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362.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성 발달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유도체육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유도 활성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자료분석을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5부(95%)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과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사회성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성 발달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성 발달은 초등학생에 대한 유도체육관 프로그램 특성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초등학생에게 신체단련과 예의범절을 동시에 지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도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도체육관 관장들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심성을 키울 수 있는 수련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도의 수련층 확대를 통한 유도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300원
        363.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심혈관 위험요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유사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 노인으로 실험군 22명, 대조군 22명 총 44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을 제 공하고 심혈관 위험요인과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심뇌혈관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심혈관 위험요인인 수축기 혈압(t=-2.419, p= .020), 이완기 혈압(t=-2.226, p= .031), 혈당(t=-2.071, p= .045)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삶의 질은 향상되었다(t=2.511, p= .016). 그러나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에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심혈관 위험요인 감소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364.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75세 이상 후기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고독감, 우울,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C북도 G군에 거주하는 자 중 75세 이상 후기 노인 대상자 6명으로, 2016년 9월26일~12월 17일까지 총 10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고독감, 우울,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울 감은 프로그램 적용 이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은 후기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6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저소득층 부모의 감사증진 프로그램 참여와 변화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에서 저소득층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부모교육인 감사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금요일 저녁에 실시되었고, 매일 온라인 감사일지 작성이 병행되었다. 2015년부터 3년째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가자들은 대인관계에서 변화를 경험하였다. 대체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수용적으로 변화하였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는 상대방의 입장에 대해 공감하고 배려하는 양상을 보였다.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강압적이거나 일방적인 소통방식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참가자들은 자신과 삶에 대한 인식에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기존에는 환경적 어려움으로 위축되어 자신감이 결여되고, 분노나 우울 등 부정적 정서를 느끼고 있었지만 프로그램 참여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감사함을 느끼며, 자존감과 자신감을 얻고 있었다. 그리고 기존에는 사안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먼저 하였다면, 프로그램 참가과정에서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보게 되거나,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등 긍정성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감사증진 프로그램 참여 의의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6,400원
        36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행복은 외적 요인 뿐 아니라 내면의 성장이 수반되었을 때 자신의 잠재성이 발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마음챙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마음챙김 이란 비판단적 수용과 자각에 의한 알아차림의 상태로, 원래 불교수행에 기원을 둔 개념이었으나, 최근 현대인의 행복을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여러 학문분야에서 연구와 실 천적 교육이 증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음챙김을 목적으로 대중화된 마음챙김프로그램 MBSR에 코칭 기법을 적용하여 마음챙김 코칭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마음챙김 코칭교육프로그램은 6step ReMindfulness로 명명하였으며, 총 6단계 8회기로 구성하였다. 주요한 특징으로는 첫째,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는 과정으로 각 단계마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면서 원하는 나의 모습으로 가는 의도를 심는 과정이다. 둘째, 코칭의 질문 기법인 오픈질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질문을 통해 자신의 관점이 확대되고 내면에 잠재 되어있던 사고, 감정, 패턴들을 끌어올림으로써 의식상의 변화와 성장을 가져오게 한다. 셋째, 코칭의 GROW 모델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자 기 목표와 실행 계획을 세우는 것까지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마음 챙김 코칭교육프로그램은 기존의 마음챙김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에 방향성 있는 자각이 이루어지고 개인별로 실천적 목표와 의지가 생기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교육 안을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보편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실시한다면, 현대인에게 필요한 마음챙김 을 회복하고 자신이 원하는 행복을 추구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6,900원
