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06

        1686.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표본수가 적고 단일 사례연구로서 대조집단을 두지 못하였기에 연구의 효과성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원예활동이 농촌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원예활동을 통해 식물을 심어 가꾸어 자신감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68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needs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eco-friendly school farm program. To perform these research problems, 167 people from five Elementary School group (A, B, C, D and E). Of respondents of the survey, 160 questionnaires were significant.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with SPSS 17.0 statistics program. Teacher of the need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want to help school farm program by gardening expert, experienced volunteer. Costs of instructor and material must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 Teachers are demanding an integrated program for horticulture. The teachers would have preferred an easy plant to grow and appear in textbooks. Therefore teachers’ needs to be a convertgence in the eco-friendly school farm program manual.
        1689.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이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과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자유탐구의 이론, 자유탐구의 지도방법, 자유탐구의 예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 후, 연수에 참여한 중등과학교사 67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 검사와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수 프로그램이 자유탐구의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유탐구의 목적으로 ‘비판적 사고능력의 증진’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자유탐구의 주제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연, 생명현상 탐구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과제 수행 유형에서 다른 과제 개별 수행에 대한 선호도가 사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평가 방식에 있어서는 다면적인 평가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연수 후 자유탐구의 도입에 대하여 ‘지도시간 부족’이나 ‘학급당 학생 수의 많음’, ‘학생의 시간 부족’ 등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수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1690.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아영, 박인영(2001)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9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e-navigation은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 분야에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기대되고 있으며, 동시에 그 품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품질 향상의 실험을 위해, 기존 AIS중개서버 프로그램에 소프트웨어 리팩토링(refactoring)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리팩토링은 소프트웨어를 소스 코드 수준에서 구조의 복잡성을 줄여서, 이해하기 쉽고 기능 변경이 용이한 상태로 변경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겉으로 보이는 동작의 변화는 없이 내부구조가 변경된다. 리팩토링 적용 효과 분석을 위해서, IEC/ISO 9126 소프트웨어 품질표준의 유지보수성과 관련된 기존 메트릭의 산술적 측정기법을 도입했다.
        169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어메니티 창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어메니티 평가 요소와 시험 프로그램(pilot program)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축제와 테마식물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별 어메니티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분석 함으로 식물관련 축제와 체험행사의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또 시범용 체험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목적별 만족도를 비교하여 프로그램 활용 방안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지침을 도출하였다. 즉, 어메니티 요소에 대하여 방문목적별 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시설물과 식물의 다양성에 대하여만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통해 시설물은 공간 방문목적에 맞게 종류와 배치를 재구성 해야 하고 식물의 다양성을 고려한 테마선정과 계절별 배치와 이용자의 목적에 따른 체류시간을 고려한 동선 배치가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어메니티 체험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체험활동 목적에 따라 그리기와 토피어리조형정원, 미니정원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나므로 단순체험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책과 채집 식물활용, 먹거리 관련 프로그램과 교육이 요구되는 그리기와 만들기형 프로그램으로 대분류하고 교육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구재와 모형을 만들어 지속적인 교육기능을 보완 한다면 효과적으로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식물축제나 수목원, 식물원, 대안학교 등에서 식물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방문자의 경험과 방문목적을 고려한 후 일시적 체험활동과 교육적 체험을 분류한 단계별 매뉴얼 중심의 체계적 체험 활동으로 질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식물관련 축제와 식물원에서 어메니티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공간 구성과 체험프로그램을 도입할 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의 목적별 데이터는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694.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업, 취업 혹은 결혼을 목적으로 한국으로 유입되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다. 이들 중 결혼하여 국내에 정착한 이주여성은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여 가족의 행복은 물론 사회의 존속과 번영을 책임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이 자녀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도록 영양가 있는 음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어가 유창하지 않은 이들에게 이론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자칫 지루할 수 있으며 조리강습은 가사노동의 연장이라는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에듀테인먼트 개념을 도입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2회에 걸쳐 중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 등의 결혼이주여성과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오방색을 소재로 하여 개발한 본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이론교육은 시각자료를 이용하여 오방색과 건강과의 관계, 오방색으로 만들어진 한국음식과 소품, 그리고 결혼이주여성의 모국의 대표음식에 대해 스토리텔링형식으로 20분간 진행되었다. 그리고 약 2시간 동안 자녀의 건강을 기원하면서 창의적인 작품을 점토로 제작하고 발표와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좋은 식재료의 선택과 영양가 높은 음식이 자녀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고 좋은 음식을 통해 자녀를 건강한 다문화사회의 주역으로 양성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였다.
        1696.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 및 주요 대체 치료법의 논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및 평가 도구 중심으로 특성울 분석하였다. 각 대체치료법 프로그램 중 원예치료에서는 꽃장식(33.3%), 작업치료에서는 입기(25.2%), 미술치료에서는 그림활동(31.0%), 음악치료에서는 음악감상(31.1%)이 가장 높았다. 대체 치료법의 치료횟수는 전반적으로 25번 이하의 비율이 44.0%(작업치료) 이상으로 나타났다. 치료 평가 도구를 조사한 결과 원예치료 자아존중감측정지(26.4%), 작업치료 관찰일지(60.5%), 미술치료 관찰일지(18.8%), 음악치료 불안척도(28.1%) 각 치료에서 높았다. 대체 치료법 평가도구 중 관찰일지(35.1%)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