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난 10여년간 고려대학교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MS를 이용하여 측정된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10 Be의 준비 및 측정 과정을 다룬 보고서이다. 총 2 4세트의 표준물질과 107개의 Blank시료가 분석되었으며, 2017년 이후 표준물질의 측정 재현성이 크게 향상되어 국제적인 주요 실험실의 결과와 비교할 만한 수준의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Blank 값은 사용된 9 Be 캐리어의 종류 및 석영 추출 과정과 AMS 측정 세팅 등 실험 조건에 따라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잠재적인 오염원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10 Be Background 값을 줄이는 것이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강조한다. 낮은 Background 값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형성된 지형이나 오랜 시간 매몰되어 방사성 핵종이 상당량 감소한, 저준위 10 Be 지형의 연대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 과정을 개선하고 가중평균 계산법 등의 새로운 통계적 방법을 도입하여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간적 및 공간적 규모에서 지구표면과학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우주선유발 동위원소 분석의 기반을 제공한다.
Salmonella enterica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식 중독균이다. Salmonella enterica Enteritidis MFDS1022168 은 인천보건환경연구원에서 계란에서 분리된 균주로, 이 균 주가 지니고 있는 병원성에 대한 genome 수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whole genome sequencing을 진행 하여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PacBio Sequel 장비를 이용하 여 유전체염기서열 분석을 진행한 결과 invA를 비롯한 여 러 종류의 병원성유전자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에 따라 해당 균주의 독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전체분석을 진행하였다. 유전자 총 수 예측 결과, 4,776개의 CDSs, 84 개의 tRNA, 22개의 rRNA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ne} and {je} in Korean dramas from the 1990s and 2010s in terms of gender and discourse situ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how male and female characters use {ne} and {je} differently in public and private contexts for each era, and how thes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im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1990s, men primarily used {je} in public settings and alternated between {ne} and {je} in private contexts, indicating a context-dependent usage pattern. Women, on the other hand, mainly used {je} in both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but {y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ublic settings, showing that women also adjusted their usage according to the context. Second, in the 2010s, men used both {ne} and {je} regardless of the discourse context, while women predominantly used {ne} across contexts. Third, compared to the 1990s, the use of {ne} in public situations in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2010s, indicating a notable change, while no change was observed in private settings.
This study aims to gain insight in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10th to 7th centuries B.C. by exploring the clothing in Assyria, which was the most powerful force in Mesopotamian civilization at the time.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cusing on a total of 127 Assyrian artifacts held in domestic and foreign museu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sic forms of Assyrian clothing are tunics and shawls. The tunics have short sleeves and are knee or ankle length with a special type of tassel decoration. They have a wide belt at the waist, and a decorative panel is attached vertically below with a strap. In addition to the basic clothing, there are loincloths and overskirts, with some having open right sides and fringe decorations to denote a higher status. The overskirt has a third or fourth-tier skirt structure with an open front and fringe decorations on the edges. Most military members, except for archers, wore knee-length tunics as uniforms. As for armor, they wore short-chest or knee-length coat-type lamella armor. Headwear mainly consisted of cylindrical hats and headband-type decorations. In the case of bracelets, mainly rosette-shaped decorations and simple ring-shaped bracelets with three or one turn were worn. For shoes, sandals were mainly worn, and soldiers mainly wore boots. As a result, each costume element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wearer’s status, clearly showing Assyrian costume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process condition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u-10Sn alloys produced by the powder bed fusion (PBF) method. The optimal PBF conditions were explored by producing samples with various laser scanning speeds and laser power. It was found that under optimized conditions, samples with a density close to the theoretical density could be fabricated using PBF without any serious defects.