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is a crucial and complex lifelong capacity that is constrained by cognitive aging. Aging is thus regarded to be associated with poor performance particularly in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There are, however, some recent proposals that normal aging impairs specific aspects of language production, while most comprehension abilities remain stable as we ag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cognitive aging affects language performance, focusing on syntactic and semantic processing. Based on the experiments of structure choice and modification, it finds that both the syntactic and semantic systems remain largely stable across the life span and the semantic processing is rather preserved longer with age than the syntactic processing.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recent research on the compensatory neural recruitment as we age.
본고는 위치기반게임 <패러랠 킹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게임 텍스트에서 플레이어의 움 직임, 즉 이동성을 반영하는 고유한 기표 배열 구조를 은유와 환유의 문채 특성으로 고찰한다. 이는 지금까지 공학적 기술을 중심으로 이해되어 온 모바일 게임의 이동성을 수사학적 기법으 로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이다. 시각 기호를 기반으로 계열적 장면 배열을 통해 통합적 의미를 생성하는 게임 텍스트의 구조를 고려하여, 게임과 유사한 속성을 지닌 영화 텍스트의 문채를 유형 분석한 크리스티앙 메츠의 이론을 적용했다. 분석 결과, <패 러랠 킹덤>는 실제 현실과 가상, 심층적 가상 세계를 총 5개의 복층 공간 텍스트로 구조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 특성이 문채작용의 구조적 토대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플레이어의 게임 외적 이동을 게임 내부로 반영하는 문채작용은 위치 기표 간의 대조와 유사에 의한 은유 를 통해 이루어진다. 반면, 캐릭터의 게임 내부적 이동에 의한 증여적 이동성은 공간 기표의 인 접성을 기준으로 성립되는 환유적 문채작용을 통해 발생한다.
요코하마 시의 지하철 사인은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일본에서도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우선 지하철을 향해 일반도로에서 접근하는 점형 유도블록은 인도의 유형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를 취한다. 즉, 인도의 모양이 곡선이면 점형 블록도 곡선으로 설치하여 자연스럽게 일반인과 걷는 행위가 다르지 않게 된다. 또한 육교의 계단에도 가운데를 중심으로 3등분한 중앙부를 완만한 경사로를 만들어 휠체어 등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사인에 관해서는 일본어, 한자, 영어, 한국어 등 4개 국어로 표기하여 세계인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이는 요코하마 시 뿐만 아니라 일본의 전 지하철사인에 적용하고 있다. 모든 서체는 가독성을 부여하였고 크기 또한 최대로 하여 저 시력자도 불편함 없이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개찰구의 천장사인은 길이를 좌우 계단의 전체 폭과 동일하게 하여 길지만 단순하게 정리된 모습을 연출하게 된다. 측면에서 사인을 보게 되면 브이자형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것은 양방향에서 쳐다볼 때 시야와 직각을 이루게 하여 왜곡돼지 않도록 한 것이다. 사인의 색상은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적용하고 있었지만 과학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는데 우선 색채 적용의 체계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하철의 사인은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디자인 되어야하며, 명시성과 가독성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논리가 입증되었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쓰레기 줄이기 활동과 관련하여 환경심리학적 강화물이 환경태도 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강화물 중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이며, 환경심리학적 접근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J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70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 대상 학생들에게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환경 친화적 행동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환경심리학적 강화접근법은 환경태도와 실천의식 및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친화적 행동을 증진시키데 사용한 강화물의 경우 즐거움이 가 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쿠폰 혜택, 명예, 현금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규범 활성화와 정적⋅부적 강화접근 및 환경 교육은 환경 친화적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 로써 환경 보호 기능이 가능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formation process by depth approaches to mental toughness of elite Ssirum players. For this purpose, we used grounded theory approach that was widely use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 selected elite Ssirum players as participants who had champion title by association of professionals that was composed of Ssirum experts and sports psychologists. To gather material for formation process of mental toughness, we used in-depth int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leaders interview, and by triangulation, confirmation of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of experts, we had enough validity. All of data were analyzed for interactions of cause and effect, context relationship, mediation qualification and interactive strategy. Results: The process mental toughness of elite Ssirum players was divided into 4 stages : creating champion goals by positive expectation, social support by parents and leaders, constant effort with positive feedback by leaders, development of personal mental toughness by individual experi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might provide information to develop new related theories by revealing the formation factors of mental toughness, which might improve the Ssirum leaders and young players'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순간단위도의 보편적 특성 중 하나인 왜곡된 형상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순간단위도의 통계모멘트에 대한 해석적 관계식을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이론을 기반으로 유도하고 유역의 동수역학 적 이질성, 지형학적 이질성 및 운동학적 이질성의 개념에 따라 정량화하여 수문학적 응답함수를 왜곡시키는 원인에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지표면 배수경로와 하천 배수경로 사이에는 큰 규모의 차가 존재하지만 전자는 후자에 비하여 작은 규모임에 도 불구하고 오히려 큰 변동계수를 가지며 왜곡계수 역시 다른 경향을 나타냄을 볼 수 있었다. 순간단위도의 형상은 동수역 학적 이질성보다는 운동학적 이질성에 지배를 받으며 특히 지형학적 이질성과 결합하여 수문학적 응답함수에 왜도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표면과 하천의 배수경로들이 갖는 통계특성은 무차원 통계량의 형태로 수문학적 응답함수에 전달되어 지는데 이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에 따라 수문학적 응답함수의 전반적 형상이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북한의 수자원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일은 수자원 분야 전문가들의 공통 관심사 중 하나이다. 