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CpBV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바이러스 게 놈에 포함된 시스타틴 유전자의 과발현이 배추좀나방 유충의 면역 및 발육을 교란 한다. 이 연구는 바이러스 유래 시스타틴의 생물적 기능을 형질전환식물을 통해 검 정하고, 해충저항성 작물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서 담배형질전환체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아울러 목표유전자의 발현분석과 곤충에 대한 발육억제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분석과 생물검정을 수행했다. 시스타틴(cystatin: CST) 유전자를 pBI121 운반체에 재조합한 pBI121-CST를 제작하고, 이를 agrobacterium 매개에 의한 담배 형질전환 및 재분화를 유도하여 약 92%의 높은 신초 재분화율을 나타냈 다. 목표유전자의 삽입여부와 발현분석으로 담배 genomic DNA에 시스타틴 유전 자가 삽입된 형질전환 추정 개체를 선발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 분석을 통해 형질전환 추정 개체가 비형질전환체에 비해 유전자 발현이 약 18배 높게 나타 나 형질전환계통에서 목표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형질 전환 추정 개체의 생물적 기능 분석으로 담배나방 유충 섭식조사를 수행하여 유의 한 살충효과를 확인하였다. 섭식 후 7일차 조사에서 T9와 T12계통은 95%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3일차에서도 4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고 계통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시스타틴이 곤충 발육을 억제하는 생물적 활성을 나타내며, 해충저항성 작물 개발에 필요한 유용 유전자 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creatures for making game characters. A creature is a living being and it comprehends everything including the real world, the universe, and virtual worlds. Creatures are characterized by creation and transformation, and they complete game characters. Completed character creatures can be used in games, animations, movies, comics, smart phone games, etc. There are various materials of creatures including plants, birds, mammals, and humans, and these materials can be expressed as game creatures and used in making game characters. In this study, creatures were developed in the forms of bird, mammal, and human. Combined with game background, game characters generated from such creatures produce game contents that are usable in various areas.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more diverse creatures to be utilized in areas where game contents are required.
국내 수치지형도의 제작방법은 항공사진촬영방식을 이용하여 1년 주기로 수정 및 신규로 제작된다. 도 로의 현황은 1995년 총연장 74,237km에서 2012년 105,703km로 약 30% 연장이 확대되었으며, 고속도로 도 최근 15년간 1995년에 비하여 2배 이상 연장이 확대되었다. 기존의 수치지형도 제작방법으로는 도로의 연장에 따른 신속한 지도 제작 및 도로 주변 및 도로상에 존재하는 시설물에 대한 DB구축이 어려운 실정 이다. 또한 항공사진측량방법은 수직촬영에 의한 정사영상을 이용함으로 도로주변의 가로수, 대형건물 등 의 지장물에 의한 폐색구간에서는 인도와 차도의 경계, 차량 진출입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있는 시설물 들에 대한 DB구축 및지도제작은 불가하기 때문에 현지조사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 및 도로 시 설물들에 대한 지도제작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amera, Laser Scanner, GPS, IMU, DMI 등 멀티 센 서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취득하고 점군자료와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도로 기반의 정밀 수치지형도 제작 가능성을 파악하기위한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정확도 검증 대상으로는 중앙선, 노면 표시, 도로 표지판, 가로등 등 도로 시설물로 정하였으며,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하여 DGPS Network RTK측위 방법 중 하나인 VRS(Virtual Referens S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3차원 위치정보를 취득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prototype mechanical white noise generator has a source level of more than 170.0 dB (re 1µPa at 1 m) at the frequency range of 10 Hz to 100 kHz.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enerator are as follows. The average source level of the generator measured by a step of 15°in horizontal (0 to 360。, 25 points) was 185.2 (SD (standard deviation): 2.3) dB (re 1µPa at 1 m). The maximum and minimum source levels were appeared at the frequency range of 2.5 to 5.0 kHz and around 100 kHz, respectively. The average source levels at 0°, 90。, 180。and 270° were 162.9 (SD: 10.6), 168.4 (SD: 10.0), 162.1 (SD: 9.1) and 166.5 (SD: 11.1) dB (re 1µPa at 1 m). The average source level measured by a step of 30° in vertical was 184.9 (SD: 2.2) dB (re 1µPa at 1 m). The relative maximum variation width of the source levels in horizontal and in vertical measurement were less than 7.0 dB and 1.0 dB,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a damper system, a solution to a fire damper is developed using the continuity equation of damper control and orthogonal array. The fire damping device is made with a CAE software. Additionally, new H-120 grade fire damper is designed for the optimal offshore structure. This device will soon be tested on an actual offshore structure. An optimized fire temper is finally achieved using an orthogonal array. Using the result of present study will provide an environment friendly fire damper for offshore plants by choosing the optimum fire damper conditions
