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직장 내 인적자원들이 지각하는 체험적 요인들이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성을 증대시키고 직 무만족을 이끌며 결국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이라는 성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기본적 으로 기존의 근무환경, 인센티브, 리더십 등 직무만족을 이끄는 여러 요인들과 달리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 되고 있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대해 지각하는 체험을 인적자원이 지각할 수 있는 직장에서의 체험으로 변형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도입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구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원들의 직장 내에서 지각하는 감각적 체험이 긍정적일수록 행동적 체험이 긍정적이고 직원 간 상호작용성이 높아지며 결국 직무만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직장환경 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성을 높여주는 것이 또한 중요한 직무만족의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 연구에서 등장했던 상호작용성이 일반 회사에서도 똑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는데 즉, 직원들 간의 소통이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 은 조직성과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직원들이 잘 갖추어진 근무환경, 리더가 창출 하는 긍정적인 직장 분위기로 즐겁고 감성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 준다면 결국 이는 직원들 간의 상호작 용과 직무만족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에 직원들의 상호작용성이 높다는 것은 성공적인 회사 일 수 있다는 반증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인적자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고객을 응대하는 회사 직원들의 고객지향성으로 이어 주는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이는 과거 연구들과도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전의 내부마케팅 연 구에서 제시되었듯이 회사에 대한 만족과 충성도는 특히 고객을 응대하는 직무에 있는 인적자원들이 고 객에게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영향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구두를 단순히 발을 보호하고 편안하게 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식과 자아 이미지를 표현해주는 패션제품으로써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 온라인 시장 분석에서 구두가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제품이라고는 하였지만 인터넷 구두 시장을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인터넷 구두시장에서 구두 e-충동구매과정에 대한 쇼핑성향, 마케팅 자극,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위험지각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다. 최근 6개월 동안 구두 e-충동구매를 경험한 적이 있는 대학생들 총 40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술형식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쾌락적 쇼핑성향이나 브랜드 쇼핑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은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마케팅 자극(판매촉진 자극이나 제품자 극)을 더 많이 인지하였고, 반면 경제적 쇼핑성향의 소비자들은 마케팅 자극을 더 낮게 인지하였으나 기능적인 위험은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의 경우, 마케팅 자극이 강할수록 e-충동구매는 증가하였으나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은 e-충동구매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영향을 받는 마케팅 자극이 구두 e-충동구매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특정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추가적인 목표가 탐색되었을 때, 추가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가 개인의 내재적인 우연수용성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참가자들에게 특정 수단(운동과 저축)과 관련성이 높거나 낮은 추가 적인 목표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수단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연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은 우연수용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원래의 목표외에 추가적인 목표들에 대해서도 현재의 수단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추가적인 목표가 원래의 수단-목표 연결과 관련성이 높을 때에만 발견되었다. 즉, 추가적인 목표가 원래의 수단-목표 연결과 관련성이 낮은 경우에는 우연수용성이 높거나 낮은 사람들 간의 추가적인 목표에 대한 수단의 효과성 평가에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목표 체계 이론(goal systems theory)과 우연수용성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mobile fashion shopping. Furthermore, the effect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on perceived value was analyzed. To estimate the level of use of mobile fashion shopping,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of buying fashion products and the period for which they had bought fashion products. The survey was limited to adults aged 20-40 year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a mobile shopping mall.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2015 to April 22, 2015 and 430 sets of useful respon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or mobile shopping consumers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as follows: convenience/ economic shopping, ostentation/trend shopping, enjoyment shopping, and impulse shopp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except for convenience/economic shopping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group: short/few, long/few, short/many, and long/many.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each group. Third, all the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except for impulse shopp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Fourth,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had a slight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according to each group.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shion shoppers’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while shopping at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s based on their internet shopping valu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2~15, 2015. Most consumers purchased one or two fashion items at overseas online malls directly, motivated by low prices, and spent 200,000~400,000 won during the last one year. The factors of consumers’ internet shopping values were information, hedonics, and practicality. Factors of perceived risk were delivery and refund, price and approval, and product and shopping mall.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heavy pursuit shoppers, intermediate shoppers, and uninformed shoppers based on their internet shopping values. Heavy pursuit shoppers were primarily female; they spent more, felt a deeper patronage with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s and their perceived risk regarding delivery and refund was higher than the other shoppers. The group of uninformed shoppers were primarily male. They spent less, had low patronage with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s, and their perceived risk regarding delivery and refund was lower than other shoppers. Overal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ffected by information provided while shoppers were surfing the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s and practicality.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ffected by perceived risk regarding price and approval and difficulty in finding specific products while shopping at overseas online shopping malls.
