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7

        10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ways to introduce creative thinking skills development in the English learning classroom, specifically, focusing on questioning techniques and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study explores selected creative-thinking techniques which are in accordance with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goals in the Korean context. The techniques highlighted were deemed adequate for enhancing creative and analytical thinking skill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include the following: Brainwriting, SCAMPER, Lotus Blossom Technique, Forced Relationships/Analogy, Wishful Thinking Technique, Six Thinking Hats, SWOT, PMI technique, Flat Stanley Project. The study attempts to outline examples of and procedures for implementing such techniques in English education. The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nsight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ike and shall thu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integrating creativity education with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8,400원
        10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교육이 다. 어떤 언어의 학습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학습은 또 하나의 다른 언어적 도 구를 학습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한자계 어휘는 한국어 어휘의 중추적 요소이 다. 곧 한국어의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자는 더 많은 한자계 어휘를 습득하고 활 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한자와 한자계 어휘교육은 다른 한자문화권 언어 교육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높여주며, 긍정적 전이를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중 요한 요소이며, 그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요 소로 작용할 수 있다. 결국 한국어 교육에서 수행되는 한자와 어휘 교육은 1차적으로는 한국어를 교육하려는 목적에서 그 유용성을 가지지만, 다른 측면에서 볼 때 그 한자문화권 모 든 국가의 전통문화를 수용하고, 그 국가의 개별 언어를 학습하는데 일정 정도 기 여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문”교과의 교과목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문교과가 한국만의 독특한 개별교과로 만 유의미한 것이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기초교양교과로 역할이 변경 혹은 증대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이런 측면에서 한자계 어휘 교육이 특정 국가의 언어를 벗어나 한자문 화권 전체의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말하였다.
        15,500원
        10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 어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 어질 수 있도록, 학습 내용 및 그 수준과 범위의 실질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영역은 한자, 한자어, 한자성어 3개로 나누었고 급별은 기 본과 심화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인 성취기준의 개발 원리에 입각하여 진술하였고 영역 간에는 일정한 연계를, 급별 간에는 일정한 위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성취기준의 내용이 실제적인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지침으로 기능할 수 있고 아 울러 교재에서 성취기준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 성취기준 등은 고 정불변의 것이 아니다. 대상 학생, 교수․학습 현장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한 변화, 재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가 추후 완정하게 개발될 성취기준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5,700원
        10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한자․한자어교육의 성패와 직결된 제도와 정책 적 사항들을 점검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우선 국어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을 살펴본 결과, 국어발전기본계획의 수립, 어 문규범의 제정 및 개정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어심의회의 언어정책분과와 어 문규범분과에 한자․한자어교육 전문가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사업 대상과 영역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아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 교원 양 성, 한국어 보급지원 등의 사업에서 중복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립국어원과 세종학당재단의 역할과 기능을 분명히 구별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 을 개발하는 한편 한자․한자어 교육을 필수이수과목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이렇 게 되면 한자․한자어 교재의 수준도 향상되고 교원들의 한자․한자어교육에 대 한 인식과 능력도 제고될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역량 있는 전문가로 하여금 해당 과목을 담당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시과목은 한국어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적 전공능력이 어디에 있는지를 가리킨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 다. 따라서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이 예시과목에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 야 한다. 또한 한국어교사들에 대한 재교육과정에 한자․한자어 관련 과목을 수 강하도록 제도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한자․한자어교육을 불요불급하게 여기는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도 병 행되어야 한다. 한자․한자어교육을 한국어교육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학계 차원에서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이 중요하 다.
        8,000원
        10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 육을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인식, 언어와 인지의 관 계, 생태학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문제를 바라 보았다. 언어 인식의 측면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이 외국인 학습 자의 언어 인식을 고려하여 계획과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 기하였다. 비판적 언어 인식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은 단순히 어휘 의미의 해독과 이해를 넘어 사회적․문화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을 견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언급하였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는 인지 내용과 인지, 언어와의 관계 고찰 을 통해 지식과 정보, 현상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인지 활동을 들여다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는 자신들의 모국어로 사고하고, 사고한 내용에 대해 한국어 표현을 찾고, 한국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이 언어 발달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함을 제기하 였다. 생태학적 관점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학습이 어휘력 신 장의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언어적 환경에 적응하는 데 기여할 것을 주문하였다. 한자․한자어 교육이 학습자의 실제의 삶에 얼마나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지 근접하여 들여다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한자․한자어 교육 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언어생활을 영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재설계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5,500원
        107.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박물관 10개소에서 운영 중인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산림박물관의 효과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은 기대도보다 만족도가 높은 항목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 이용 대상연령의 다양성, 학습도구로서의 전시구성, 지역외부기관의 연계성 등의 경우 전시기법이나 재료가 학습도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산림박물관과 수목원을 연계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체험 위주의 전시연출을 위해 이용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참조하고, 체험전시의 주제와 내용전달 방식 등을 조화롭게 구성해야 한다. 또한 지역단체가 같이 참여 할 수 있는 참여형 산림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기획을 마련해야 한다.
        4,000원
        116.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 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고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적 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문법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방향이었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과, 통사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 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 연구 방향 등이 다. 形態論(Morphology)은 形態素와 單語의 構造와 機能, 結合關係 등 모든 형 태소들의 文法的 現象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單語(詞,語彙, 詞組)形成, 形態論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며, 派生法과 合成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이 형태론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문법적 性質에 따라 分類되 는 品詞論도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虛詞의 機能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形態論 敎育論에서 論議되어지는 내용들은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敎授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評價法들이 摸索되어져야 한다. 統辭論(Syntax)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文章이 構成되는 原理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漢字語(詞)의 統辭 構造, 漢文 文章의 構造類型을 通 한 統辭論 敎育의 연구, 漢文 文章 類型의 교육을 통한 文章 讀解 能力 向上의 硏究, 統辭論 敎授法 연구, 통사론의 評價法 연구 등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는 漢文科 敎育課程 속에 나타난 漢文文法 敎育의 史的 硏究로부터 始作되어야 한다. 한국의 한문문법 敎育史는 1945년 光復 후, 美軍政에 의하여 제정되어 過渡的 역할을 담당하였던, ‘敎授要目期’부터 현재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중인 ‘2011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 과정 속에서 한문문법 교육의 變遷 過程과 그 내용을 추출하고, 그것을 통해 연구 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문법교육사의 교수법과 평가법도 연구되어져야한 다.
        7,700원
        11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selected at the Korea Astronomy Olympiad (KAO) in every year. In the first stage of the selection, the resume, school transcript, and recommendation letters from teachers are referred. In the second stage, after video lectures and weekend observation classes, students are tested with on-line homeworks, and interviewed through internet. For 118 students who have gone through the second stage of the 2012 KAO,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s the students the motiv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KAO. The survey has also included inquiries for the selection process and education program of the 2012 KAO; the replies will be used as feedbacks for the next year's KAO.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first stage worked well, while the second stage needs to be improved in terms of fairness and objectivity. We have found that most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s for the KAO, so we suggest efforts should be made for students to be able to prepare the KAO without receiving private tutoring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