Metal films (i.e., Ti, Al and SUH310S) were prepared in a magnetron sputtering apparatus, and their cross-sectional structures were investigat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pparatus used consisted of a cylindrical metal target which was electrically grounded, and two anode rings attached to the top and to the bottom of the target. A wire was placed along the center-line of the cylindrical target to provide a substrate. When the electrical potential of the substrate was varied, the metal-film formation rate depended on both the discharge voltage and the electrical potential of the substrate. As we made the magnetic field stronger, the plasma which appeared near the target collected on the plasma wall surface and thereby decreased the bias current. The bias current on the conducting wire was different from that for cation collection. The bias current decreased because the collection of cations decreased when we increased the magnetic-coil current. When the substrate was electrically isolated, the films deposited showed a slightly coarse columnar structure with thin voids between adjacent columns.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grounded substrate, the deposited film did not show any clear columns but instead, showed a densely-packed granular structure. No peeling reg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ilm and substrate, indicating good adhesion.
목적: 심한 각막 외상이나 중심부 각막 혼탁은 각막이식술을 요하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현 실적으로 충분치 않다. 인공각막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에 주변부 각막 곡률 반경 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고자 주변부 각막의 기하학적 형태를 경선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57명의 우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동 각막 곡률반경 측정기기(keratometer)를 사 용하여 중심부 곡률반경 측정 이후 주변부 곡률반경을 측정했다. 주변부 곡률반경은 곡률반경 계를 기준으로 각막 중심에서 약 10도와 20도 떨어진 부위를 30도 경선별로 측정했다. 중심부 곡률반경을 기준으로 각 경선별로 10도와 20도 떨어진 곳의 구간별 곡률반경 변화율로 편심률 (eccentricity)을 산출하였다. 이후 각 구간의 경선별 간 편심률을 비교했다. 결과: 각막 중심에서 10도 떨어진 주변부의 각 경선별 편심률 평균은 1.04±0.19 이고, 20도 떨어진 주변부의 편심률 평균은 0.63±0.09 로 나타났다. 각막 중심에서 10도 떨어진 주변부는 기준 값인 중심부 곡률반경보다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작아서 편심률이 포물선(parabola)의 형상인 1에 가깝거나 오히려 1보다 큰 값을 갖는 쌍곡선(hyperbola)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0 도, 90도, 180도, 270도에서는 1보다 큰 값을 보였으며 그 이외의 경선에서는 1보다 낮은 값 을 보였다. 그러나 각막 중심에서 20도 떨어진 주변부는 예상 가능한 타원형의 형상을 보였다. 90도 경선에서 가장 높은 값인 0.82를 나타냈으며 240도와 300도에서 가장 낮은 수치인 0.5 를 보였다. 결론: 주변부 각막의 형상은 각막의 기하학적 형태 분석뿐만 아니라 큰 직경의 RGP 콘택트렌 즈의 피팅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주변부 각막에 대한 곡률 반경 측정 결과 각막 중 심부에 가까운 부위는 비정상적인 편평함을 보였지만 각막 중심에서 20도를 벗어나면 편심률 의 평균은 0.63으로 타원형을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편심률을 0.4~0.6 정도로 간주하 지만 본 연구에서 각 경선별 편차를 산출해 본 결과 가장 큰 편차량은 0.32까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힌 각 경선별 편심률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직경이 큰 RGP 콘택트렌즈 처방이나 추후 인공각막 제조술이 개발되었을 때 기초자료로 사용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seeks to offer practical suggestions for manufacturing jacket lining patterns through research on menswear brands. A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a survey instrument targeting 12 menswear brands.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btained using SPSS 18.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lining production, most menswear brands were found to provide jacket lining patterns to their subcontractors, and pattern makers were found to design lining patterns based on their own know-how.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oduction of jacket lining patterns is whether linings are cut more than once during the sewing process. For suit jackets, linings are cut more than once, and for casual jackets, linings are cut once. Second, with regard to jacket production for different jacket styles, most menswear brands were found to use patterns that include seam allowance. Partial lining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methods used to sew edges and attach linings to the outer shell. Third, extra space in jacket lining patterns varied according to style. Jacket lining patterns for suit jackets and casual jackets showed differences in extra space in the following areas: the parts that cover the chest(suit jacket linings: 5.6cm, casual jacket linings: 2.4cm), the parts that cover the waist(suit jacket linings: 3.8cm, casual jacket linings: 1.3cm), hem(suit jacket linings: 2.7cm, casual jacket linings: 1.3cm), and bicep(suit jacket linings: 2.7cm, casual jacket linings: 1.1cm). However, extra space in the sleeve hems was identical for the two styles(suit jacket linings: 0.1cm, casual jacket linings: 0.1cm).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lothing manufacturers design linings in accordance with the jacket lining production style.