기존의 많은 흡연 연구는 담배 소비 경험을 흡연자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흡연자는 담배 소비를 통해서 쾌락적 동기나 사회적 동기를 충족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이라는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자의 담배소비 행동이 흡연자의 이상적 자기개념이나 사회적 자기개념이라 는 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때 죄책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담배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죄책감이라는 부정적 정서 경험을 중심으로 흡연자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자는 담배 소비가 제공하는 쾌락적 혜택보다 신체적 피해를 더 크게 지각할수록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타인에 대한 죄책감을 더 강하게 경험하였다. 또한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은 금연 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 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흡연자 자신에 대한 죄책감(예. 담배가격 인상)과 타인에 대한 죄책감(예. 간접흡연이 가족의 건강에 미치는 피해를 보여주는 금연 광고)을 유발하는 금연 캠페인이 흡연자의 금연 의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러한 인과관계가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 역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수집된 854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공공 기관 사회복지사 435부, 민간기관 사회복지사 368부 총 803부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 각할수록 조직몰입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소진 의 매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할수록 소진은 낮아지고, 이렇게 낮아진 소진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관유형(공공, 민간)에 따른 사회복지사가 지각 하는 임파워먼트가 소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 모두 임파워먼트는 소진에, 소진은 조직몰입에,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영향은 미치지만 연구변인들의 영향 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들의 조직몰입도를 높이 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사회복지사의 소진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노력과 방안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의류 시장에서 SPA 브랜드의 급격한 성장을 기반으로 관련 업체들이 기존 의류 이외에 다른 종류의 다양한 제품(SPA 브랜드 확장)을 출시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 이면의 심리적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소비자 정보 처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1) SPA 브랜드 확장과 원 SPA 브랜드 간의 유사성 지각과 (2) 평가(태도와 구입의향)로 구분하였다. 이후 가상의 3종류 SPA 브랜드 확장(저, 중, 고 유사성 조건)에 대한 소비자의 유사성 지각 과정과 평가를 각각 아이트래커와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SPA 브랜드 확장의 유사성 지각 과정에서 외적 정보 탐색량과 정보 처리 수준은 ‘중>저>고 유사성 조건’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태도와 구입의향은 ‘고=중>저 유사성 조건’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평가가 유사성 지각 정도와 유사성 지각 과정에서 투입된 인지적 노력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차별적 보상 지각이 종업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차 별적 보상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의 매개효과, 차별적 보상과 심리적 계약 위반 간의 관계에 있어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는 광주․전남 지역의 8개 조직, 200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서 중 177부가 가설검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적 보상 지각은 심리적 계약위반에 정(+)의 영향을 주고,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공정성 지각은 차별 적 보상 지각과 심리적 계약위반 간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 리적 계약위반은 차별적 보상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차별적 보상 지각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심리적 계약위반을 통해 간접적으로 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and identify how factors that related in consumer trust in food safety such as trust in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monitering responsibility of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and truth-telling of agricultural food scandle have influence on agricultural food trust and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agricultural food trust have an effect on perceived risk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then the perceived risk has influences on repurchase intention in agricultural food product setting.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women as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of purchase at several types of retailing grocery sto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19.0 and Amos 16 were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ust in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monitering responsibility of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and truth-telling of agricultural food scandle are positively associated on agricultural food trust, and truth-telling of agricultural food scandle are positively associated on consumer's perceived risk, but not in trust in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and monitering responsibility of agricultural food institutions. Second, agricultural food trust are positively associated on purchase intention, but is negatively associated on consumer's perceived risk. Finally, perceived risk has not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Pearl Stars’는 2013년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절화용 백색 겹꽃 안개초 신품종으로 분지각이 작고 줄기가 단단한 특성을 가진다. 2009년 화색이 밝고 소화수가 많은 ‘Gyp04-11’계통을 모본으로 화경장이 길고 줄기가 단단한 ‘Gyp07-39’ 계통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78개 종자를 채종하였다. 2010년 파종하여 획득한 71개 실생계통을 특성 평가한 결과 백색 겹꽃으로 일시개화성이며 분지각이 작은 ‘Gyp11-52’을 선발하였고, 3년 동안 특성평가를 실시하여 ‘Pearl Stars’를 육성하였다. ‘PearlStars’의 초형은 직립형이고 잎은 좁은 타원 모양, 소화는 백색 겹꽃에 소화수가 많고 일시개화성이 우수하다. 화서의 외부 위 모양은 둥글고 꽃잎 둥근 정도는 중간, 꽃잎 굴곡은 밖으로 굽은 식물체 고유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주 화경의 직립정도가 강하고 1차 측지의 분지각이 작으며,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이 많고 흰가루병에대체로 약한 편이다. 익산에서 7월 2일 ‘Pearl Stars’와 대조품종인 ‘Mirabella’ 삽아묘를 정식하여 가을 개화작형에서 특성검정한 결과, ‘Pearl Stars’가 ‘Mirabella’보다 8일 정도 개화가 빨랐고, 마디수가 적고 화경장이 짧았으며, 주당 발생 분지수는 2.2개 정도 더 많았다. 엽장, 꽃자루 길이, 열편크기는 ‘Mirabella’보다 짧았고, 엽폭과 소화크기는 더 컸다. 소화수가 많고 일시 개화성이 우수하고 줄기가 단단하여 시장성이 우수하며, 2015년 3월 국립종자원에 신품종으로 등록(제5356호)되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고객응대 서비스업체의 종사자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인적자 원 기반의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종사자의 직무역량에 의해 기업성과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에 인적자원 관리에 더욱 주목을 기울이게 된다. 