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241.
        200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와 국가 규모가 비슷한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벤처캐피탈이 정부주도로 출범한 후 육성71었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의 특성은 창업자가 연구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사업이나 제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부가가치가 큰 중요한 금융업이 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벤처캐피탈이 가지고 있는 위험특성에 대한 분석과 위험을 고려한 투자성과 평가를 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비체계적 위험이 체계적 위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수의 지역이나 업종에 집중투자한 결과로 보인다. Sharpe 평가지표의 결과로는 종합주가지수나 코스닥지수보다 열등한 것으로 분석되어 우리나라 벤처캐피탈의 열악함이 대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43.
        200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244.
        200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245.
        200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46.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지투자환경이 불확실한 경우 기업들은 어떠한 과정과 요인에 의해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는가? 미얀마와 베트남에 진출한 3개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확대과정을 분석한 결과 사례기업들은 초기투자를 통해 성장기반을 확보한 다음 현지사업역량을 구축하면서 투자의 불확실성이 줄거나 유리한 투자기회가 왔을 때 후속투자를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한 투자환경 하에서 투자의 철회불가능성에 대처하고 투자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소규모 합작을 바탕으로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100원
        24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시장에 진입한 일본기업들을 대상으로 진입방식 선택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즉 합작투자 혹은 라이센싱을 선택케 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거래비용 특성요인, 환경적 특성 요인, 전략적 요인, 그리고 기업 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합작투자 55개 기업과 라이센싱을 선택한 24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로짓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거래비용 특성 중에서 파트너의 기회주의 속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전략적 요인 중에서는 현지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이 높을수록 라이센싱 보다는 합작투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적 특성 중에서는 현지시장의 수요 물확실성이 높을수록 합작투자 보다는 라이센싱을 선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기업 특성 중에서는 모기업의 국제영업 경험이 있는 기업들이 합작투자를 선택하며, 모기업의 규모는 진입장식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록(외국어)
        6,900원
        24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해외진출 일본기업들의 투자회수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도별로 발표된 자료를 분석하여 회수요인들을 탐색하였다. 기존연구들에 의해 추측이 가능한 예상요인들 중 일본기업들의 지분을 변수는 Kojima의 거시경제관점 투자이론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그 동안 비교적 낮게 유지되어 왔다. 또한 일본기업들의 투자기간, 지분율 등의 요인 변화 점검에서는 국가별, 지역별, 산업별로 그 특징을 조사하여 설명하였는데, 여기서도 기존의 투자회수이론으로 해외지출기업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지분율 분석결과에서는 비록 제한적인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지만 일본기업들은 개도국보다 선진국 투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분율을 유지함을 평균차이분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본기업들의 對 개도국 투자지분율 또한 상당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진출 일본기업들의 투자방식 변화를 회수요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문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투자지속건수에 관한 자료의 방대함으로 분석에 포함하지 못하고, 신규투자건과 투자회수건으로만 분석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5,400원
        24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래비용, 협상력 및 행동주의 관점을 기반으로 1999년 말 현재 전세계에 진출해 있는 444개 일본제조기업의 3,236개 생산자회사를 대상으로 소유지분 결정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래비용 요인 중 기업특유의 지식, 제품의 국제적 다각화 여부 및 현지국의 정치적 위험이 일본제조기업의 소유지분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협상력 요인 중 현지국의 소유지분 제한정도가 소유지분 결정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6,900원
        250.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경제주간지인 The Economist에서 매분기 발표하는 글로벌 자산관리회사들의 추천 글로벌 주식포트폴리오, 5개 선진국의 주식시장 수익률, 환율변화, 거시경제지표 등의 자료를 토대로 글로벌 포트폴리오 투자관리자의 행태와 성과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1989년 1/4분기부터 2000년 2/4분기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추천포트폴리오의 시장별 투자성과는 평균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추천포트폴리오를 받아들인 투자자는 심지어 분기 평균으로 손실을 기록할 수도 있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또한 국제투자에서 환위험이 중요한 변수임을 보여주었다. 추천포트폴리오의 분기별 수익률은 Morgan Stanley가 발표하는 벤치마크 세계시장 수익률과 비교하여 성과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자산관리회사의 국적별로 성과차이가 존재하였다. 국가별 투자비중은 투자대상 국가들의 거시경제지표와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율변화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투자비중 변화들간의 상관관계는 특히 미국시장에 대해 높게 나타났으며, 투자비중 결정에는 해당 국가에 속한 선도 투자회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이에 따라 군집투자 현상도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또한, 자산관리회사의 주가예측력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멕시코, 아시아, 러시아 금융위기시에도 선진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비중은 크게 조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200원
