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keep enterprise's competitiveness on condition of the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 such as FA, FMS and CIM, all the maintenance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not only production and maintenance but also related Industrial safety. As we analyze in the surveys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domestic enterprises and the causes of industrial accident, there will be necessity of drawing up countermeasures for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for ensuring expertise maintenance technologi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tudied the safety information system,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the machinery condition diagnosis technique by using of the knowledge-based system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This web based knowledge-based diagnosis system can easily provide not only the knowledge of expert about deterioration phenomenon of industrial robot, but also the knowledge of relating safety and facility on everywhere, everytime. Therefore, when we use this system,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es in the production and safety.
IMF이후 건설 물량 감소에 대비하여 재해율은 증가 추세에 있고, 오히려 재해 강도율은 높아져 중대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건설업체에서는 안전관리에 대한 비용을 더욱 아끼려고 하고 있고, 비용 절감을 위해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비용이나 안전활동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 및 재해예방 인력을 활용하여 안전 순찰 점검활동을 지원함으로서 각종 증대재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재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상 커뮤니티는 짧은 기간에 많은 사용자들을 불러모으면서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적 기회를 창출할 기회가 빨리 다가온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는 것이 이러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익모델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많은 운영자들이 경제적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 가상 커뮤니티에서 수익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운영자의 체계적인 경영전략이 뒤따라야 하며, 회원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수익모델로 연결시켜야 한다는 힘겨운 과제가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상 커뮤니티의 전략적 구축, 운영 및 성장 방법에 대해서 분석하고 커뮤니티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수익모델들을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례에 대한 적용안을 마련해 본다.
We may be given a set of observations with the classes or clusters.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n up-to-date review of different approaches to classification, compare their performance on a wide range of challenging data-sets. In this paper, machine learning algorithm classifiers based on CART, C4.5, CAL5, FACT, QUEST and statistical discriminant analysis are compared on various datasets in classification error rate and algorithms.
지하의 공동탐사에 효과적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탐사장비나 야외작업이 비교적 경제적이면서도 지하 공동에 의한 반응을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중력, 자력, 전기 비저항, GPR(지하레이더) 탐사 등이다. 현지의 탐사여건을 고려하여 7개의 측선을 선정하고, 각 측선별로 몇 종류의 탐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력탐사의 경우는 2차원 격자형탐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각 탐사자료상에는 탐사법에 따른 여러 특징들이 잘 나타나고 있어,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 중 동굴 탐사에 가장 효과적인 탐사법은 전기비저항탐사로 나타났으며, 쌍극자-쌍극자 배열법은 2차원적인 고비저항대로 나타나는 동굴의 존재를 잘 보여준다. 중력, 자력 탐사의 결과는 화산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잡음의 영향으로 동굴의 위치나 규모를 해석해 내기가 쉽지 않지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에서 인지되는 동굴의 위치와 규모가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한편, 2차원 격자형 자력탐사 자료는 동굴의 경향성을 잘 보여주므로, 정밀 탐사측선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GPR탐사 자료에는 천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새들과 소규모 공동들에 의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심부에 위치하는 주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힘들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제한 된 수의 탐사법만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어떤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지하 동굴의 경우는 복합적인 탐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ium N-acyl N-methyl taurates were synthesized by effectual acylation of fatty acid ethyl esters C(C12~C18) and N-methyl taurine. All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krafft point, solubility, interface tension, foaming power, lime-soap dispersing ability and detergency were measured, and cmc was evaluated in dilute aqueous solution.
TiO2sol(30wt%, anatase)을 이용하여 스핀코팅으로 유리기판에 TiO2박막을 제조하였다. 박막의 두께는 코팅주기의 횟수가 조절하였다. 한 코팅주기는 스핀코팅, 건조, 열처리를 포함한다. 박막의 반응성은 막 위에서의 자외선강도가 0.44와 2.mW/cm2인 조건에서 벤젠기체의 광분해 속도를 통해 조사하였다. 박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표면적으로 증가로 인해 반응성은 증가하였으며, 0.44mW/cm2일 때 4μm정도 이상의 두께에서 반응성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았다. porous한 TiO2박막은 비교적 넓은 유효표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높은 자외선 강도하에서 박막두께에 따라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mode acceleration method)과 모드 절삭 보강법(modal truncation augmentation method)을 확장하고 그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의 동응답해서에 널리 사용되는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은 누락된 고차모드의 영향을 보정하여 모드 중첩법의 결과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방법들로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해석하는 경우 비비례 감쇠특성을 무시하지 않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을 확장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모드 가속도법보다 모드 절삭보강법이 더 효율적인 반면에 비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확장된 두 방법의 효율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수치적 안정성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이 모드절삭 보강법보다 우수하다. 이와 같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의 사용성 검?을 위해서 이론적 방법과 수치예제를 수행하였다.
