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on the brand interest and behaviors among Korean and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and whether this effect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A survey was conducted by having participants complete questionnaires administered by a research firm.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EFA, CFA, SEM, the metric invariance test, and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relationship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oth brand interest and consumer behavior. Although service marketing positively affected brand interes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behavior. In other words, brand interest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Multiple-group comparis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tive consumers in terms of how relationship marketing affected their brand interest, but a difference existed in how it affected their behavior. Service marketing had a greater influence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brand interest than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However no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how service marketing affected their behaviors. Finally, brand interes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behavior through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but not on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In conclusion, relationship and service marketing 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brand interest among Korean active senior consumers, and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planned by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hinese active senior consumers to affect their behavior.
An Indirect Complaint(IC) is defined as the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about oneself or someone/something that is not present in conversations.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ICs as positive strategies to build rapport and solidarity and investigated different responses of IC between Cambodian Korean learners as a second language(L2) and Korean native speakers by analyzing two categories –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s. Data from the conversation of each group showed that non-substantive responses were highly employed in the non-native group, while commiserating responses were frequently used in the native group in verbal responses. On the other side, non-verbal commiserating strategies were observed relatively more in non-native speakers than in natives. As a result of the post-interview on IC perception, every participant of both groups perceived the positive effects of ICs.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ICs as positive social strategies when teaching Korean as L2, which leads the learners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interact and practice the L2.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기후 이상으로 인하여 해수면이 상승되고 있고 각종 개발행위로 인하여 연안침식 현상은 우리의 안전을 본격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연안침식의 위험성을 인지한 각국은 연안침식에 대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고 우리 역시 1990년대에 이르러 연안 침식을 위한 각종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법률유보원리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여러 법률을 통하여 연안침식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연안관리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그리고 자연재해대책법 등 연안침식관리를 위한 근거 법률은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연안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연안관리법이 연안침식 대응을 위하여 직접 봉사하는 법률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에서도 연안침식에 대한 사항은 산재하여 규정되어 있어서 연안침식에 대한 실효적인 정책을 담보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며 다른 법률 역시 연안침식이 아닌 다른 목적을 위하여 규정된 법률이라는 점에서 그 적용에는 적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해역별 지형구조 및 퇴적환경에 따른 보다 다각적인 연안침식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됨에 불구하고 법률에서 이를 감안한 보다 실효적인 정책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안침식 대응에 있어 상당히 실효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영국의 경험을 참고할 만하다. 영국은 연안침식 대응을 위하여 여러 법률을 제정․개정하고 있지만 영국의 정책에 있어 두드러지는 사항은 계획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안침식은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그리고 갑작스럽게 발행한다는 사항에 주목하여 장기적 정책설정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연안침식대응을 위하여 다각적인 대응방향성을 고집하고 있다는 것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에 우리 역시 보다 장기적인 수준에서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과 각종 다양한 행위자 간의 협업을 유인할 필요성을 인정되는 것이 사실이라는 점에서 이를 반영하는 연안관리법 개정안을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선교는 한국교회 성장에 힘입었고, 한국교회는 한국경제의 성장과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1990년대 한국선교가 양적으로 급성장 하면서 선교 대국으로 인정받았지만, 질적으로는 성숙단계에 이르렀다 고 보기 어렵다. 1970년대 한국경제는 빠르게 선진국을 쫓아가던 방식에서 이제는 선진국으로 도약하였고, 전 세계가 한국의 방식과 문화에 대해 주목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국가와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전략적인 대응을 하고 있다. 한국교회는 규모 면에서 세계에서 큰 교회로 성장하였지만, 한국선교 전략은 현장 에 맞는 선교 신학을 세우기보다 한국 목회 방식을 이식하려고 하고, 협업이 부족하고 건물과 부동산에 메인 선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한국 교세의 약화, 선교사 비자발적 철수, 선교사 협업 플랫폼, 멤버 케어와 신뢰도 향상 등 뉴노멀 시대 속에서 한국선교에 직면한 도전과 과제를 두고 지속 가능한 선교를 이루기 위한 한국선교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천적 연구는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25여 년이 지난 지금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응용곤충학회지에 발표 된 논문은 약 130편으로 전체 약 1,550편의 8.4%가 천적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들 논문 중에는 1990년대에는 천적을 탐색하여 생물적 특성 연구에 관한 논문의 비율이 높았고, 2010년대에는 개발된 천적을 농가 현장에 적용하는 논문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 토착 천적이 24종, 도입 천적이 13종이 개발되어 총 37종의 우수 천적이 개발되었다. 또한 개발된 천적이 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천적 활용 기술서 및 매 뉴얼을 약 28종 이상 개발되었다. 이처럼 지금까지 천적 탐색, 생물적 특성 연구, 및 생산·이용 기술 측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앞으로 추진 하여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 농작물 재배상황에 맞는 우수 천적을 탐색하거나 도입하는 연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중 대량생산 기술, 천적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및 천적과 저독성 작물보호제를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은 세계최초로 제정된 EU의 AI 규제안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EU는 디지털 영역에서 국경 간 개인정보의 이동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이에 EU는 진화하는 기술영역에 대한 선제적 규제 확보에 집중해 왔다. 