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11

        1161.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운동참여가 초등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초등학생들의 운동 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A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 하였으며 연구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717부였다. 자료의 처리는 One-way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트레스 수준에서 가정과 친구, 학업, 신체 및 성격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사 및 학교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참여에 따라 영향을 미친 요인은 신체 및 성격, 가정, 학업, 친구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처행동에서는 회피와 기분전환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문제중심과 지지추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참여에 따라 영향을 미친 요인은 기분전환, 회피 순으로 나타났다.
        116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music educators have wondered when they face with many non-music major university students. The fields of music deal with many areas: performance, music apprehension, music history, music therapy, and music theory, etc. Lecturers have no time to teach such vast areas of musical fields in one semester. Thus a questionnaire regarding non music major students` musical experiences has been provided to 315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The X2 shows us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preferences for music. Many students had little experienced in systematic learning for music in their previous schools. Beside regular music courses provided by the previous schools, most of Korean students` music related experiences are limited to play the piano in their childhood. This tendency occurs more frequent to female students than male, since female students had more an experience to play instruments than male students in their childhood. Piano is the most favorite instrument to girls, violins and flutes are the next favoured. Some of their musical activities were largely related to church activities. Other results show that most of male students had little experience to read music score and tend to buy more music CDs than female students. The reason why male students tend to buy some more CDs than female students is maybe caused by their lack of musical backgrounds in high school years through the specific Korean educational circumstances. Most of students prefer listening more instrumental music than vocal music. While female students played the piano, male students had more experience to play the guitar, etc.
        116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실태를 분석하고자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수 개념 이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수 크기 비교 검사를 통해 소수 크기 비교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사고 유형을 분류하여 학생들이 소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소수 개념 요소를 측정수, 십진분수, 십진기수법으로 보고 각각의 개념 요소별 이해도를 알아보았다. 3차 분류를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개념 요소별 이해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년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해 소수 개념 학습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116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초등학교의 정보 교과서는 시⋅도별로 학습 내용과 구성 체계가 일관적이지 않고 학습자의 발달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 교과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교과서 내용 구성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라 내용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념학습형, 문제해결형, 활용형, 정보윤리형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고,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반영한 각 유형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별 유형과 각 유형별 내용 구성 방안은 향후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정보 교과서 개발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65.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인지 수준에 따른 조석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과 오개념의 유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GALT) 축소본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인지 수준에 따라 형식적 조작기, 과도기, 구체적 조작기로 구분하였다. 조석 주기와 해수면 높이 변화, 기조력의 크기와 달의 위상 관계에 대하여 형식적 조작기인 학생들은 과학적 개념 수준이었고, 구체적 조작기인 학생들은 대체로 비과학적 개념 수준이었다. 그러나 인지 수준이 과도기인 학생들은 이해 수준이 개인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기조력의 원인, 크기, 방향과 지구 자전과 조석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지 수준에 따른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비과학적 개념 수준을 보였다. 구체적 조작기인 학생들에게는 기본적인 현상이나 사실에 대한 오개념이 형성되어 있었고 형식적 조작기인 학생들에게는 주로 현상의 원인에 대한 오개념이 형성되어 있었다. 조석 개념에 대한 오개념이 형성된 원인으로는 조석의 선행 개념들이 과학적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또한 과학적이지 않은 선행 개념들은 누적 또는 심화되어 또 다른 오개념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1166.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학생들과 영어원어민들의 영어 마찰음에 대한 발음을 음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고등학생들은 음운체계에 존재하지 않는 영어 마찰음을 발음할 때 오류빈도가 그렇지 않은 마찰음 보다 더 높았다.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존재하지 않는 영어의 마찰음 가운데 오류율이 가장 높았던 마찰음은 /ð/이었으며 83.70%였다, 또한 /ɵ/는 55%, /v/는 31.67%, /f/는 26.67%, /ʒ/는 21.67%, /z/는 10%, /ʃ/는 9.17%이었으며,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존재하는 /s/의 경우에는 전혀 오류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고등학생들은 조음기관의 앞쪽에서 발음이 되는 마찰음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마찰음에 대한 발음에서 /f/를 /p/로, /v/를 /b/로, /z/를 /s/로 대치하는 경향이 일반적이었고, 마찰음을 발음하면서도 파열을 수반하는 경우도 관찰할 수 있었다.