그러나 북한의 폐쇄적인 정책으로 인해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위성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와 글로벌 지형정보를 이용하면 개략적으로나마 북한의 수자원 또는 홍수로 인한 재해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위성강우 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비접근 지역인 북한지역의 청천강 상류에 위치한 동신군 지역을 대상으로 유출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언론보도에 나타난 북한지역의 2013년 7월 19일부터 21일 사이에 북한의 기상수문국 통보에 의하면 자강도의 동신군 413mm, 송원군 383mm, 희천시 322mm의 폭우가 쏟아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시기의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강우자료인 GSMaP_NRT자료에서는 최대 173.2mm, 유역 평균 160.3mm 정도의 강우가 발생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Xie 등(2011)에 의하면 2000-2009년의 10년간의 연평균 강수량에 대하여 CMORPH자료를 분석한 결과 공간분포 패턴은 매우 잘 반영하고 있으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과대 산정되고 중간 및 고위도 지역에서는 과소하게 산정되는 것으로 발표한 바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위성강우도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 위성강우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인 Aster GDEM, GLCC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분석을 수행한 결과 첨두유출이 957.6㎥/sce의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의 정확도 평가와 위성강우와 지점 및 레이더를 이용한 보정을 통해 보정된 시계열 자료를 생산하여 유출분석을 수행할 계획이다.
Detection of water bodies and their flow paths is elemental process of terrain analysis in any application related with surface water. Several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automatic extraction of surface flow paths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e.g., O’Callaghan and Mark, 1984; Tarboton, 1997; Paik, 2008). While these algorithms have been widely applied, DEMs-based approaches have fundamental limitation in detecting water bodies. To resolve this issue, we propose a hybrid approach that utilizes DEMs and satellite imagery together. These dataset supplement each other’s weakness, providing extra information for better detection of water bodies and flow paths. The proposed approach is tested for the Geum River, showing successfully extraction of flow boundaries and more resonable flow paths within water bodies.
【벼리】세계화·정보화로 인해 나날이 다양해지는 사회문화적 소통 환 경은, 우리에게 한국문화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와 함께 실천적인 교 육 방안 모색이라는 도전을 안겨 준다. 무엇보다 학습자들이 매일 마 주하는 실세계 맥락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원활한 문화 간 대화는 사 회문화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즉 다문화적 환경에서 더욱 강조되는 것이 ‘소통 능력’이라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무분별한 수용 혹은 배척이 아니라, 복잡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을 스스로 선택
Purpose: This study purported to understand the process by depth approaches to Choking Under Pressure in golf player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we us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at was a widely used qualitative analysis. We selected six golfers as study participants who are KPGA and KLPGA memb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in-depth interview using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format.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using a recording player under the agreement of the participants,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text data as well as in-depth interview. For data analysis,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simultaneously based on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procedure of grounded theory. Results: By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90 concepts, 21 sub-categories, 11 categories were derived. Our data showed that causal situation in axial coding is under the pressures of golf with the negative thought and contextual condition is important moment, environmental influence. In addition, main phenomenon is differential condition and intervening situation is ‘psychological training’, ‘perceptions of main factor’ and interaction strategy is ‘psychological afterimage remove’, ‘focus the golf’, ‘change the environment. Specially consequence is slowly escape. Conclusion: core category is escape from differential condition and according to type are Mental dependent type, Practice dependent type, Let-it-go type. Also, process analysis is step of risk, making an effort, finding my own way and escap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thletic identity and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 behaviors perceived by adolescent athletes and athletic burno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lf-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1985). Methods: The subjects include 407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boys=220, girls=187) attending an athletic or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Chungcheong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put to the fitness test of the overall model and hypothesis test with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thletic identity turned out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Second, the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Finally, both athletic identity and the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s and athletic burnout. Conclusion: Those findings show that coaches' controlling coach behaviors induce negative athletic identity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thus facilitate athletic burnout.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methods of working platforms arrangement for NPP(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has been reviewed to enhance the construction accessibility. The working platforms will be enlarged and added because of accessibility of the hi-capacity crane for installation of the SC module and the combined module. The vertical elevator and the working tower have been also proposed to increase construction accessibility. It is concluded that the improvement of constructability is possible based on the consultation of construction company.