The ultrasound-guided oocytes cllection (ovum pick-up ; OPU) has become a substitution for superovlation in catt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U frequency on the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in Hanwoo cattle. Six cycling Hanwoo cows were distributed into two groups for either once or twice weekly OPU sessions. Oocytes were collected by ultrasound-guided follicle aspiration(SA600) using a 6.5HMz transducer and attached with 18 gauge needle, with vacuum pressure of 40 mmHg. Th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collected from each donor were matured in TCM 199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t 5% CO2 in air at 38.5 for 22h and in vitro matured oocytes were co-incubated with sperm(separated by Percoll gradient) for 6h. The zygotes were co-cultured on cumulus cell monolayer in 10ul droplets in the same culture medium and conditions used for IVM for 7 days. On Day 7 of culture, development to blastocysts was examined. Although the number of oocytes collected was variable depending on individuals, overall embryo production in the twice per week OPU sessions was better that in the once per week sessions(6~21 vs 2~7 blastocysts produced, respectively). Two cows(E, A) were good oocyte donors and embryo production was superior in cow C ; however, cow F was a poor donor as compared to the oth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embryo production, twice weekly OPU sessions were better than once per week for producing embryos in vitro from Hanwoo cattle
An efficient method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forage crop alfalfa (Medicago sativa L.) was established using secondary somatic embryogenic calli.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EHAlOl and a binary vector pIG121-Hm which has selection
건물의 진동에너지 소산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점탄성감쇠를 설치하게 되면 이른바 비비례 감쇠시스템이 되어 구조물은 복소수형태의 고유모드와 고유치를 가진다. 복소모드중첩법은 이러한 복소모드를 이용하여 중첩함으로써 비비례 감쇠시스템 구조물의 정확한 동적 거동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건물이 고층화되면 많은 자유도로 인하여 고유치해석 및 모드중첩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구조물의 모형화를 위하여 강막가정과 행렬응축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몇 개의 주요 모드만을 선택하여 중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구조물의 진동에 영향을 주는 모드의 선택을 위한 복소모드 응답참여계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방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예제 구조물을 대상으로 해석한 결과, 응답의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해석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a technique of cloned animal prodcution by preactivation of nuclear recipient oocytes with ionomycin and 6-dimethylaminopurine (6-DMAP) in rabbits. The oocytes were collected from the oviduct of superovulated rabbit at 19∼20 hours post hCG injection. The collected oocytes were preactivated and self-enucleated by treating 5 uM ionoycin for 5 min, and 2.0 mM 6-DMAP for two hours. Microsurgical removel of the chromation complex in the second polar bodies was effectively performd and single blastomere separated from 32-cell stage rabbit embryos was inject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the enculeated recipient oocyts. Follwoing electrofusion and in vitro culture for 18 hours, the nuclear transplant(NT) embryos were transferred into the uterine horns of naturally mated or synchronized recipient does. When 32 NT embryous reconstituted with preactivated oocytes were transferred to 2 recipient does, one foster doe delivered two offspring (6.3%), while not a offspring was delivered from three foster does which received 17 NT embryos reconstituted with non-preactivated oocytes. A total of 68 NT embryos reconstituted with preactivated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the uterine horns of 7 synchronized ecipient does. Among them, two recipients were pregnant and delivered three offspring(5.9%).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for embryo transfer of techniques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gestation length and the weight changes of calves produced from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The results obtained in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gestation length and the weight changes of calves produced from embryo transfer were as fallow; 1) The gestation length and the birth weight did not differ between male and female, but the weight changes after birth were remarkablely different between sex(P<0.05). 2) The gestation length between heifers and cows was not different, and body weights at birth and 6 months were remarkabley heavy in cows(P<0.05). Weight changes after 6 months were not different. 3) The gestation length and the birth w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ingle and twin calving (P<0.05). Weight of twin at 6 and 12 months were remarkabely light. 4) Calving seasons did not affect the gestation length the and the birth weight. Weaning weight was significantly heavy(P<0.05), but weight changes after weaning were no different among the calving seasons. Conclusivley, this results suggest that cows will be better when considering growth of calves and twin produced from embryo trnsfer in Korean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