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7

        216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지역에서 2010년 7월 순창군 인계면 복분자와 주변 두충나무에서 최초 발견된 갈색날개매미충은 국내 보고된 먹날개매미충과 유사하나 다른 종으로 보고되었고, 외부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북지역에서 갈색날개매미충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11년 순창군 인계면을 중심으로 한 순창군 11개면과 김제시 금구면 주변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나, 발생이 보고된 지역 외에는 발생을 하지 않았고, 최근 완주군 소양면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이들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2010년에서 2011년까지 갈색날개매미충의 기주범위를 조사한 결과 순창군 인계면에서는 두충나무, 복분자, 감나무, 뽕나무, 느티나무, 은행나무, 두릎나무, 오가피, 서양참나무, 이팝나무, 사철나무, 장미, 골담초, 백일홍, 블루베리 등 16종의 기주에서 발견이 되었으며, 김제시 금구면에서는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철쭉, 참나무, 붉나무, 싸리나무, 느티나무, 아카시아 등 목본류 11종과 칡, 쑥, 승마, 원추리 등 초본류 4종에서 발견되고, 완주군 소양면에서는 감나무, 블루베리, 느티나무, 두릎나무 등 4종에서 발견되어 총 29종의 기주를 확인하였다. 이 중에서 두충나무, 감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매실, 밤나무, 단풍나무, 블루베리 등 8종의 기주를 주로 선호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약충을 대상으로 온도발육을 조사한 결과 1령에서 5령까지 4회의 탈피를 하고 성충으로 우화하였으며, 각 약충태별 발육기간은 25±1℃ 실험 실내에서 1령 5.5일, 2령 7.7일, 3령 8.5일, 4령 8.9일, 5령 10.6일 정도이고,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지는 경향이며, 15℃에서는 우화를 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우화 후 성충은 약 2개월 정도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216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조명나방 유충의 기생천적 종류와 기생률 및 월동 후 발생시기를 조사하기 위해 2009년부터 수원, 홍천, 김제, 대구, 평창, 괴산, 밀양지역의 옥수수 및 수수 포장에서 월동 중인 조명나방 유충과 기생천적류를 채집하였다. 각 지역에서 채집된 조명나방 유충과 기생천적류를 국립식량과학원 야외사육상(수원)에 옮겨 기생천적의 종류와 기생률 및 발생시기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Lydella sp.(파리목: 기생파리과)와 조명나방고치벌(Macrocentrous cingulum)(벌목: 고치벌과)이 가장 우점적으로 발생하였으나, 대구와 밀양 채집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Eriborus terebrans)(벌목: 맵시벌과)은 조사 지역 중 홍천 채집 유충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을 보였다. 김제와 괴산에서는 Lydella sp.에 의한 기생률이 각각 약 20%와 약 10%로 다른 기생천적에 비해 조사지역 중 가장 높은 특징을 보였다. 기생천적 발생시기에서는 천적종류와 일부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조명나방고치벌은 조명나방 성충의 50% 누적발생시기인 6월 초중순에 비슷하게 발생하였으나, 조명나방살이자루맵시벌과 일부지역의 Lydella sp.은 한 달 정도 빠른 5월 초중순에 발생하는 차이를 보였다. 김제, 평창, 홍천에서는 Lydella sp.의 발생시기가 5월 초에 50% 누적 우화되는 반면, 수원, 괴산에서는 6월 초중순에 50% 누적 우화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토착천적류를 보호하고 생물적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16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들어서 아시아지역에서는 이동성 벼 병해충(멸구류와 이들이 매개하는 바이러스)에 의한 피해가 매우 위협적이다. 돌발 빈도가 잦고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자국 및 인접국의 재배환경변화로 주요 병해충 구성도 변화되고 있다. 최근의 관건 벼 병해충은 우리나라, 일본, 중국 동부지방에서는 애멸구와 애멸구가 매개하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SV), 중국남부지방에서는 흰등멸구가 매개하는 바이러스(SRBSDV), 베트남 남부, 말레이시아 지역은 벼멸구와 벼멸구 매개 바이러스(RRSV, RGSV)로 요약될 수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멸구류와 바이러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생태계 생물다양성 제고를 위한 생태공학 프로그램, 멸구류의 약제 저항성 모니터링 및 장거리 이동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러한 이동성 벼 병해충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간 공동연구 협력체계를 만들고 발생정보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협의체(AFACI) 권역별 사업으로 2011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벼 병해충 관리를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발표는 아시아지역에서 발생하는 이동성 벼 병해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있는 회원 및 관련국가의 보고 자료를 요약한 것이다.