이때, 종사자의 직무역량과 관련해 동료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지금까지 종사자의 행동에 의한 고객만족 및 서비스 품질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오히려 종사자의 행동에 의해 다른 종사자가 어떤 영향을 받는 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동료의 조직시 민행동에 의한 영향과 동료와의 프렌드십 지각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성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조직유효성을 높이고, 개인 및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 지각된 동료의 OCB는 부분적으로 직무만족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 라 이직의도를 낮출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친애적이고 친사회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은 고객 에게뿐만 아니라 동료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동료와의 프렌드십을 높게 지각하면 할수록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이직의도를 떨어뜨려 전체적으로 조직유효성을 증가시키 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와의 관계 및 동료의 행동적 영향은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시 키고 조직성과를 증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본 연구는 참여를 통해 일어나는 감정적 반응인 즐거움을 통해 조합원과 생활협동조합의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를 매력성, 지속적 정보탐색 및 호혜성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ocular training o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eye-hand coordination of patients after a stroke.Methods : The subjects this study were ten stroke patients who have trouble with handling visual percep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both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ocular motor training. The control group received upper extremity function training, and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and Adult (DTVP-A) and Visual Object Space Perception Battery (VOSP) were used to measure their visual perception, whereas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MMDT) and CMS-10 were used to measure their eye-hand coordina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Results : The two groups both showed an increase in visual perception and eye-hand coordination after intervention, bu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p<.05). Differences i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 with experimental group in form constancy of DTVP-A, total score of VOSP and moving part of MMDT (p<.05).Conclusion : The two groups both showed an increase in visual perception after intervention, but there was a greater improvement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erformed ocular training. As a result, it can be predicted that ocular motor training may be helpful in recovering and increasing the abilities of strok patient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mpanies has become a crucial factor considering company image and awareness. Businesses have thus increased their CSR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clear and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direct effect of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including its moderation by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A total of 28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dult consumers in the fashion market with promotional leaflets for CSR activities as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for CSR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responsibility, environment protection,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customer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Further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an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positively affected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Second,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fit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of CSR activities and fit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motivation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how to manag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are offered.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통해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완료한 요양보호사가 지각하는 요양보호서 비스활동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변인과 유발을 야기 시키는 상황을 알아보고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완료한 후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15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실시 전에 이 연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평균 35분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피험자의 동의하에 축어록을 작성하였다. 인터뷰는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간 실시하였다. 질문자와 응답자는 인터뷰내용을 빠짐없이 축어록으로 작성하면서 개인정보를 제외시키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고, 초기 영역 코딩 및 중심개념 코딩, 교차분석 전 과정에서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이 평정자와 감수자가 참여하여 연구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요양보호사 자격을 취득한 요양보호사가 지각한 요양보호서비스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변인에 대한 질적 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영역과 9개의 유발 변인, 그에 따른 유발상황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요양보호사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consumers’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and perceived risk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500 adults in their 20s~30s who had experience of using social commerce related to general products or service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 chi-square independence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ommerce users’clothes shopping orient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e pursuit of pleasure, brand, fashion innovation, trend, and utility, and the perceived risks were classified into the risks related to products, consumer service, loss of purchase opportunity, confidence in the web site, economy, and security. Second,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and perceived risk factors had a somewha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he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and perceived risk factors for the purchase intention of fashion products. Final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ashion companies to enable them to establish specific strategies that can influence consumers’purchase behaviors through social commerce.
