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에니어그램의 9가지 성격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총 474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유형의 문항과 문항간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청소년 상담 및 코칭을 위한 에니어그램 척도의 문항은 총 80문항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유형별 문항과 문항 전체 상관관계의 결과는 .44에서 .79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주었으며 신뢰도는 .89이며, 재검사 신뢰도는 .90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문항은 청소년이 자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코칭․진로지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To search the potent pig pheromonal odorants through receptor-based approach methods, molecular dockings between 680 Flavornets as substrate molecule and pig odorants binding proteins OBP (1HQP) and PBP (1GM6) as receptor, and QSPR (quantitativ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analyses from physico-chemical parameters of Flavornets and their docking scores (DS) were performed and discussed quantitatively. From the basis on the findings, the optimal value (MSA)opt.=407.595 Å2 of MSA (molecular surface area; Å), and RB (number of rotational bond) had the Flavornets will be able to increase D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earyl alcohol from DS and H-bond type between substrate and receptor would be shows the character as potent pig pheromonal odorant.
본 논문은 게임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중에서 분석 및 설계 단계의 산출물 중 시퀀스 다이어그램과 OCL 컨트랙트 명세를 기반으로 하여 테스트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 한다. 생성된 테스트 케이스는 테스트 수행뿐만 아니라 테스트 자동화를 위하여 생성하는 테스트 드라이버 작성시 활 용 가능하다.
Establishing a framework, to explain the path to safety accidents considering major safety management factors such as physical conditions including on-site activities and workplace, as well as human factors as to labor, supervisors, or managers, would be effective as the basis to control project's risks by preventing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mechanism in safety management and disaster occurr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it identified and classified the factors related to accidents, reviewe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suggested the influence dia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inforcing the preventive management, an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ite control system based on safety risks.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 인근해역에 대한 자연환경, 해양사고, 해상교통량 및 해상교통흐름 관측, 어업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고, 전문가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및 사용자의 설문조사 실행을 통한 항해위험 필수요소, 개선계획 및 충돌위험 필수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보다 효율적인 항로를 도출하였다.
게임산업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그 성장세에 힘입어 다른 문화사업의 성장을 선도하는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게임산업의 성장세와 비례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 히 개인정보의 유출과 관련된 사건사고들이 연일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 기업들은 개인정보 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인터넷 관련 범죄를 막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 은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업체들의 고객 개인 정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기존 문헌에서 제시되지 않은 방법들을 제시하여 지금까지 제시하였던 인터넷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 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經絡은 처음부터 완벽한 체계를 이룬 것이 아니었고, 지금 역시 완벽한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지금 통용되고 있는 12經絡은 각각 臟腑와 연결되어 있지만, 그 연결도 긴밀하지 않으며, 經脈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絡脈, 奇經八脈등으로 그 象과 數의 변화와 첨가를 거듭하여 경락의 연결을 더 긴밀하게 변화시켜왔다. 이렇게 경락설의 진화과정과 변화의 원리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Kluge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Kluge의 의미는 간단히 말하면 ‘불완전끼리의 완전’이다. 담배가 해로운지 알면서 끊지 못하는 인간,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모호한 기억을 가지고 있는 인간, 가격과 가치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간 등 인간에게 있어 결함들이 모여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것들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마왕퇴 출토의서인 <足臂> <陰陽> 에서 靈樞에 이르기까지 의사학적인 시각으로 경맥의 체계가 어떻게 형성 발전되었는가를 통해 경맥의 오류와 불완전성 즉, 경락의 Kluge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手足+陰陽+臟腑’ 의 개념체계가 나중에야 성립됨으로써 그 과정에서 생겨나게 된 오류, 經脈은 원래 12개가 아니었고, 手足陰陽이 6개씩으로 평형적이지 않아서 생기게 된 오류, 순환적이지 않았던 經脈체계 때문에 생겨나게 된 오류 같은 것들이 있음을 찾았다. 그리고 이런 오류와 불완전성을 보충하기 위하여서 經別, 六腑下合穴, 開闔樞와 같은 여러 장치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불완전성을 어떻게 보완할 지 고찰해 본 결과 기존 경락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穴을 도입하자는 대안이나 병인으로 다시 穴을 재분류 하자는 대안, 인체의 클루지적특성을 감안하여 새로운 인체부위설정을 통한 經絡설정을 하자는 등의 대안이 있었다.