        216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기북부 DMZ 접경지역의 곤충을 조사하여 지역별 곤충상과 곤충특성을 분석하고, 농가소득원으로 개발할 수 있는 유망한 곤충을 선발하여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007부터 3년간 조사에서 563종의 곤충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여 산업화 유망곤충으로 대벌레(Baculum elongatum) 등 25종을 이미 선발하였고, 2010년의 조사에서는 나비목 52종, 딱정벌레목 23종 등 새로운 곤충자원 95종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지역별로는 연천군 신서면 마전리 군부대 지역과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 대성동마을에서 각각 5목 71종, 4목 22종으로 새로운 종이 많이 분포하였다. 접경지 특이곤충으로 멸종위기2급곤충인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와 왕은점표범나비(Fabriciana nerippe)가 서식하는 확인하였으며, 한국고유종은 줄우단풍뎅이(Gastroserica herzi) 등 4종, 국외반출승인 대상종은 고마로브집게벌레(Timomenus komarovi) 등 4종, 환경지표종은 이마무늬송장벌레(Nicrophorus maculifrons) 등 7종을 채집하였다. 애완용, 학습용 유용 곤충자원으로 외형적 특성과 산업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하늘소(Massicus raddei), 애기물방개(Rhantus pulverosus), 남생이 무당벌레(Aiolocaria hexaspilota) 3종을 추가로 선발하였다. 4년간 조사결과 서식이 확인된 658종은 향후 DMZ 생태조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산업화 유망곤충으로 선발된 28종중 대벌레 등 5종은 현재 산업화기술이 개발중에 있다.
        216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강원지역 내의 백두대간(진부령,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석병산, 두타산)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상을 조사하였다. 딱정벌레는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함정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조사지역 내에 5속 8종(Eucarabus sternbergi, Leptocarabus seishinensis, Leptocarabus semiopacus, Damaster(Coptolabrus) jankowskii, Morphocarabus venustus, Tomocarabus fraterculus, Damaster smaragdinus, Damaster mirabilissimus)의 딱정벌레가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향로봉이 5속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태백산이 3속 3종으로 적었다. 향로봉과 오대산지역에서 종풍부도는 표고가 낮은 지역(300m-700m)보다 표고가 높은 지역(1000m-1100m)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두지역에 우점하는 종은 Leptocarabus seishinensis, Eucarabus sternbergi 이었다. 우점하고 있는 2종의 표고별 서식 개체수는 조사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산지역에 서식하는 Eucarabus sternbergi는 6월 하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이후 9월까지 점차 감소하였다.
        216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유아등을 이용하여강원지역 백두대간(태백산, 백병산, 함백산)내에서 서식하는 나방류를 조사 하였다. 채집된 전체 나방류의 종조성은 16과 246종 1,336개체 이었으며, 태백산이 14과 154종 570개체, 함백산이 13과 120종 346개체, 백병산이 13과 107종 420개체이었다. 각 지역 공히 다수의 개체가 채집된 종은 뒷노랑점가지나방(Arichanna melanaria), 머루박각시(Ampelophaga rubiginosa), 줄점불나방(Spilarctia seriatopunctata), 노박덩굴가지나방(Amraica superans), 회색물결자나방(Gandaritis agnes) 등 이었다. 종다양도지수(H')는 태백산조사구 1.90, 함백산조사구 1.86, 백병산조사구 1.74 이었으며, 균등도 지수(J')는 태백산 0.87, 함백산 0.89, 백병산 0.86 이었다. 유사도지수(QS)는 태백산과 함백산이 0.49, 태백산과 백병산은 0.40 백병산과 함백산은 0.38로 나타났다.