유럽위원회는 AI 기술 위험에 대비하고, 유럽이 전 세계적으로 해당 규제 부문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최초 법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EU의 최초 AI 규제안은 타 국가에 규제안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은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기반 사회에 대한 전략을 재검토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인공지능 기술발전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고령화와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와 인공지능 사회에 대비한 기반 구축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도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인공지능 가이드라인과 인간중심의 인공지능 사회원칙 속에서 보여지는 인공지능의 내용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치적 측면에서 AI 기술은 패권 변화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한다. AI의 기술적 충격은 세계 경제를 넘어 국제정치도 흔들고 있다. 그 중심 에 미국과 중국이 있으며, 데이터 가치 사슬의 정점을 선점하고 있다. AI 기술 패권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 양상도 AI가 이끄는 데이터 가치 사슬의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고,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중국은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자국의 색채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먼저 AI 기술과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의 정책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올해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했던 인공지능 정책을 기반으로 ‘AI.gov’을 출범시키면서 국가 차원의 AI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의 AI정책 동향을 R&D 분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향후 우리의 AI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 글은 인공지능(AI) 기반 사회에 대비한 우리나라의 현황과 국가전략을 분석한 것이다. 2016년 3월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에서 딥러 닝의 기술이 승리하면서 인공지능은 21세기 4차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으 로 부상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최근 세계 주요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인공지능 전략과 정책들을 내놓기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2016년 박근혜 정부가 인간중심의 인공지능을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어 2019년 말 문재인 정부가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의 비전으로 2030년까지 3대 분야에 걸쳐 9가지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현재 이를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우리나라의 인공 지능의 내용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시사점과 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Korean culture-specific items displayed on the Korea.net Arabic website, the government’s representative overseas PR media. 25 articles with a large number of culture-specific item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74 articles published in the Culture section of the Korea.net Arabic website for a total of 7 months from August 2020 to February 2021. The themes of the selected 25 cultural articles were the contents of related cultural events according to the period, such as Chuseok and New Year’s Day, Kimchi-making Season, Lotus Lantern Festival, and Hangeul Day. Culture-specific items were classified into proper nouns such as country, administrative districts, place name, and building name, and other cultural elements such as food, clothing, holiday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Lee Geun-hee(2008). As expected, a number of strategies to convey meaning along with transliteration appeared as part of an effort to inform Arab readers of Korean culture-specific items. However, it found the need to establish norms or unified standards for culture-specific items translation strategies, especially in transliteration.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U 다자주의 협력 외교에 관해 고찰하고, 최근 강조되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참여하는 EU 및 유럽 주요국의 전략을 분석하였다. EU와 미국은 실재하는 양측의 가장 큰 위협인 러시아 및 중국에 대해 상호 협력 하 대응하여 다자적 구도를 형성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EU·미 대서양 동맹 복원 전망에 관해 NATO를 통한 동맹의 강화 그리고 EU·미의 對러시아 및 對 중국 공동 대응 전략을 통해 복합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유럽의 전통적 안보체계인 NATO를 통해 러시아 등 기존의 안보위협에 관해 재확인하였으며, 새 시대와 상황에 따른 위협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였다. 더불어 EU는 범대서양 동맹을 통해 안보 부문을 포괄한 기술 등의 범 이슈적 영역에서 EU-미국 간 협력이 상호작용할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범대서양 동맹의 확증 강화는 중국의 선택지를 좁힐 것이며, 미중의 강력한 라이벌 관계에서 EU의 외교적 활동 영역과 역할을 넓힐 것이라 판단된다.
다채널 소매상은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의거하여 점차 형성되었다. 정보기술의 발전이 점차 다채널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채널소매상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통합, 마케팅 및 정가 등 문제에 직면한다. 본문은 4Ps 마케팅 이론 및 구조방식 모델 구축에 근거하여 다채널 소매상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협동마케팅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출발점으로 삼아, 제품·가격·마케 팅과 서비스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합동마케팅에 대한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마케팅전략을 세워야한다. 4개요소 중 영향이 제일 큰 게 가격이고 그 다음은 제품· 세일과 서비스이다. 제품의 품질이 높으면 높을수록 가격도 높아지고, 세일마케팅이 어느 정도는 소비자의 구매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서비스도 소비자의 구매의향을 어느정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다채널 소매상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전략을 세울 시 합동 마케팅을 견지하고 제품품질과 가격선 정 전략을 방향으로 하되 세일과 서비스는 보조로 진행하여 소비자의 구매의향을 높여야 한다. 본문의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다채널 소매상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연구에 방법 참고와 이론 근거를 제공한다. 동종업자 기업이 마케팅전략을 세우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동종업자의 양성 발전에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논문은 북한의 게임체인저 전략무기 개발과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게임체인저의 개념 및 주요국 개발동향, 북한의 게임체인저 개발경쟁 합류, 한국의 대응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 본 것이다. 북한이 제8차 당대회(2021.1.5.∼12)를 통해 핵잠수함과 극초음속무기, 다탄두ICBM·SLBM 등의 개발을 공식 천명함으로써 동북아 ‘게임체인저’ 개발경쟁은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주변국의 극초음속무기 등 게임체인저 개발 그리고 북한의 핵잠수함·극초음속무기·다탄두ICBM·SLBM 개발 등 현재적·잠재적 위협과 관련해서 우리 군은 방위충분성전력 차원에서 핵잠수함 도입 및 극초음속무기 개발이 불가피하다. 핵잠수함 도입/건설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고, 극초음속무기 개발은 국방장관(정경두)이 공식 천명한 사안인바, 모두 차질없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