최근 기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국단위 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에서도 기후 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무인자동 기상관측장비(AWS) 자료와 LANDSAT 8호 열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지상 기온 분포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었던 AWS 자료의 공간 보간 기법, 열적외선 영상으로 부터 지표 온도 추출 기법, AWS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상 기온 추출 기법을 비교하고, 지상 기온 분포도에 적합한 지도 제작 기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을 위해 AWS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상 기온 추출 기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지역단위의 기후 지도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proposed game background content production according to game genre characteristics. Above all, this study classified game backgrou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ame genre for game background production. Game background intuitively displays a whole game and interfaces with game players. Game background is the player’s space significantly important because it gives interest and immersion of the game to the player. This study analyzed Dungeon background content production for online game PRG genre. For production of Dungeon game background cont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eriodic, cultural, historical, artificial, virtual, environmental elements including periodic backgrounds and fantasy elements as background environment set elements. A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related materials, establish content images, and actualize them. After completing establishment and actualization, it is necessary to finish background work by producing 3D contents based on the original picture. This study produced 2D Dungeon background contents with Photoshop and 3D with MAX, resulting in satisfactory production.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Dungeon game background contents, it was found that most of content production was conducted under dark and fantasy tones with the sense of medieval weights. For future studies, it is needed to research content production with regard to various genre backgrounds and for high quality background content production.
볼륨 타입의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해 광학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필름으로 노광하는 기존의 과정과 비교해 간략화하고 자동화된 볼륨 컬러 홀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DLP 프로젝트를 도입하여 광학시스템을 디자인했다. DLP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시차 이미지를 확산판에 투영하고 물체광을 생성시켰다. 참조광은 유제면의 반대 방향으로 입사시켜 간섭무늬를 만들었다. 시차이미지는 색분해 하여 Red, Green, Blue의 색 성분으로 만들어 공간에서 분할하는 기록 방법으로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제작했다. 660nm, 532nm, 457nm의 파장을 지닌 세 대의 레이저 광원을 사용해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2단계로 나누어 기록했다. 마스터 홀로그램에서 공액 재생법으로 실상을 재생시켜 리프만 홀로그램 타입으로 제작하였다. 제안하는 디지털 방식의 광학 시스템으로 볼륨 타입의 컬러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uter graphics technique with which two dimensional black and white characters used to be displayed on a monitor in the early period, has now been developed to display three dimensional color images on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owing to technique growth in graphics, non-photo realistic rendering technique has grown to express non-photo realistic images as well as realistic rendering. Non-photo realistic rendering technique grows to be motion graphic technique. With the growth of motion graphic technique, it can be possible to produce various expressions and effects. This study proposes a way of turning three dimensional images into two dimensional cartoon look. Two dimensional cartoon look, a type of pictorial expression appeals to emotions, and is in great demand at advertisement, mobile and cartoon. Thus, this study not only changes three dimensional images into two dimensional cartoon look, but also numerous images can be expressible in one page by applying PIP (Picture In Picture) technique, and expressions of cartoons are to be reproduced in turning pages automatically by applying ‘page turn’ technique.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is content production technique can be applicabl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game, advertisement, cartoons, etc.
