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8

        16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how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influence people's perceptions of the consequences of fast fash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females in their 20s to 40s, and a total of 43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sciousness-which was conceptualized as interest in consumer effectiveness and the environment-had a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i.e., clothing recycling and resource conservation. As the perception of consumer effectiveness was high, respondents had a tendency not to follow trends. Second,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environment perceived th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 as serious, and they felt negatively toward personal use of fast fashion. Third, consumers with strong resource conservation behavior perceived th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 as serious, but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econdhand clothing did not appear to have that perception. Finally, consumers who followed trends and those with weakly held attitudes about resource conservation felt positively toward personal use of fast fash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s an important factor for socially responsible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 addition, consumers with strong attitudes regarding resource conservation were more perceptive of the negative effect of fast fashion on the environment.
        4,800원
        16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무용 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과 흥미 및 학습태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가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학습효율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0월 4일부터 30일까지 J지역과 K지역에 소재되어 있는 J대학, P대학, S대학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 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자기 평가기입법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최초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 가 누락되거나 5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았고 10문항이상 동일한 응답을 반복한 46부를 제외하여 총 184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은 참가 대학생의 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의 흥미는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무용참가 대학생이 지각한 지도행동은 참가 대학생의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163.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 청소년의 시력, 굴절상태, 조절반응 및 시지각발달 상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7~19세 사이의 70명(다운증후군과 정상인 아동 청소년 각각 35명씩)을 대상으로,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LogMAR), 자동굴절검사기와 Mohindra 검영법을 이용한 타각식굴절검사, 4D, 6D 및 10D 조절자극 상태에서 동적검영법을 이용한 조절반응검사를 실시하였고, 한국판 시지각발달검사(K-DTVP-2: Korean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를 이용하여 시지각 발달상태를 평가하였다. 결과: 정상 아동 청소년과 비교하여 다운증후군 대상자는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이 유의하게 낮았고(p
        4,500원
        16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비전 및 리더비전 인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정치를 지각하면 조직이 추구하는 변화에 저항하며, 이때 조직비전과 리더비전의 인식 수준에 따라 조직정치 지각의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저항은 심리적 저항과 행동적 저항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주효과 가설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정치 지각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비전과 리더비전 인식은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저항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비전 인식은 조직정치 지각이 변화저항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정치 지각이 변화저항에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조직비전 인식이 높은 경우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에 미치는 영향력은 조직비전 인식이 낮은 경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조직비전이 명료하며 이를 조직구성원들이 잘 공유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조직정치 지각이 조직변화 저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저항에 있어 조직정치 지각이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조직비전 인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조직비전을 명료하게 공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직정치를 감소시켜야만 조직구성원들을 조직변화 노력에 동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800원
        165.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jeans possession and perceptions of jeans' fit among women in their 20s to help improve the accuracy of purchase decisions in online shopp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overcome limits in the fit conveyance method of online shopping malls. A sample of 149 females in their 20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height, waist size, and interest in fashion, and several factors were analyzed: jeans possession status, the fit of purchased jeans, the reason for purchase, and the perception of jeans' f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a high interest in fashion owned more skinny jeans, and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purchasing skinny jeans during the last year among those with a height of 160 cm or more, a waist size of less than 27 inches, and a high interest in fashion. Of the respondents, 92.6% accurately understood skinny fit, 51.7% understood straight fit, and 56.4% understood regular fi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kinny fit or regular fit, but straight fit was better understood by the group with a waist size of 27 inches or more. Thus, by providing accurate size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body shapes of consumers, online shopping malls will be able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with pants of various fits to reduce the rate of returns.
        5,100원
        16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ustomer perception o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influences positive emotion on internet shopping and relationship formation.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from February 20th to March 3th in 2012 to 362 adults who have purchased the products from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The analysis explores the effect of internet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positive shopping emotion and relationship quality. It also tests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shopping emo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quality. Second, the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had positively effects on positive shopping emotion. Third, the effect of positive shopping emotion had positive effects on relationship quality. Fourth, the effect of perceive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relationship quality, mediated by positive shopping emotion, was shown to be none.