        1167.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그림동화 도입을 제대로 하기위한 준비 과정으로, 그림동화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다매체시대 환경을 고려하여 인쇄매체인 그림동화와 영상매체인 영상그림동화가 각기 학생들의 문학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원리를 비교해 보았으며, 작품을 감상하는 전 과정과 감상 후에 내․외적으로 나타나는 인지적‧정의적‧지각적인 반응도 검토해보았다. 전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230명을 대상으로 John Burning-ham의 《우리 할아버지》를 책과 비디오로 감상한 뒤 관찰과 반응지, 면담을 통해 반응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 세 가지 곧, 매체별 ‘비언어적 반응 양상, 구성요소별 반응 양상 및 범주별 양상’을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그림동화와 영상그림동화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인식의 변화, 매체 특성을 고려한 문학 수업 구성, 구체적인 문학 수업 목표 설정, 및 매체통합교육의 필요성면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168.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17명을 대상으로 e-Sports 게임 활동 시의 두뇌기능 상태를 뇌파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뇌파 측정은 게임 전, 구축시, 공격시, 게임 후 총 4차에 걸쳐 각 3분씩 측정하였으며 측정부위는 10/20 국제 전극배치법에 따라 Fp1, Fp2, F3, F4, T3, T4, O1, O2 위치에 부착하였다. 측정 된 뇌파는 주파수 필터링과 ICA(독립성분분석)에 의해 잡파가 제거되었고 상대파워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집단간 두뇌 부위와 게임 단계에 따른 상대파워 스펙트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게임 활동시 베타파 좌우뇌의 상대파워 스펙트럼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비교 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적 안정과 주의집중에 관련된 세타파는 주로 좌측 전두엽인 F3에서 출현하였으며 4학년은 게임 활동시에 세타파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알파파는 게임 활동시에 현저하게 줄어들어 알파파 억제현상을 보였으며 4학년은 게임 후에 알파파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베타파는 6학년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좌측 전전두엽 Fp1, 우측 전전두엽 Fp2에서 주로 출현하여 e-Sports 활동 중의 인지․사고활동은 주로 전두엽 부위와 관련이 있었다. 좌우뇌 베타파 상대파워 스펙트럼 비교 결과 6학년은 우측 전전두엽 Fp2가 좌측 전전두엽 Fp1보다 높았고 4학년은 우측 전두엽 F4가 좌측 전두엽 F3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우측 후두엽 O2 부위의 값이 유의하게 높아 4학년이 6학년보다 우뇌의 활성이 더 높았다.
        117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ur Natural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green area is being reduc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ose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sult, increased play hour with TV, computer games, video games rather then spend a time in nature and plants in children’s. This problems cause children’s emotional impoverishment and passive-dependence inclination. And made children scruple thinking and judging by themselves and it makes children exposure to social problems. Therefore loss of humanity and crisis are rapidly increase educ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is is the cause to decrease children’s pure sensitivity and feelings and decrease cultivate desirable humanity for advancement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things. For solution, this paper propose Kid Garden for equally cultivate interests, concern, imagination, internal emotion and feelings and increase children’s curiosity about nature for get back into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nature. On this study, make a model reflects children’s suggestions includes plays what they want to do, materials, safety, color, preferences those ar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nalysis bases on Preference-Analysis of Kid Garden, the most preferred Kid Garden is a unreal Garden showed in fairy tale "The Wizard of OZ". We propose a Kid Garden model, it based on preference-analysis to get each details of preference, for experience plays what they want to do, horticulture activities for feel five senses, harmonize with nature in limited interior space and help children to expand their dream and an ideal. Children are growing constantly. During growing process children raise their dream and hope and made healthy ego. Experience various culture and experience of nature will help to cultivate children’s, most of children who live in desolate buildings, huma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Kid Garden which is necessary to children, has various forms and contents for children’s demands. Furthermore, we need to make custom gardens consider of age, area, characteristic of space. And we need well organized and design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elp to understand about plant and increase horticulture activity time in children education curriculums.