        216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덕적군도는 인천시 옹진군 서남쪽 약 82km 지점에 있는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 문갑도, 선갑도, 선미도, 백아도, 굴업도, 울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체로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고 곳곳에 소만입이 발달해 있다. 도서생물 지리학적으로 섬은 육지와 전혀 다른 혹은 독립된 생태적 특징을 가진다. 도서지역에서는 한정된 공간과 먹이자원의 한계가 있는 특성상, 종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이 내륙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안정화 단계의 종 군집이 유지되지 않고, 여러 종들이 불안정한 군집을 이루며, 정착과 소멸을 반복하는 등의 변화가 심한 구조를 갖는 과정에서 종 다양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Webb and Vermaat, 1990)이 있다. 본 연구는 덕적군도 도서지역의 곤충상을 파악하여 덕적군도 주변 섬들의 곤충상 비교를 통해, 도서지역의 곤충 다양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덕적군도의 주요도서인 백아도, 굴업도, 지도 및 선갑도의 곤충상을 판단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는 총 4회에 걸쳐 덕적군도 도서를 대상으로 정량조사 및 정성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덕적군도 내의 4개 도서에서 총 11목 71과 272종이 확인되었다. 조사 기간이 여름에만 한해 있던 것을 감안하면 실제 서식종은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법적 보호종은 굴업도에서 멸종위기야생동물II급에 해당하는 애기뿔소똥구리와 왕은점표범나비 2종이 확인되었으며, 백아도에서 멸종위기 야생동물II급에 해당하는 물장군이 확인되어 총 3종이 확인되었다.
        216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and body image recognition in 211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Incheon. The majority of the surveyed subjects were in the normal range for BMI. Most of th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a thin body type and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s. Most also controlled their body weight for appearance by exercising and limiting food intake. The obese group often ate processed foods(p<0.01) and ate out(p<0.05). The underweight group and normal-weight group took vitamins and supplements more frequently(p<0.001). Those students who recognized their body image as a ``fat shape`` had good appetites(p<0.05) and those who recognized themselves as ``normal shape`` considered food formulations ate every meal (p<0.05) and consumed vitamins and other supplements frequently(p<0.01). The mean calorie intake of all students was about 80% of the recommend amount, so there was a risk of lack of various nutrients. The ``fat`` students by body image recognition had lower calorie intakes in order to reduce body weight. In all the groups, there was a lack of vitamins B1 and B2, as well as the minerals Ca and Fe. Therefore, education on correct body image recognition and training on proper weight control are deemed necessary. In add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 nutrition that are tailored to individual status are needed.
        4,000원
        216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beverage consumption frequency and determine related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nam.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88 students(boys=230, girls=258) using a questionnaire. The average age of the students was 10.1 years old, thir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5.1 ㎝ and 39.5 ㎏, respectively and the obesity index was -1.3%. The frequencies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were 5.8 times/week, 6.7 times/week and 6.4 times/week, respectively. Regarding the frequency of snacks, high response rates for ``once/day``(38.3%) and ``none`` (30.5%) were observed. Nutrition label on beverages were identified rarely(39.1%), nearly never(19.7%), and never(12.9%). The choice factors in selecting beverage were taste, nutrition, and price. For the type of snack most often consumed, fruit or juice was 25.8%, snack items were 25.2%, bread was 24.8%, dairy products were 7.6%, beverages were 7.0%, noddles were 6.2%, and rice cakes were 3.5%. The kinds of favorite beverages were carbonated drinks(30.3%), functional drinks (24.4%) and milk and yoghurt(23.8%), and main reason for the choice of beverage was "it tastes good". For the point of time that students wanted to drink a beverage, "when I feel thirsty" appeared most often for dairy products and beverages and the next most frequent answer was "after exercise".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administer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on perception on nutrition fact label of beverage. And it is thought that plan for proper beverage consump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y be established.