본 연구는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해 유아의 언어창의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와 언어창의성 하위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평택에 있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5세반 18명으로 6주동안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유아기는 아직 사고의 틀이 고정적이지 않고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언어 창의성 발달 최적의 시기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요한 시기를 어떤 방법으로 언어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통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하위영역인유창성, 독창성, 융통성이 향상되었다. 코칭을 활용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유아가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며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토론을 통해 다양한 면에서 생각해 보도록 함으로써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코칭접근을 활용하여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코칭접근을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2시간씩 총 8회기에 걸쳐서 저소득 조손가정 조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손자녀의 발달단계별 특성,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 바람직한 양육태도, 의사소통기술 등에 대한 프로그램에 코칭기술을 접목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개인의 효율성을 높이고 변화와 발전을 도모함으로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코칭접근을 활용하여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조부모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양육태도와 의사소통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경제적 빈곤, 가족의 정서적 지지부재, 건강문제, 세대간 차이, 부모와의 이별경험 등 다양한 위험요소를 지니고 있는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부모를 대상으로 정서적인 지지와 심리사회적인 개입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가족기능을 강화시킴으로서 조손가정의 문제를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셋째, 저소득층 조부모의 특성을 감안하여 일방적인 강의나 단회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교육과 집단상담 형태를 병행함으로서 조부모의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생활에서도 지속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overnment Organization and Public Institution have been developed many kinds of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s such as agricultural policy, cultivated technology, marketing, and trade so on since 2000. Farm management conditions are diverse and complex more and more. Therefore, farmer want to service the specific agricultural information. Farmer don't like to access many Web sites to retrieve agricultural informations. They hope to receive one-stop its service. Government Organization began to review its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them more customized agricultural information service. We came up with an effective plan and Service Standardization Code for integrating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s in 2009. We can guide to carry out an effective portal service of agricultural information because we have a good experience about integrating information and system. This paper suggested the service scheme of integrated agricultural information for improving accessibility its information to farmer.
목적 : 척수손상으로 인한 지체장애인에게 보조공학 중재로써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컴퓨터접근 보조기구 무료보급 사업을 통해 1명의 성인 척수손상 지체장애인에게 최적의 컴퓨터접근 보조기구를 보급, 적용하였다. 보조공학 중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보조기구 적용 후 주관적 수행 향상 및 보조공학기기의 심리사회적 변화 척도(Psychosocial Impact of Assistive Devices Scale, PIADS)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컴퓨터접근 영역의 보조공학 중재 후 컴퓨터 사용의 주요 불편함이 해결되었고, 컴퓨터 작업 수행 능력이 증가 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삶의 질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결론 :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적용은 척수손상 중도 지체장애인의 컴퓨터 작업 수행을 개선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컴퓨터접근 보조기구의 적합한 적용은 중증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성적 행동은 사회의 규범이나 태도에 의해 지배되며, 개인의 장애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Mozat-Haller, 1992). 특히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는 더 부정적이어서 그들의 성적 권리에 대하여 무시하거나(Heshusius, 1982; Liberatore, 1993; 권도용․나운환, 1994; 정진옥, 1996) 무관심한 것은 물론이고 다른 집단에서도 볼 수 있는 성적 문제를 지적장애라는 이유로 확대하거나 과장하기도 한다(Craft & Craft, 1981; 전용호, 1995; 이현혜․김정옥, 2003).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을 임상에서나 연구자들을 통해서 종종 볼 수 있다. 최근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관련 연구들이 조금씩 진보를 하고 있으나 아직도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문가 집단의 교육과 홍보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고 본다. 이에 우리 사회복지사들은 자체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학교나 지역사회에 이들을 위한 연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성 문제를 살펴보고 성교육적 접근 방안을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적 접근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 대상이 결정되면 대상별로 욕구조사를 한 후에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실시해야 한다. 둘째, 발달단계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지체 정도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면 보다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셋째, 학교, 성교육 전문가, 가정이 서로 연계되어야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넷째, 지적장애의 특성상 같은 주제라도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성교육이 정기 과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각 학교단위로 성교육을 간헐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지원을 받는 것에도 도움이 되며, 정규과목으로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것들이 잘 보완되고 지원이 이루어져야만 지적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미흡하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aturalness'의 경우 화질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Naturalness'는 다른 감성이 부여되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의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The Image Quality Circle은 한 단계에 해당하는 'ness' 단계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 두 단계 중 하나는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와 같은 지각 속성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따른 SSE를 찾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 이미지들은 TV장르로 분류해 놓았다. 각각의 이미지들은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를 단계별로 변형시켰다. 각 변형된 이미지의 화질 점수와 SSE의 점수를 실험 참가자들에게 물었다. 정성적 항목에 7 점 단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장르에 따른 세 가지 SSE를 변수로 이용하여 화질 평가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 (vividness)은 모든 장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SSE이고 나머지 SSE들은 모두 모델에서 독립변수로 취급하였다. 그 후 색 속성을 이용하여 각 장르에 따른 생생함을 예측하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은 각 장르에 따라 의미가 다르며 화질 평가와 자연스러움(Naturalness)룰 연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각 장르마다 생생함이 다른 의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각 장르에 생생함을 최적으로 표현하는 색 속성 또한 장르마다 다를 것이다.
버섯의 다원적 기능은 생리활성 기능, 가축 사료생산 기능, 유기질 비료 생산 기능, 생태계 분해자로서의 기능, 환경 오염물질 정화 기능, 식품 영양학적, 기호 식품적, 생리활성 기능 이다. 이 중 생리활성 기능, 가축 사료생산 기능, 유기질 비료 생산 기능과 생태계 분해자로서의 기능은 정량화를 하였고 그 나머지 기능은 정량화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였다. 정량화된 버섯의 다원적 기능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112조 922억원이며 정량화하지 못한 부분까지 합하면 이의 2배 이상될 것으로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할 경우 쌀의 다원적 기능 약 100조원의 경제적 가치에 비해 버섯은 거의 비슷한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버섯의 생리활성물질 베타글루칸의 산업적 가치는 약 112조원, 가축 사료생산 기능은 약 618억원, 유기질 비료생산 기능은 약 56억원, 생태계 분해자로서의 기능은 약 360억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