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amples produced under optimized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a commercial alloy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hardness, maximum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cast alloy with the same chemical composi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to use the PBF technique to manufacture Cu-10Sn products with complex 3D shapes that could not be made using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The AlSi10Mg alloy has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for its application in laser powder bed fusion (L-PBF), due to its lightweight properties and good printability using L-PBF. However, the low production speed of the L-PBF process is the main bottleneck in the industrial commercialization of L-PBF AlSi10Mg alloy parts. Furthermore, while L-PBF AlSi10Mg alloy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he properties are often over-specified compared to the target properties of parts traditionally fabricated by casting. To accelerate production speed in L-PB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cess parameters on the build rat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lSi10Mg alloy. Guidelines are proposed for high-speed additive manufacturing of the AlSi10Mg alloy for use in automotive parts. The results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uild rate, exceeding the conventional build rate by a factor of 3.6 times or more, while the L-PBF AlSi10Mg alloy met the specifications for automotive prototype parts. This strategy can be expected to offer significant cost advantages while maintaining acceptable mechanical properties of topology-optimized parts us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e feeder pipes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in a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 (PHWR) are composed of carbon steel SA 106 GR.B. On the surface of this structural material, corrosion oxide layers including radionuclides are formed due to the presence of active species from water decomposition products caused by radiation, as well as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 These oxide layers de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and pose a risk of radiation exposure to workers and the environment during maintenance and decommissioning, making effective decontamination essential. In this study, we simulated the formation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on the surface of carbon steel SA 106 GR.B, characterized the formed corrosion oxide layer, and investigated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rrosion oxide layer using oxalic acid (OA), a commercial chemical decontamination agent. The corrosion oxide layer formed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4 μm and consists of hematite ( Fe2O3) and magnetite ( Fe3O4). The carbon steel coupons with formed oxide layers were dissolved in 10 mM and 20 mM OA solutions, resulting in iron ion concentrations of 220 ppm and 276 ppm in the OA respectively. In 10 mM and 20 mM OA, the corrosion depths of the coupons were 8.93 μm and 10.22 μm, with corrosion rates of 0.39 mg/cm2·h and 0.45 mg/cm2·h, respectively. Thus, this demonstrates that higher OA concentrations lead to increased dissolution and corrosion of steel.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의 신예 작가 요나스 요나슨이 2009년에 발표한 문학작품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을 중심으로 삶의 비극성을 긍 정적으로 재조명하고 전환시키기 위한 온작품읽기 과정을 통해 노년기 삶의 의미를 강화시킬 수 있는 미래시간조망과 희망의 직·간접적 사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알란 칼손이란 100세 노인을 세계사의 여 러 현장에 등장시키고 작가 특유의 개그 요소와 묵직하지 않은 문체로 서술해내면서 알란만의 '될 대로 될 것이다'라는 마인드와 새로운 삶의 시점을 풀어낸 소설이다. 텍스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미래시간조망과 희 망은 노년기 삶의 의미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요인으로 작용할 가능 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노년기 삶의 의미 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미래시간조망과 희망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대기관리권역법을 통해 권역 내 집중관리도로를 선정하고, 도로 청소 차량의 운용을 수행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도심지의 경우 대기오염 발생원인 차량 통행의 감축이 어려우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간 발생하는 장비·시설의 유 지관리 비용을 고려했을 때 관련 재정의 효율적 운용이 필수적이며, 도심지의 고농도 발생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잇는 전략적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7 ~ 2024년 기간 동안 수집된 서울권 집중관리도로의 재비산먼지 농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농도 발생 경로를 선별하였으며, 대상지의 모빌리티 요소(차로수, 제한속도, 정지선, 버스정류장(가로변, 중앙), 지하철역 입구, 교차로 수 등) 를 추출하여 시계열적 기상 조건과 매칭하여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모빌리 티 요소의 가중치평균법 및 교호작용 분석을 통해 도심지 모빌리티 영향에 따른 도로 대기오염도 변화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절관리제가 시행되기 전(`17 ~ `19년) 대비 시행 후(`20 ~ `24년)의 평균 재비산먼지 농도는 17㎍/m3 낮았으며, 이는 코로나 19의 영향 외 작용된 청소 효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적으로 나눈 서울 5개 권역 중 서부 지역과 수도권 남부와 교통이 연결되어 교통망이 집 중된 서남권, 동남권에서 재비산먼지 평균 농도가 18㎍/m3 높게 발생하였다. 이를 모빌리티 영향에 의한 재비산먼지의 발생 및 확산 영향으로 판단하고, 계절관리제 시행 후 도심지 고농도 발생 지역에 대한 모빌리티 요소 및 기상 환경 변화 영향에 대한 복합적인 영 향 분석을 위해 시간 변수, 모빌리티 특성 변수, 도로 환경 변수, 기상 변수를 수집하고,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였으며, 가중치 평균법 을 적용한 모빌리티 변수 모델, 모빌리티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교호작용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비산먼지 PM10 농도 상 승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영향 변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