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제조현장에서는 현재 많이 도입중인 자동화 프로세스들을 지원할 목적뿐만 아니라 생산효율을 높이고 생산실적 파악 등의 목적을 위해 관련 데이터의 통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서는 통합적인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ERP 등과 같은 Infra 시스템은 갖추어져 있으나 요구되는 데이터를 쉽게 효율적으로 모아서 활용할 방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Database 측면에서는 Multidatabase의 도입,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Corba, DCom 등과 같은 미들웨어를 활용하여 해결하려 노력하여 왔다. 국내 G사에서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 들은 도처에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생산계획, 생산지시, 생산실적, 작업조건 파라미터 관리, RFID 관련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제조 자체를 지원하기 위해서도 접근 필요성이 존재하며 또한 제조 프로세스 라이프사이클 상에서 관련 Activity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운영할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동차 제조 프로세스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파악하여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조 프로세스 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는 XML Schema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렇게 통합된 기업의 정보를 현재 도입되어 있는 ERP 및 제조현장 실무 (예를 들면 작업지시서 출력, Label 출력, 출고서 출력, RFID 컨트롤러와의 연계서 출력 등)에 활용할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방법론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였는데 이때 데이터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 Altova MapForce 툴을 활용하였다. 통합데이터는 XSLT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ERP 지원, Label 출력, 출고서 출력 등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되는 통합 데이터는 자사내의 생산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JIT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연계관계에 있는 협력관계 회사와의 데이터 연계를 위해서도 기반이 되리라 기대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eatur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using CART algorithm, a data mining technique. In this study, data on 10,536 accidents were analyzed to create risk groups, including the risk of disease and accident. Also, this paper used the gains chart produced by the decision tree. According to the result, gains chart can be used for a risk analysis for industrial accidents management. The sample for this work chosen from data related to manufacturing industries during three years (2002~2004) in Korea. The resulting classification rul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development of a developed database tool to help quantify associated risks and act as an early warning system to individual industrial accident in manufacturing industries.
담양 염장 죽순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해 죽순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발효조건과 죽순첨가 형태를 결정하였다. 죽순은 수분함량이 82.59 %, 단백질 4.56 %, 지질 0.52 %, 회분 0.50 %, 그리고 식이섬유소가 11.72 %(w/w) 함유되어 있었으며, 무기질은 Ca, P, S, Na, Mg, K 순서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죽순을 첨가하기 위한 요구르트는 ABT-5 미생물을 0.005 % 접종하여 40 ℃에서 13시간 발효시켰으며, 요구르트 첨가용 죽순은 형태를 달리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5×5×5 mm 크기로 절단한 죽순을 50 % 설탕에 절임하여 15 %(w/w) 비율로 첨가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죽순 요구르트는 4 ℃ 냉장온도에서 15일 동안 저장 중 pH와 산 생성, 젖산균수, 그리고 비피더스균수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성이 우수였다. 따라서 죽순 첨가 호상요구르트는 기호성과 품질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학적으로도 훌륭한 상품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새로운 급속소결방법인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습식 볼밀링으로 혼합한 WC-8wt.%Co분말에 60MPa의 압력과 90%의 고주파출력 또는 2800A의 필스전류를 가하여 상대밀도가 98.6% 이상인 초경재료를 2분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초기의 WC분말의 입도가 미세해짐에 따라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 모두 소결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도 감소하였다. 고주파유도가열 소결
급속소결방법인 고주파유도가열 소결법과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습식 볼밀링으로 혼합한 WC-8wt.%Ni분말에 60MPa의 압력과 고주파유도가열장치의 경우 전체 용량 (15kw)의 90%에 해당하는 고주파출력을, 펄스전류활성 소결장치의 경우 2800A의 펄스전류를 가하여 치밀한 소결체를 2분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WC 초기입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조된 소결체의 입자크기와 평균자유행로는 증가하였다. 또한 WC 결정립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So far, there is no technique of quantitative evaluation on danger related to industrial accidents. Therefore, as an endeavor for obtaining technique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is study presents featur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manufacturing field using QUEST algorithm. In order to analyze feature of industrial accid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10,536 subjects (10,313 injured people, 223 deaths). The sample for this work chosen from data related to manufacturing businesses during three years (2002~2004)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were very informative since those enable us to know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such as occurrence type, company size, and occurrence time which can affect injured people. Also, it is found that classification using QUEST algorithm which was performed in this study is very reliable.
고주파유도가열 연소합성법으로 60MPa의 기계적 압력과 고주파유도가열 장치의 총용량 (15KW)의 90%의 출력을 가해 75초의 짧은 시간에 97%이상의 상대밀도를 갖는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의 미세조직 사진으로부터 선형분석법으로 측정한 의 평균 결정립크기는 각각 250nm 과 60nm 이었다. 또한 제조된 시편을 연마하여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기계적 특성평가를 한 결과 경도 와 파괴인성은 각각 와 이었다.
It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which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for safety personnel serve in the enterprises located at two cities in Gyungbuk area, Gumi and Pohang where the major industrial complex resid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category and scale of the enterprises affect the sort of hazard factors, occurrence rate, and countermeasures against WMSDs. The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counteracts for WMSDs among the enterprises subject to their categories and scal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sidered a more efficient way of spreading proper ergonomic knowledge and skills to the industries that were coincided with the circumstances of individual enterpr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