        4,500원
        16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program under a practical curriculum for English majors in colleg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perceived and actual improvement in English,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o this end, the study followed the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and their learning of English for four semesters from their freshman to sophomore yea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our times to measure and trace the students' perceived utility of the program, affective attitude, use of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perceived and actual improvement in English,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every semester in actual improvement in the students' TOEIC scores. Compared to their high expectations for improvement, the students' perceived improvement was shown to be the lowest at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after which it got slowly higher each semester during the 2-year period. However,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got lower each semester. Native speaker instructors and interactive activities in class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 utility and affective attitude, which, in turn, significantly affect the students' use of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6,000원
        16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시지각 능력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연구방법 : 대전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평균연령=89개월, SD=7.49)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쓰기 능력은 글쓰기 숙달도 선별 질문지(HPSQ), 시지각 능력은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 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결과 : 연구결과 글쓰기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명료도는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속도에서는 남학생이 높았다. 시지각 능력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 비운동성 시지각과 시각-운동 통합 시지각에서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년에 따른 비교에서는 1학년이 2학년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글쓰기 능력과 비운동성 시지각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명료도는 전반적인 시지각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는 글쓰기 명료도는 시각운동통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수행시간과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년이었다. 하지만 안정감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 초등학교 저학년의 글쓰기 능력 훈련에서 시각운동통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300원
        16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active effect of wedding makeup, head dress, and perceiver's culture on bride's image perception. Imag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10 photos which was designed for brides in their twenties with different makeup and head dress. Subjects were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and 100 black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elaware, U.S. The result of study was as follows. Image perception by bride's makeup and head dress was classified as five dimensions: 'distinctive', 'tidy', 'elegant', 'soft', and 'beautifu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from culture and head dress. The result of interactive effect due to culture and makeup showed that Korean students perceived pink makeup as close to more elegant image, and American students felt orange makeup. We can know through above contents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mage perception by makeup and head dres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lso, American students in general evaluated the photos (stimulus) presented positively compared to Korean stude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meaning that the degree to perceive each photos of American students was lower than Korean students.
        4,600원
        17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nd verified the path model of effects of these factors on mobile fashion shopping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To develop the conceptual model, we consulted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searched various kinds of literatures. To verify the conceptual model, we conducted the survey targeting smartphone users in their 20s~30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trol, responsiveness and two-way communication, and contextual offer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of perceived interactivity. Perceived interactiv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attitude toward purchase, and attitude toward purchase influenced positively on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affected purchase intent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attitude toward purchas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mobile fashion shopping businesses.
        4,900원
        17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지 살펴보고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자아효능과,직무만족도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세종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202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ANOVA와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경력, 자격의 개인배경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에 따른 코칭 리더십의 인식의 차이와 초임교사의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있었다.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고 4-6년차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 리더십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800원
        17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향후 두려움을 줄이기 위한 야간경관계획에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아이트래킹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른 두려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야간경관의 유형으로 선정된 6가지 종류의 야간경관별 두려움의 정도를 7점 리커드 척도로 평가하는 동시에 피조사자가 각 야간경관을 응시할 때 눈의 움직임을 아이트래커(eye tracker)로 분석하였다. 아이트래킹 조사에서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변수는 눈 고정 횟수(fixation count), 눈 움직임 경로 길이(scan path length), 총 지속 시간(total duration)이었으며 피조사자들의 시선 이동 및 방향, 주목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움직임 경로(scan path)와 주목 분포도(heat map)도 함께 분석되었다. 조사 결과, 야간경관별 두려움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야간경관 유형 중 모든 방향으로 열려있는 야간경관이 피조사자들에게 가장 안전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야간경관의 유형에서 길의 폭 및 주변 건물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공간감이 유사한 환경이라면, 부수적인 나무, 구조물, 가로등 등 경관요소는 두려움 지각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 분포도(heat map) 분석을 통한 시지각 주목 강도는 대부분의 야간경관 유형에서 길이 끝나는 지점과 그 주변부를 응시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장소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사람들의 주목하는 관심 구역(AOI: Area of Interests)을 객관적으로 밝혀낼 수 있는 아이트래킹 방법을 적용했다는 것에서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두려움 외에 다른 변수들을 적용하여 주목도가 높았던 구역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173.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소명의식(call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 결과 직업에 대한 개인적인식인 소명의식이 각종 직무관련 변인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소명의식 연구들은 소명의식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소명의식 연구가 특정 직종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선행하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또한 소명의식과 매개변인들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지각된 상사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분석결과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심리적 자본과 조직 동일시가 매개하였으며,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의 선행변수로서 작용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지각된 상사지지는 소명의식과 심리적 자본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나 소명의식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흡했던 소명의식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소명의식과 직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그동안 특수직종에 제한되어 있었던 국내 소명의식 연구를 일반 직장인들로 확장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소명의식이 직무관련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영환경에서 활용이 용이한 변인들을 매개·조절변인으로 제시하여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6,400원
        174.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restaurant table settings with Gestalt's law of visual perception to obtain basic data for future marketing strategies. The research uses methods that involve applying images of restaurant table settings to Gestalt's law of visual perception, doing content analysis, and conducting a frequency analysis as well as a Chi-square test for classification analysis by visual perception.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ws of visual perception, especially in the laws of nearness and closure, between table settings of different countries and backgrounds, such as Korean, Japanese, Chinese, Western cultures. In terms of the law of nearness, Chinese dishes were low, while other countries' dishes and Korean dishes showed high figures. In terms of the law of closure, Japanese dishes and western dishes had low values, while other countries' dishes and Korean dishes were high in their closure. Further studies on consumer awareness by visual perception classification need to be conducted.