        36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우리나라 A교정시설에서 소년수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연구 및 유사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소년수용자의 관리, 상담, 및 교육에 반영할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발달상의 심리적 어려움 해소 및 교정시설 적응, 출소 후 재범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년수용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전문 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소년수용자 상담 실시 전후의 자아존중감 변화 추이를 비교함으로써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전문 상담심리사에 의한 상담 프로그램 실시 결과, 참여한 소년수용자의 자아존중감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아존중감 측정 척도로는 Coppersmith가 개발한 self-esteem inventory 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시행 전후 효과성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자아존중감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의 하위척도인 자기표현, 자아인식, 가족 및 대인관계 모두 프로그램 참여 이후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 상담에 참여한 소년수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5,500원
        37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을 코칭으로 돕는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예비부부들이 결혼식만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결혼을 준비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도록 돕고, 결혼 초기에 일어나는 신혼들의 이혼을 예방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예비부부교육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여기에 코칭을 접목하여 예비부부들을 위한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예비부부를 위한 코칭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은 총 12회기, 24시간으로 구성되며, 코칭의 기본 적인 기술들을 바탕으로 예비부부들에게 필요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코칭 대화모델은 C-PLUS코칭원리를 바탕으로 한 ACTIVE코칭 대화모델이었다. 구체적인 프로그 램은 코칭에 대한 이해(일반대화와 코칭대화의 차이, 코칭대화모델의 이해, 코칭과 상담 등과의 차이), 코칭의 기술에 대한 이해와 실습(라포형성하기, 질문하기, 경청하기, 인정칭찬하기, 의식확장하기 등), 예비부부코칭의 이해(결혼관련 통계, 예비부부들의 결혼준비 실태, 예비부 부코칭의 개념과 중요성), 예비부부코칭의 실제(예비부부들과 나눌 실제적인 주제들), 예비부부코칭전문가로서의 출발(예비부부코칭전문가로서의 비전과 포부)로 구성하였다. 향후에는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질적인 타당성을 검증하고 예비부부들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것이 필요하다.
        5,100원
        37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경제적 변화와 고용 시장의 불안 등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의 취업관련 교육과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은 그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사례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 교육 및 코칭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고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자는 제주시에 소재한 A대학에서 3up 학습 및 진로코칭 대상자 75명 중 본인이 코칭을 했던 9명이었다. 본 연구자는 9명의 코칭대상자들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1시간씩 5회 코칭을 진행하였으며, A대학 내 B센터에서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은 B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뉴로피드백코칭이었고, 사용된 코칭대화모델은 5A모델이었다. 코칭사례분석은 대학생들이 코칭을 받기 전과 후의 만족도와 코칭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코칭을 받은 학생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슈 변화, 자신감 향상, 목표의 명료화, 진로탐색부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의 효과성과 함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결과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장기적이고 보편적인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 교육 개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37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01년 초 회복적 사법정의에 근거한 피해자-가해자 중재프그램에 참여 한 수용자에게, 당시부터 2018년 말 현재까지 17년 동안에 있었던 그의 삶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그 기간동안 어떤 교정복지실천 개입활동들이 이루어졌고 그의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질적으로 연구한 사례연구이다. 그의 삶의 변화는 교정시설내와 교정시설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출소후 기간은 출소 직후의 사회적 적응과 현재의 시점으로 세분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17년 동안의 활용가능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출소자는 그의 인식-사고-행동에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고, 그 결과 현재는 정상적이고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다. 이는 범죄자에 대한 교정복지실천의 적절한 개입이 수용시설내에서는 물론이고 출소 후 상당기간동안 지속되어 그의 욕구와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 해가는데 필수적임을 시사해준다. 둘째, 진정한 교정은 범죄자 혹은 출소자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진심으로 깨닫고 그의 행동과 삶의 긍정적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피해자/피해자가족과의 만남과 대화하는 장(forum)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위한 교정시설내와 사회내 환경의 조성이 요청된다. 또한 교정복지 실천현장에서 교정 대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그를 둘러싸고 있는 역동적인 상황을 접근하기 위하여 생태체계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다차원적인 관점을 활용하여 범죄자의 심리, 정서, 그리고 필요한 경우 영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아울러 다른 제언들과 연구의 한계점들을 제시하였다.