An optical grism for education is fabricated and tested. It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grating as dispersion element and a prism as diffraction angle compensation device. The transmission grating is Edmundoptics #49-584(spatial frequency 600 lines/mm, dimension 50 mm × 50 mm). The prism is the fused silica type with angles (41.3 , -48.7 , -90 ). The grism device is fabricated by bonding the transmission grating and the prism with an optical adhesive. The zig for assembling the grism, telescope and camera is composed of an aluminum tube, an aluminum disk ring and a T-ring camera adaptor. The fabricated optical grism spectrograph is tested in laboratory using Halogen lamp and Neon lamp with DSLR camera. And the grism assembled with reflector telescope is tested in a field using stellar light. The results show good agreements with design parameters. The wavelength coverage range of the grism is 250 nm at the un-deviated wavelength of 506 nm. The wavelength resolution is 0.11 nm/pixel.
We present an improved sketch-based image search technique through which users can search their target images from the images in database. This technique can be used in constructing an efficient game development framework. Our basic approach is to search the database by comparing the user-created sketch with the graph extracted from the images in the database and estimating the similarity. The images of high similarities are suggested as the candidates that match the target imag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atching process, we substitute the graph-based representation of images with vectorized coherent lines, which are known as one of the most precise schemes in extracting and describing important features in an image. By the experiments on 820 images of 32 categories, we prove that our scheme shows higher matching accuracy than the existing schemes.
2013년 사쿠라지마 화산 폭발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화산분화가 잦아짐에 따라 백두산 화산분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화산분화 시 상황에 따라 화산재, 화쇄류 및 화산이류와 같은 화산재해가 발생하며, 이 중 화산재는 기상상황에 따라 한반도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기상 및 지구과학적 측면에서 화산재 확산자체에 대한 모델 적용 또는 경제적 측면에서 재해에 따른 경제적 취약성 계산과 같은 어느 하나의 학문분야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모델링의 결과 값을 공간적으로 표출하는 과정과 이를 근거로 하여 피해 산정 모델링 식에 적용을 하여, 상호작용을 통한 경제적 피해산정이 모델링 결과에 이어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및 프로그램 구현을 진행하였다. 즉, 피해지도는 모델링의 결과와 경제적 피해산정의 결과가 모두 지역단위로 표출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으로, 보통 피해액 산정에 있어 전체 값만을 도출하는 기존 연구와 차이를 보여준다. 실제 이러한 모듈은 화산분화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시스템 적용으로 연결될 것이며, 피해지도(damage map)의 표출 관련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단위의 상세한 공간정보 설계와 지도학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은 화산학, 기상학, 토목공학 및 경제학의 영역의 일부를 모두 포함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질문 “백두산의 화산분화가 우리의 삶과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에 답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그 답은 본 연구의 결과에 분화 당시의 파라미터 값에 따라 동적으로 다양한 결과를 얻게 된다고 할 수 있다.
Photoelectrochemical cells have been used in photolysis of water to generate hydrogen as a clean energy source. A high efficiency electrode for photoelectrochemical cell systems was realized using a ZnO hierarchical nanostructure. A ZnO nanofiber mat structure was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of Zn solution on the substrate, followed by oxidation; on this substrate, hydrothermal synthesis of ZnO nanorods on the ZnO nanofibers was carried out to form a ZnO hierarchical structure.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mat and the thermal annealing temperature were determined as the parameters for optimization. The morphology of the structures was examined by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ction. The performance of the ZnO nanofiber mat and the potential of the ZnO hierarchical structures as photoelectrochemical cell electrodes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 of the photoelectron conversion efficiencies under UV light. The highest photoconversion efficiency observed was 63 % with a ZnO hierarchical structure annealed at 400˚C in air. The morphology and the crystalline quality of the electrode materials greatly influenced the electrode performance.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 two fabrication methods, electrospinning and hydrothermal synthesis, was successfully applied to fabricate a high performance photoelectrochemical cell electrode.