        4,000원
        17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성셔츠 소재의 선염 줄무늬 특성에 따른 시각적 감성 이미지의 차원을 알아보고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남성셔츠 소재용 줄무늬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남성셔츠 줄무늬 감성은 매력성, 성숙성, 품위성, 실용성, 단순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남성셔츠 소재 줄무늬의 특성이 감성 차원 및 선호도와 구매 욕구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색상, 배열, 간격 등 줄무늬의 특성이 남성셔츠 소재의 시각적 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두 가지 두께의 부등간격 줄무늬 조합이 매력성, 실용성이 높기 때문에 선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되는 복합색의 줄무늬가 매력성이 높으므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얕은 수심의 습지에서 발달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종류가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32개의 습지에서 2011년 5~6월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65 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습지에서 는 부유성 종보다 부착성 종이 더 많은 수를 보였다(40 종). 조사된 모든 습지에서는 수생식물이 매우 우점하였 으며, 이는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m) 방형구를 이용하여 측 정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동물플랑크톤간의 상관성을 분 석한 결과, 부착성 및 부유성 윤충류는 상관성이 나타나 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뚜렷한 상관성를 나타냈 다(r2=0.39, p⁄0.05, n=32).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에 대 한 수생식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된 습지 중 수생식물이 가장 잘 발달된 우포늪과 장척호의 갈대(Phragmites communis)와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 에 부착된 동물플랑크톤의 채집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은 갈대보다 붕어마름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이 중 Lepadella, Monostyla, Testudinella는 두 식물간에 매우 뚜렷한 밀도 차이를 나타냈다 (One-way ANOVA, p⁄0.05). 붕어마름은 갈대보다 부착 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 지기 때문에 많은 동물플랑크톤이 부착할 수 있는 기질 표면 또한 풍부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수생식물은 부착 성 동물플랑크톤의 서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밀도와 종 다양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병변 장애인의 기초 인지지각과 운전적성 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운전능력 향상을 위해 인지지각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N원 운전평가 클리닉에서 가상현실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평가가 의뢰된 뇌병변 장애인 31명을 대상으로 K-MMSE (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와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를 이용한 기초 인지지각능력검사를 실시하였고,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 적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K-MMSE 총점과 운전적성검사 영역의 반응시간과 동시조작 및 종합적 태도력, MVPT 총점과는 핸들조작 및 판단력, 동시조작 및 종합적 태도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기초 인지지각이 운전적성 및 운전수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고, 따라서 운전수행 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지각 향상 훈련이 중요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재 국내 인지재활치료 현장에서 운전이라는 특성화된 수행 영역에 적합한 인지지각 평가 도구 및 인지지각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용성은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지각되는 학습 용이성, 효율성, 만족성 등이 포함되는 복합적인 개념이며, 사용성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할 때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평가자의 내적 요인, 그 중에서도 평가자의 정서를 관심 변인으로 하여, 점화에 의해 유도된 정서가 제품의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IAPS에서 추출된 사진 자극을 점화자극으로 제시하여 참가자들에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정서로 유도된 집단은 부정적 정서로 유도된 집단에 비해 지각된 사용성을 더 높게 평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이미지 자극의 정서를 긍정-부정 차원과 각성-이완의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정서의 두 가지 차원 중 어느 차원이 지각된 사용성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유도된 정서가 사용성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관련 의사결정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평가자는 현재의 정서가 미치는 영향을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4,000원
        17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무용을 통한 기업의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의 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충성도 에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200개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용하였 다. 또한 가설검증은 AMOS를 이용한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 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 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문화마 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기업이미지는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업의 지각된 품질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문화마케팅 활동 참여 기 업의 기업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을 통해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기 업이 문화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경우 대중에게 호의적인 기업이미지를 각인시키고 해당기업에 대한 상표나 제품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문화마케팅 활동이 해당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게 됨으로서 기업경영활동에 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