        8,000원
        37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소장을 대상으로 2018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방문, 이메일, 전화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천안시의 지역아동센터 중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적이 있는 곳은 49%, 실행해보지 않은 곳은 51%로 나타났다.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 중 3개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센터는 40%에 불과했으며 주 1회, 1시간으로 복지원예사가 진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예산’이었다. 인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96.1%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6.9%가 원예활동프로그램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에게 기대하는 효과로는, 정서안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많은 소장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많지만,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인식한다고 생각되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주 1회’로 지속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예산확보와 원예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37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산림치유 6대 요법 중 걷기, 경관 감상, 숲속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삼척시에 거주하며 우울증과 건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독거노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집단은 매 주 1회(총 6회기)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SF-36(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에 대한 사전-사후(one-group pre-post test design) 설문지 검사를 받았다. 연구 결과 치유 프로그램 참여 후 응답자의 정신상태와 우울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산림환경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해소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홀로 남겨져 외부활동을 기피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유도할 경우 나이와 환경으로 인한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4,000원
        375.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천문학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선정한 후 사고력 학습 발달 모형을 응용하여 시연과 관찰, 문제 제시와 사고 활동, 지원과 모둠 토의, 시연과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학생들의 수준 변화를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와 관련하여 관측된 천문 현상을 우주에서 보는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모델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고, 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천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스템을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5,700원
        376.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하여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적용 하였을 때의 효과 입증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복지관 이용 아동 중 연구 포함기준에 해당하는 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각각 그룹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 감각 프로 파일, 아동용 일상생활활동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3명의 아동 모두 작업수행도, 만족도, 사회성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 영역에서 프로그램 이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감 각처리능력의 변화에서는 프로그램 전과 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구조화된 감각통합 그룹프로그램은 사회성 기술, 작업수행에서의 수행도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영 역의 긍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700원
        377.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responsible for physic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self-exercise programs were developed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ir therapeutic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 customized self-exercise program (CSP) to walking function on improving stroke survivors’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function. Method: To test the effect of the self-exercise program, 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gait part (POMA-G), timed up and go (TUG), 10-meter walk, and 2-minute walk. The study included 161 consenting stroke patients (FAC score>1) from a randomized, screened sample of 217. The CSP group participated in a 30-minute CSP each day for 10 weeks in addition to completing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All the subjects were monitored by a therapist once a week and had to submit an exercise checklist at the end of each session. Result: Th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SP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C score and POMA-G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UG, 10-meter walk test, and 2-minute walk test (p<.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SP may improve gait-related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4,600원
        378.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signed to increase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Korean adul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The education program was 45 minutes of short-term training, whi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and exercise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stage, talking about status and reasons for checking nutrition labels; in the development stage, explanation of nutrition labeling and their content, reading, and identifying sample nutrition labels, as well as comparing nutrition labels and selecting better foods; in the closing stage, summary of nutrition labeling and a pledge to check nutrition labels when purchasing processed food. A total of 53 adults (88.5% female) aged 30 years and ov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trition labeling awareness of the subjec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5.8 to 96.2% after the education. After the education, the correct recognition rate of a nutrition lab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6.9 to 78.8% for the amount of food, from 25.0 to 73.1% for the calorie content, from 36.5 to 69.2% for the nutrient contents, and from 30.8 to 82.7% for the percent daily value. The self-efficacy of checking nutrition labels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before the educa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4.2 out of 5. The outcome showed that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nutrition labeling improved the participants’ awareness and self-efficacy towards checking nutrition labels.
        4,000원
        37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로프로그램과 영어교과수업을 융합한 영어진로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학생들의 글로벌 리더십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영어교과 학습동기를 높여 학생들이 영어수업에 즐겁게 참여하고 영어교과 시간에 꿈과 끼의 탐색에 필요한 다양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영어 학습동기를 높이고 글로벌 리더십교육을 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꿈-ING 영어진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700원
        380.
        2019.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 양육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양육, 부모양육, 그림책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 양육코칭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양육코칭 프로그램’은 그림책 16권을 중심으로 모형개발을 하였다. 본연구는부모양육코칭프로그램으로자녀양육을위한구체적인방법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부모로서 자녀의 양육이 실천되길 기대 한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