The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NS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surveyed, as for the SNS acceptance channel of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accounted voluntarily for 71%. The SNS food service information regarding information of menu, location of store, price, coupon, taste evaluation, event, promotion, reservation and store atmosphere was researched. The most preferred information sharing for SNS food service were researched and found Facebook, blog and others in increasing order. The most preferred media to obtain SNS food service information were smart phone, desktop computer and others.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ase of use were also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od service corporation of SNS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nd was found: the longer period of SNS use, longer was access tim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higher perceived ease of us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ervice value: longer the period of SNS use, more preferred was the blog: th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the higher perceived service valu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longer the period of SNS use, longer was access time: th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the higher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the working-level aspects such as providing basic data and the academic approach of the study, when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SN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지역 전 학령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표준화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3년 9월 27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김해 소재의 C도서관과 창원 소재의 B도서관과 J 도서관에서 만 4세~6세 아동 60명(남아 30명, 여아 30명)을 대상으로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3 (MVPT-3)를 사용하여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별 시지각 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세가 23.0±2.18, 5세가 25.4±3.02, 6세가 31.2± 3.46이었으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있어 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 성별과 주거 지역 간 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580, p=.205). 교정연령과 시지각 연령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r=.783, p=.000), 원점수, 표준점수, 시지각 연령은 모든 연령의 아동에서 평가도구 개발대상인 미국 아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전 학령기 아동은 같은 연령의 평가도구 개발 대상인 미국 아동에 비해 시지각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MVPT-3을 사용한 평가와 해석 시 아동의 시지각 능력을 해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아동의 객관적인 시지각 평가와 보다 명확하고 의미있는 MVPT-3의 해석을 위해 우리나라 아동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on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30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mong 483 data collected, we used 452 samples except 31 unreliable respondents for the analysis.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di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e confirmed 5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enjoyment, credibility, instant connectivity, security, and personalization) and 3 perceived interactivity factors (control, responsiveness and two-way communication, and contextual offer) as results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ffected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lso had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via perceived interactivity. In other words,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purchase attitude and purchase attitude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had 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purchase attitude was significant.
본 연구는 숲의 종류별로 숲의 이미지와 만족도 및 신체적․정서적 측면의 치유지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이다. 숲의 종류는 편백나무숲, 졸참나무숲, 소나무숲으로 분류하였으며 단일 임상으로 이루어진 대상지를 선정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각 숲별로 60명의 피험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평균연령 68.6세이다. 편백나무숲은 쾌적하고 편안하며 친밀한 이미지, 졸참나무숲은 평범하면서도 안정된 개방적인 이미지, 소나무숲은 아 름답고 쾌적하며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숲의 이미지구조는 정연성, 어메니티, 공간특이성, 정감성 인자로 구분된다. 숲의 만족도는 졸참나무숲이 높게 평가되었다. 편백나무숲은 정연성 인자가, 졸참나무숲은 정연성 및 공간특 이성인자가, 소나무숲은 어메니티 인자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숲에서 피험자들은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개선이 되었다는 치유효과를 지각하고 있으며 특히 정서적 측면에서 치유지각의 효과가 높다. 신체적 치유지각은 숲 종류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적 측면에서는 소나무숲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졸참나무숲, 편백나무숲 순으로 숲 종 류 상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숲 만족도와 정서적 측면의 치유효과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