        1171.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음식 만들기 경험 실태를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5명에 대한 조사에서 전통음식보다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대다수의 학생이 가정에서 음식 만들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수의 어머니들은 자녀의 음식 만들기 참여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 자녀의 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맞벌이 부모가 증가하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어린이 스스로 음식을 조리하고 섭취하는 올바른 식생활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정하고, 이들 음식에 대하여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는 음식 만들기 학습지도 자료를 개발하여 학교에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117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과제를 해결하는 동안 학생들이 나타내는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여 활동과제를 활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남학생 2명, 여학생 2명을 대상으로 매 차시 120분씩 총 8차시의 실험 수업을 진행하는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의 결과 활동과제는 학생들에게 그 자체로 동기유발이 되었고, 교사에게 의존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자연스러운 사고를 경험하게 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학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나타낸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창의성을 Polya의 문제해결과정 4단계에 따라 분석하여, 활동과제를 활용한 수학수업에서 수학적 사고와 수학적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적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117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 수학교육에서 어림 능력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어림 능력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연산 기능에 비해 학생들의 어림 능력은 어떠한지, 어림수와 어림셈의 전반적인 수행 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어림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분석하여 어림의 개념적 요소를 얼마만큼 이해하고 있는지, 기능적 요소인 어림 전략 유형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림 능력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174.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규칙적인 스포츠 활동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0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기간은 8주간(주 3회, 회당 90분) 이루어졌으며, 자기효능감 질문지와 학교적응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 독립표본 및 대응표본 t-검증, 반복측정 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사후시기에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수준선호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사후시기에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교환경, 학교교사적응, 학교친구적응 및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 연구의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 등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1175.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첫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 수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시 소재 4학년 2개 학급 6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본 연구자가 4주간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에 투입한 자기평가 도구는 자기점검식 평정방법과 학습 일지 방법을 혼합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말하기 능력 측정 도구로는 말하기 능력 4가지 하위요소에 대해 3점 척도의 자기점검 평정표로 제작한 자기평가지로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말하기 능력은 교사 채점자 3인이 말하기 내용선정, 말하기 내용조직, 표현 및 전달, 자신감 있게 말하는 태도의 각 요소에 대하여 3점 척도의 분석적 평가를 한 후 그 결과를 평균하였다. 말하기 능력은 실험 전인 사전검사와 8회기 자기평가를 적용한 정보를 전달하는 말하기 실험 후의 사후검사, 그리고 4주 후의 지연검사를 통해 측정되었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자기평가 활동이 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지속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평가는 말하기 능력 상, 중, 하위 집단간 비교에서 상위집단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지속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평가 활동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를 것이다.
        117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황산구리를 통해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물질에 대한 관찰능력과 사전지식 수준 및 종류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초등학교 실험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80명의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실험을 실시하고, 끝이 열린 질문지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황산구리 결정보다는 황산구리 가루에 대한 시각과 촉각의 감각기관을 통한 관찰 활동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더 다양하게 관찰을 하였다. 두 번째, 황산구리의 물리적 변화에 대한 관찰 활동에서 4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대부분이 용해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재결정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황산구리의 화학적 변화에 대한 실험 학습 활동에서 4학년 학생들의 응답이 6학년 학생들의 응답보다 다양했다. 그러나 4학년 학생들의 응답은 화학반응 과정 중의 일부 현상에 한정된 장면 관찰이었고, 6학년 학생들의 응답은 화학반응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포함한 과정 관찰이었다. 네 번째, 황산구리의 구조에 대한 예상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아무도 과학적으로 인정되는 구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생들이 관찰 활동과 시범 실험을 통하여 나름대로 다양한 형태의 황산구리 구조를 예상하는 것으로부터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양한 탐구 능력을 엿볼 수 있었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황산구리와 같은 친숙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물질 분야의 과학적 개념을 지도하는 실험 학습 활동 중심의 과학교육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할 것이다.
        1177.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Thinking Science(TS)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모둠 내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그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내는 논의의 특성과 교사들의 도움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각 모둠에서 학생들의 상호작용은 매우 활발했지만, 메타인지적 질문이나 정교화 제안과 같은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보다 단순 응답, 과제진행 관련 제안 등과 같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았다. 학생들의 모둠 내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정에서 과제 해결을 위한 가설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논의가 진행될수록 점차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논의 과정을 독점하는 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논의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이나 상대 학생의 의견에 민감하고 신중한 반응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논의가 피상적으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과제 해결과정에서 사전 지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둠 활동에 주는 교사들의 도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논의 과정에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경향이나 학생들에게 생각할 기회나 시간을 주는 정도는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에서 교사들은 비교적 개방적 접근을 취했고, 학생 지향적 교사에 비하여 교사 지배적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에 바탕을 두고 논의를 이끌어 가려는 노력이나 전략이 부족하여 학생들 간에 수준 높은 상호작용이 지속되게 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했다.