        25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국제합작투자 이론적 배경으로서 시장실패와 조직실패 위험의 상쇄(trade-off) 메카니즘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시장실패란 거래비용에 의한 정상시장거래(arms-length transaction) 실패를 나타내며 조직실패란 관료비용(bureaucratic costs)에 의한 내부화의 실패를 의미한다. 해외진입 방식으로서 라이선싱은 정상시장거래 형태이며 단독투자는 완전 내부화, 그리고 합작투자는 준내부화(quasi-internalization)의 형태로 볼 수 있다. 과거의 연구들에 있어서는 시장실패에 의한 거래비용이론에 기초하여 이들 거래통제구조, 즉 해외진입방식의 선택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즉 시장실패 위험이 높을수록 정상시장거래 보다는 내부화 형태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장실패 위험만 가지고서는 합작투자 당위성과 그 소유구조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기업은 해외진입방식 선택시 시장실패뿐만 아니라 조직실패 위험도 고려할 것이다. 시장실패 시와는 달리 조직실패 위험이 높을 경우에는 기업은 내부화 수준을 낮추거나 정상시장거래 방식을 선호할 것이다. 문제는 시장실패와 조직실패 위험이 모두 높거나 낮을 경우에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를테면 높은 시장실패는 기업으로 하여금 단독투자를 선호케 하나 반대로 조직실패 가능성은 시장거래방식으로서 라이선싱을 선호케하는 상황에 빠지게 한다. 시장실패와 조직실패 위험이 모두 낮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기업은 시장실패와 조직실패가 모두 높거나 낮은 상황 하에서는 이 두 극단적인 대안 중 어느 하나의 대안을 고수하기보다는 양극단의 절충을 꾀하고자 할 것이다. 즉 거래비용과 내부조직비용을 어느 정도 통제하고 상쇄시킬 수 있는 합작투자가 합리적인 대안이 된다는 것이다. 요컨대 기업간 합작을 통해 한편으로는 시장거래에서 발생되는 거래비용을 어느 정도 낮출 수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조직비용도 반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4,800원
        25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해외투자 자회사들의 단계별 성장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자회사 관련 기존 연구 흐름을 보면 자회사 통제방식이나 자회사·본사간 관계성 규명에 많은 초점을 두고 있으며, 자회사 성장과정과 성장패턴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다국적기업 조직변화 모형에 네트워크적 접근을 통합하여 자회사들이 어떻게 성장해 가는가를 이론적 골격 제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자회사 성장 패턴을 살펴보면, 해외투자를 처음 행하는 기업은 본사와 강력한 관계성을 가질 뿐 현지시장에 대한 네트워크 관계는 매우 미미한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점차 현지시장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본사보다는 현지시장 네트워크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이후 자회사들은 현지시장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본사 및 여타 자회사와도 강력한 네트워크성을 유지하면서 핵심센터화 하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 과정은 현지시장에 대한 경험 및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직학습은 해당 자회사의 생존과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5,200원
        253.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작투자 기업의 지분 구조 변화는 합작 기업에 대한 경영권과 통제권의 변화를 초래한다는 측면에 합작 투자 파트너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합작기업의 경영 성과는 이러한 지분 구조 변화를 비롯한 합작투자 기업의 동태적 구조변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에서 지분구조의 변화와 합작 기업의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쳐 실증적 뒷받침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그 방향에 대해서도 상반된 예측이 가능하여 이에 대한 엄밀한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합작투자 기업의 성과가 지분 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초기 지분 구조가 지분 구조 변화를 용이하게 하거나 어렵게 만드는 조절 변수로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된 바가 없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5년에서 1989년 기간 중 국내에 투자한 합작투자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산업평균에 비해 합작투자기업의 성과가 양호하거나 부진할 수록 지분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둘째, 합작투자기업의 성과가 지분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불균등 지분 구조인 기업이 균등 지분 구조인 기업보다 성과로 인한 지분 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결과에 의거할 때 합작투자기업의 성과와 지분구조의 변화간에는 단순 선형적 관계가 아나라 산업평균과 비교하여 편차가 클수록 지분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증가하는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합작투자기업의 초기 지분구조는 이후 지분구조의 변화를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200원
        25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apital cost of the company is one that must be paid to the money owner as the price by using the money. The capital cost according to the source of money supply can be estimated by the expected profit rate undertaken by the use of the capital. But in the area of pre-existent economic evaluation, the evaluation of the company investment has been treated by the profit rate of the capital after considering the repayment conditions of the other's money or the interest. Thus in this study, in case the company makes an investment on various kinds of the capital at the same time, not make use of the capital as a one source, the economic evaluation of an investment should be handled by taking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into consideration in proportion to the constitution of the capital cost by the sources of money supply, Especially, as the cost of the private money is very much connected with the profit rate through the stock market,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 will be applied. This kind of economic evaluation method can be said to have much to do with the Economic Value Added : EVA) as well as to be highly thought as a standard to estimate the company' value recently To certify the usefulness of this approach, the case study of the output of the capital cost will be made for the purse of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 investment by us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a motor company H.
