 다양한 버섯유전자원들은 새로운 재배 법 개발과 소비자가 선호하는 새로운 형질을 갖춘 신품종을 육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그동안 여러 가지 여건 상 수집한 버섯유전자원의 안정적인 장기보존방법 연구에만 치중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UPOV 가입으로 버섯 수출입 이 완전개방화되고 품종과 관련된 로얄티 분쟁이 증가될 우 려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버섯자원의 관리체계를 전환 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단순히 자원을 수집하고 보 존하는 체계에서 재배법 개발과 신품종 육성에 필요한 특성 평가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기본적인 배 양특성 뿐만 아니라 병저항성, 바이러스감염, 배양일수 등과 같은 육종 재배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특성 에 대한 대량평가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배 양속도지수, 병원체별 저항성 정도 등 특성을 수치화할 수 있 는 다양한 지표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배 양직경측정에 의한 배양특성 평가와 배양속도지수를 이용한 배양특성 평가방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돈분슬럿지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와 아연을 제거하여 합리적인 돈분슬럿지 자원 화비료 생산법을 연구하였고 돈분슬럿지 자원화비료를 시비 후 옥수수를 재배한 토양과 식물체를 분석하여 돈분슬럿지 자원화비료의 안정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돈분슬럿지의 화학적 특성 중 비효성분으로는 질소와 인산의 함량이 각각 4.4%와 6.29%이며 pH는 7.57로써 작물의 생육에 적합수준이나 돈분슬럿지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인 구리와 아연의 함량은 각각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around treatment process and deodorization equipment of thre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the transformation, feed production and composting facility). Furthermore, the removal experiment of odorous compounds using various absorbent was conducted.
The odor concentrations of food waste storage hopper and separation process were higher than other processes and the major odorous compounds were methyl mercaptan, acetaldehyde,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The odor removal efficiencies of deodorization equipment such as activated carbon tower, wet scrubber and biofilter were mostly insufficient. Especially, the removal efficiency of wet scrubber is lower than the other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optimal operating condition is required. As a result of removal experiment of various absorbent, the removal efficiency was over 98% in case of 1% H₂SO₄+K₂HPO₄ for ammonia, KMnO₄ for acetaldehyde and KMnO₄ and 5% NaOH+KH₂PO₄ for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To achieve the effective odor control of food waste treatment facility, it is necessary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scrubber by using optimal absorbent for target odorous compounds.
본 연구는 농업의 서비스화 현상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서 농촌경제 활동을 다각화하는 농촌시장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농촌시장의 대두 배경을 포함한 농촌시장 형성 조건으로서 향토자원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전라북도남원을 사례지역으로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 농촌시장개발여건 및 향토자원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평가를 중심으로농촌시장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농촌시장개발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생산․판매활동을 촉진하는데 본질적인 목적을두고 마케팅 촉진 수단으로 농업․농촌의 공간적 서비스를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과밀이용 및 난개발로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도립공원의 정밀한 자원조사가 필요하며 이 자원특성을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에 맞는 자원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원특성을 파악하여 도립공원별 친환경적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구축하는데 연구의 목표가 있는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둔산도립공원과 마이산도립공원, 선운산도립공원은 기암괴석이 발달한 도립공원으로 이다. 특히 마이산도립공원은기암절벽을 형성한 수성암 산으로 갖가지 형상의 봉우리들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타포니 지형발달이 발달되어있다.2. 전라북도 도립공원 식물의 종다양성은 대둔산도립공원이 913종으로 가장 풍부하며, 특히 모악산 도립공원은 북방계식물의 남방한계선이자 남방계북방한계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대둔산도립공원이 곤충상 273종, 도립공원중 동물상은 천연기념물인 제 323호인 참매, 붉은배새매, 제 324호인 소쩍새의 5종, 보호종 참매와 말동가리의 2종, 보호야생동물은 파충류 중까치살모사가 확인되고 있어 생물적자원이 가장 풍부하다.3. 도립공원의 국보는 모악산 도립공원에 금산사 미륵전 1점, 보물은 금산사 사적에 10점이 있어 문화자원이 풍부하며,천연기념물로는 선운산도립공원에 3점, 마이산 도립공원에 2점이 있다. 그리고 대둔산도립공원의 천연기념물은 조류 5종이관찰되고 있다.4. 대둔산도립공원은 한국의 8경의 하나이며, 기암괴석과 수목이 어우러져 산세가 수려하고 선운산 도립공원은 자연 경관요소로는 동백나무숲이 가장 중요성 높은 요소이다. 모악산 도립공원은 호남4경의 하나로 주능선에서의 파노라믹한 경관전망이 매우 용이하며, 마이산도립공원은 진안 1경이 「마이귀운」이다.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faced in very quick chang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y a key role in sustaining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and boost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Based on a former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individu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ffects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relations. Business performance i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royalty and devotion. Also it is more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dustrial relation of corpor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and industrial relation.
A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management program in Korea is designed to enhance fisheries resources, to protect fishing grounds of self-regulatory communities, and to manage their fisheries resources by their own regulations and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an applicable ecosystem-based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objectives, indicators and reference points of the ecosystem-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are applicable to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The objectives of the management system are to maintain sustainable fisheries production, to maintain optimum fishing intensity, to reduce by-catch, to conserve spawning ground and habitat, to maintain optimum habitat environment, to increase/maintain abundance of prey species, to increase/maintain stock biomass, and to conduct stock enhancement on the basis of scientific assessment. The improved method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introduced by demonstrating a self-regulatory fishery which targets on hen clam in Dong-li fishing village in B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