        1178.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Mokpo city has been don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of student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Only 2 of the 14 middle schools have chos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s a required subject. The majority of middle-school students in Mokpo city have learn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ubordinate course include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al science or technolog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done mostly through non-subject activities such as club activity, group work etc. The survey shows that almost all students think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serious problem(83% of respondents) and they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separate garbage collection(72%)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63.9%)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tudents(57.7%) has increased after environmental education regardless educational methods or subjects. The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not been carried out enough and almost all of them(68.4% of students, 97.5% of teachers) agre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order to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ies should be given dur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other subjects to be taught independently. Moreover, it might be necessary to increase proportion of teachers in environmental disciplines an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117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 해기교육대학은 제3국 해기사의 국적선 승선, 국제경쟁력의 약화, 3D업종의 취업 및 이공계 기피현상 등과 같은 교육 환경 변화로 인하여 큰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21세기 해양혁명의 시대에 필요한 우수한 해기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학업, 대학생활, 승선실습 및 진로선택의 5개 과정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변화된 의식구조 및 학교생활풍토를 파악하여 현 해기교육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 방향을 검토하였다.
        118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통합교육이 특수교육의 주된 패러다임으로 정착되면서 통합학급에서의 교과교육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교과교육의 중요성은 장애아동의 학교로의 통합과 학습능력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양한 교과 중에서도 수학교과는 그 자체로서 학습의 기초기술이 될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를 학습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기능이기 때문에 교과교육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교과의 목적을 수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및 법칙을 이해하고, 사물의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여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며, 실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를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교육부, 1998).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학교과는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여러 가지 사물과 사건을 분류․비교하고, 관계를 찾아보는 등의 구체적인 조작 활동과 경험을 통하여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학적 기초 지식을 습득하며, 이를 실생활의 문제해결에 활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위원회, 1997). 즉,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수학의 이론적 측면과 함께 실제적인 활용이라는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최근 특수교육분야에서는 ‘연구에 기반한 중재(scientific-based instruction)’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장애아동을 위한 중재에서는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여러 연구를 통해 효과성이 검증된 교수방법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의미하는 것이다(Vaughn, Bos, & Schumm, 2003). 실제, 학습장애 분야에서는 학습장애 진단의 준거로서 중재반응모델(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을 채택하면서 연구에 기반한 중재를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포함하고 있다(Vaughn & Fuchs, 2003). 이러한 연구에 기반한 중재를 수학교과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학교수에 대한 이론과 여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중재전략을 탐색하고, 그 효과성을 검정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는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지도할 것인가’이며, 둘째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교육내용을 전달할 것인가’이며, 셋째는 ‘교수의 효과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느냐’이다. 첫째, 수학교과의 내용을 고려할 때, 현재 특수학급이나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들에게 주로 지도되고 있는 수학 교육내용은 기초학습기술이다. 수학에서 기초학습기술이라 하면 주로 수 개념, 수 세기, 사칙 연산, 문장제 문제 등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영역은 수학학습부진이나 경도장애아동 및 수학학습곤란 정도를 측정하고 파악하는 데 주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수학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예; Fuchs & Fuschs, 2001; Cawley, Parmar, Yan, & Miller, 1998) 이 이 영역들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도 1-1학기부터 4-1학기까지 이들 영역을 주요한 교과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수학의 영역이 있지만, 기초수학학습기술에 대한 관심과 지도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적절한 교수와 관련하여 고려해보면, 연산과 관련한 직접적인 방안이 논의되어야만 한다. 즉, 수 개념은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사칙연산을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셋째로 교수의 효과성을 고려해보면, 그 동안 교수효과를 파악하는 방법은 중재를 투입하기 이전에 실시한 사전 검사 결과와 중재 투입 후 실시한 사후 검사 결과 간 차이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대부분의 평가는 교육과정과 관련이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곤란하고, 중재의 적절성과 중재의 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아동이 배우는 교육과정에 근거를 두고,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교육과정중심측정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중심측정은 여러 시점에서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아동 개개인에 대한 진전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 중재의 효과성과 아동의 변화에 대한 민감성이 매우 높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Deno, 1985; Deno, 2003; Fuchs & Fuchs, 2001). 이상과 같은 내용을 고려할 때, 장애아동의 수학교육에서는 기초학습기술로서 연산 영역에 대한 발달과정과 중재방법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사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학 교육과정의 기초영역으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연산영역을 중심으로 연산영역의 기본 구성과 발달모형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수전략과 교육과정중심평가방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