        4,000원
        256.
        2001.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5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 유수 기업이 미국시장에 발행· 상장한 ADR의 주간 프리미엄변화는 미국시장 수익률과 (+)의 유의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ADR 프리미엄변화는 또 하나의 미국시장 투자심리로서 채택될 수 있다. ADR 전체표본을 토대로 구성한 프리미엄 지수의 변화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러한 사실을 보강하였다. 선진국 기업의 ADR 프리미엄지수 변화도 미국시장 수익률과 (+)의 유의한 관계를 보인 반면, 개도국기업의 ADR 프리미엄지수 변화는 미국시장 수익률과 (-)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유럽,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지역별로 구분한 ADR 프리미엄지수의 변화는 미국시장 수익률과 (+)의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나타낸 가운데, 유럽지역의 ADR 프리미엄 지수변화가 t-값이 다소 높게 나와서 상대적으로 미국시장 투자심리와 보다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라틴아메리카 ADR 프리미엄지수 변화는 라틴아메리카 시장수익률과 (+)의 관계를 나타냈다. ADR 프리미엄의 변화는 대략적으로 ADR의 가격수익률에서 패러티 수익률을 차감한 것과 같다는 점을 감안하면, ADR 가격수익률과 패러티 수익률의 각 시장수익률에 대한 민감도 차이가 ADR 프리미엄변화와 시장수익률간 관계의 부호를 결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민감도 차이는 미국 국내의 ADR투자자와 원주의 본국시장의 투자자간 정보비대칭성 또는 어떤 다른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7,800원
        258.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중국 직접투자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투자 성과 요인으로 크게 세 가지 요인, 즉 기술, 국제화 경험, 소유 지분 유형을 검토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9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술의 노동 집약도와 현지 적합 정도와 투자 기업의 국제화 경험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유 지분 유형은 투자 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소유 지분 유형은 현지 매출 비중과 현지 조달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5,800원
        259.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조립금속업체들의 對中후속투자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결정되어 왔는가를 조직학습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Logit Model을 통해 어떠한 초기 조건하에서 후속투자가 수행되는가를 분석한 다음, Repeated Hazard Model을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여러 독립변수들이 후속투자 결정에 어떻게 다른 상대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Logit Model 분석 결과, 시장 및 환경요인들 보다는 모기업의 국제활동 경험, 모기업의 매출액, 대기업 소속여부 등과 같은 기업요인 변수들이 초기투자기업들의 후속투자 결정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peated Hazard Model 분석 결과, 기업요인의 경우 조직학습을 통한 지식·경험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모기업의 국제경험, 자회사 현지경험, 계열기업여부, 진입방식 등의 변수가 후속투자 결정에 유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회사의 매출액, 자회사의 매출액변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모기업의 국제화 경험이 많을수록, 자회사의 현지시장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대기업에 속해 있는 자회사일수록 모기업과 여타 계열사의 국제화 경험·지식 등의 활용가능성이 높아 후속투자 가능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시장요인과 환경요인의 경우 소비증가 변수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한국조립금속업체들이 중국내 시장환경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면서 후속투자를 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800원
        260.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기업의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해외직접투자가 본격화되었으며 이 중 많은 기업들이 국내의 급격한 임금상승과 원화의 강세를 피해 동남아 국가로의 직접투자를 진행하였다. 한국기업은 동남아 직접투자에 있어서는 인수합병에 의한 진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신규설립과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으로 성장하려는 우리 나라 기업의 동남아 직접투자에 있어서 진출유형에 따른 주식시장의 반응을 분석하고 이를 선진국 진출시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여년간의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의 전개상황을 조사해 보고 주식시장의 효율성을 전제로 동남아 및 선진국시장 진출 공시에 따른 해당 기업가치의 변동여부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분석결과 한국기업의 선진국 시장진출에서는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이 매우 유의한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을 나타내었고 신규설립에 의한 진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던데 반해 동남아 진출의 경우 신규설립에 의한 진출이 오히려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합작투자에 의한 진출은 해당기업 주가에 음의 누적초과수익률을 가져다주는 부정적인 사건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투자자들이 동남아시장에는 선진국 시장에 비해 합작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나 파트너로부터의 도움이 없거나 미미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오히려 국내기업도 우리보다 경제발전 수준이 뒤쳐진 동남아 시장에는 독자적으로 진출하여 현지경영을 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