해상국립공원지역의 생태계 기반 관리체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서 국립공원 연구 1호(국립공원관리공단, 147 ton)를 이용하여 한려해상국립공원과 다도해해상국립 공원의 유·무인도서 및 특정도서에 대해서 육상조사, 수중 조사와 해저지형을 조사하여 육상 및 해상, 해중을 연계한 종합생태지도를 제작하였다. 해중생태지도 제작을 위해서 육상 및 해상 좌표계를 통일하였으며, 조사 격자 범위에서 생태지도의 주요 생물상 분포를 분석한 다음에 ArcGIS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생태지도를 제작하였다. 수치표고모형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작성하기 위해서 고도 와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불규칙삼각망(TIN)을 작성하고 육 상 등고선과 해양 등수심선에 대해서 각각의 TIN을 만들어 DEM을 작성 후, 지형을 분석하였다. 위성 및 항공영상의 배경합성은 육상과 해상의 고도와 수심 자료로 만든 DEM 의 항공사진과 해저면 스캔영상을 따로 모자이크하고 합성 하였다. 해저지형 분석은 ArcScene을 실행한 후, 따로 만든 항공 및 해저 이미지에 DEM을 기저고도(Base Height)로 설정한 다음, 지형 분석에 이용하였다. 제작된 3차원 이미지 는 0.25m격자의 해상도를 갖고 있는 항공영상과 해저면의 Side Scan Sonar 이미지를 이용하였으며, 육상과 해양을 통합하여 3 차원 구현이 되도록 수행하였다. 촬영된 항공영 상과 해저면 영상에 대해서 현장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서 육상 현장조사과 식생조사, 수중조사와 해양생물 분석 자료 를 반영하여 해저와 육상 지형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작성된 육상 및 해양 생태지도는 서 식지와 생태계의 종합적인 관리지도를 작성하는 기초단계 로서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관리지도 로 발전시키고 향후, 외적인 환경변화를 추가함으로서 해양 자원관리와 생물보전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해야 될 것이 다.
목 적: 중심파장이 656.3nm에서 반치폭이 약 8nm이고 투과율이 92%인 협대역 H-α imaging 필터를 설계·제작하고, 이 필터의 박막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 법: 전자빔 증착기를 이용하여 Ti3O5/SiO2 다층박막으로 656.3nm 대역투과필터와 Hb600 적외선 차단필터를 만든 후, 분광광도계로 투과율과 대역폭을 확인하였다. SEM사진을 이용하여 적외선차단필터 단면을 관찰하였고, XRD 데이터로부터 박막의 구조를 알 수 있었으며, XPS 분석으로부터 박막 성분을 확인하였다. 결 과: 협대역 H- imaging 필터에서 대역투과필터의 최적조건은 30층, 반사방지막 코팅층은 6층, 적외선차단필터는 32층으로 설계·제작되었다. 제작된 H- imaging 필터의 최대파장피크가 이론치에 비교했을 때 약 0.7nm로 공차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RD 분석으로 대역투과 필터와 반사방지막 코팅층은 비정질로, 적외선 차단 필터는 결정질으로 코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EM 사진에 의해 적외선 차단필터의 코팅 층을 확인하였고, XPS 분석에 의해 대역필터의 가장 바깥층이 SiO2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Ti3O5/SiO2 다층박막을 이용하여 30층의 대역투과 필터와 32층의 적외선차단필터를 제작하여 657nm 중심파장에서 8nm 반치폭을 가지며 투과율은 92%인 협대역 H-α imaging 필터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필터는 설계치와 거의 비슷한 투과율과 반치폭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