        4,000원
        217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rovide material for establishing dietary and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We questioned 270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certain middle schools in the Daegu area about their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Eating habits were found to be most regular for students in families where only one parent worked and irregular for students in families where both parents worke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higher level of academic education of the father and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instant foods.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higher level of academic education of the mother and the frequency of snack consumption. Male student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consuming animal foods than did female students. Students that lived in extended families tented to have a higher preference for vegetable foods. On the other hand, students that lived in nuclear families and students that lived in families where both parents worked preferred snacks more.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al employment and academic education level influences th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4,000원
        217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비교하고자 중북부 서해안지대에 속한 경기 화성, 중남부 서 해안에 속한 충남 당진, 남부 서해안에 속한 전북 고창, 고랭지에 속한 강원 평창에서 2009년에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국내종인 광평옥, 강다옥과 국내 주요 수입종인 P3394, 32P75 등 4개 품종이었다. 화성지역의 모든 품종의 출사일수가 80일이 넘었으며 생체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광평옥과 강다옥이 P3394와 32P75 보다 많았다. 당진지역의
        4,000원
        2174.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and cholesterol of bakery products (bread: 17, pastry: 20, and whipping cream cake: 17) sold at retail in Seoul area. The average values of crude fat contents in bakery products were as follows [mean (minimum-maximum), %)]; bread 6.46 (3.51~8.69), pastry 16.23 (3.55~25.56), and whipping cream cake 16.26 (8.61~31.58).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in these products. The average values of saturated fat (SFA) contents and unsaturated fat acid (USFA) contents in these items were as follows [(mean SFA ± SD%] bread (54.04 ± 5.27), pastry (53.41 ± 4.80), and whipping cream cake (70.09 ± 8.64). The high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was analyzed in whipping cream cake. The average values of cholesterol contents in bakery products were as follows [mean (minimum-maximum), %)]; bread 2.36 (0.0~12.86), pastry 8.11 (0.0~42.80), and whipping cream cake 30.55(0.0~132.99).
        4,000원
        2175.
        201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measured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s of ozone (O3) at 54 households in Gwangyang from June to September,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outdoor, 16.53±5.72 ppb, was observed two time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indoor, 8.22 ± 4.60 ppb. The similar arithmetic average ozone were obtained in exposed and controlled areas, 15.16 ± 1.45 ppb and 15.25 ± 1.94 ppb, respectively. The ozone concentration of an individual smoker was 24.89 ± 7.11 ppb,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 non-smoker, 21.01 ± 11.79 ppb. The indoor occupant density elevated ozone concentrations.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ozone was observed in a house with air conditioner (8.59 ± 4.04 ppb) than a house without the unit(10.07 ± 6.43 ppb).
        4,300원
        217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t is important to estimate odor impact from the emission sources located in the industrial complex to near-by residential area. To understand modeling capacity in describing the odor dispersion, we examined an accuracy of odor modeling comparing with concentric measurements of sensory odors from the industrial complex. The odor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6 times at 10 sites along the concentric circles and they were compared with odor modeling results using CALMET and CALPUFF. Although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modeled and measured odor intensities, the model could depict key characteristics of odor dispersion patterns. The uncertainties in emission data and meteorology were main causes of the discrepancies. The odor modeling procedur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odor forecasting system and odor impact assess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odor modeling, the improvement of odor emission data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the odor using sensor network are necessary in future.
        4,000원
        217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ogistics industry in Incheon is lack of basic usage for logistic information. As development of logistics industry the compan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But due to a small scale of logistic companies it is difficult to equip the basic infrastructure for logistics informatization.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ormatization of logistics companies in Incheon, we divide questionnaire by the aspects of information operations, aspects of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effects and policy aspects of planning and support information. By the result of survey we suggest the supporting plan for Incheon logistics industry.
        4,000원
        2178.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dietary attitudes among workers, using questionnaires with 338 workers in October 2005 who were employed by 5 industrial companies at the Gumi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interest in health was shown to be slightly higher than usual. An increase in their interest was observed with advancing age (p<0.05) and the level of interest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p<0.05). Regarding a understanding of their health status, 57.4% of the total subjects considered their health status to be poor although there was no any known disease, while only 29.6% considered to be good. The subjects' dietary attitudes showed that the average of the each items was 2.88±0.82, and the average of the total items was 58.7±0.00. The average of their diet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2.88±0.82,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diet satisfaction between residential building types(p<0.01) and work types(p<0.01). 66.8% of the total subjects answered that the main purpose of their meals was to fill an empty stomach.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dietary attitudes and diet satisfaction showed that daily exercise, suitable diet and intake of health supplemen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ir dietary attitudes. It was also shown that there were th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suitable diet and their dietary attitudes and diet satisfaction, between their refraining from drinking coffee and sufficient rest, between their refraining from drinking alcohol and sufficient rest, and between their feeling comfortable and drinking water as much as possible, respectively.
        5,400원
        217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