˜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synoptic patterns of the spring (March to May)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by the approach type of the warm conveyor belts around migratory extratropical cyclones. Analyses of synoptic atmospheric conditions show that the spring warm conveyor belts in the form of low-level jets appear at lower elevation than that in summer. Most of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at the warning stages or watch result from forward-sloping ascent warm conveyors belts accompanying active convection. Particularly, the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at the warning level over Mt. Halla is intensified by the elongation of the foreward-sloping ascent warm conveyor belts when the east high-west low pressure systems, the upper level jet in the northern region- southwesterly low level jet and the migratory low pressure system at mature stage heading for the Korean Peninsular are combined.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improv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spring heavy rainfall events over Mt. Halla.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디자인의 특성들을 파악하기 위해 가로시설물 중심으로 문제점과 현상 진단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공공디자인 개발 시 도시의 특성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디자인 콘셉트 또는 디자인 서비스 방법을 제시 도시의 상품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공공디자인 부문에서 을 설정하였고, 시설물 대상에 관한 현상과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공공디자인의 철학을 제시,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공공서비스 실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공공디자인 매뉴얼 인간중심 디자인 패러다임에서 사고의 변화·소통·아름다움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연 그리고 시설물관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시의 상품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 매뉴얼을 추출함으로써 공공디자인 개발 시 디자인이너의 자세와 소비자 니즈의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공공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디자인 개발 시 콘셉트 설정에 큰 기초가 된다. 본 연구의 공공디자인 경우 육교, 현수막 등 가로시설물의 이미지 분석을 편리성, 안전성, 사용성, 인터페이스, 정체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각각 연관된 사람과 자연 그리고 시설물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서비스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Village community centers are public locations where residential members of communities gather for various group meetings, social support, public information and recreational activities. Since the residents voluntarily operate the facilities, a convenient access to the center is a very important criterion for choosing where such facilities should be distributed throughout the districts. In particular, it is highly desirable to locate them within walking-distances from the residential populations. In this work, we have evaluated the accessibility to the community centers in several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s that were collected from year 2005 to 2012. We used the collected rural amenity resource distributions of the area for the evaluating the accessibilities to village center. More specifically, we considered some factors such as residential district and fraction of elderly population in the vicinity.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ystem to investigate and analyze various impacting factors to Rural Housings such as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ings located in a Rural Village to the Village and a Unit Hous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inside the Unit Housing and the Village, and to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Space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summarized as following four kinds. Rural Housing Survey System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and they are a Preliminary Survey, Basic Survey and In-depth Survey. Along with these, the scope of the survey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a survey result by a unit of village, of land, of housing, and of resident's opinion survey. Secondly, the surveys by village unit are on location properties, Village Identity, Street Network, Land Use, Landscape Features and Public Facilities, and consist of Literature, Discussion and Field Survey. Thirdly, the land Unit Surveys are on a Driveway, Gate Location, Housing Placement, Outer Space Design in a Yard and Outer Space Use Characteristics,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or the fourth, the Housing Unit Surveys are on an Internal Space Design and Placement, and consist of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s. Finally, the Resident Questionnaire Survey consisted of Entire Discussion Survey and a Household one, and then the Entire Survey was on the Village's History, Village's Characteristics, Cultiva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ctivities while an individual one was on Main Living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당해 연구의 제 1 부 논문에서 확률론적으로 접근한 데에 이어, 파이로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에 대하여 폐쇄 후 처분장 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근계 영역 내 세가지 주요 설계 관련 요소에 대하여 각 핵종별로 최종 피폭 선량에 주는 민감 도를 결정론적인 방법을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농축 피폭 집단에 방사선 피폭을 주는 주요한 핵종들이 처분장에서 유출된 후 처분 시스템 근계 영역 내 다양한 매질을 이동하는 것에 관련되어 이들 요소가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게 되는지 보기 위 하여 제 1 부에서 처분 용기의 수명, 선원항으로서의 처분 용기에서의 연간 핵종 유출률, 그리고 처분장 주요 인공 방벽으로 서의 완충재의 손실도 등의 변화를 확률론적 접근 방법으로 검토한 데 이어, 제 2 부의 이 연구를 통해서는 통계적인 확률 론적 민감도를 검토하는 대신 세가지 인자에 대하여 가장 나쁜 경우와 이상적인 조합을 구성한 후 이를 결정론적으로 평가 하여 인지된 3개의 요소들이 제 1 부에서의 결과와 동일하게 처분장 설계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