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treated water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of Water Treatment Plants (WTPs) of Jeju City. For this, the raw water, treated water and tap water that did not pass (named as not pass-tap water) and passed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named as pass-tap water) were sampled and analyzed monthly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for four (W, S, B and O) WTPs except for D WTP (where treated water is not supplied continuously) among WTPs of Jeju City.
The concentrations of NO3- and Cl- of treated water in distribution systems changed little, but changed seasonally, which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quality of raw water. The pH of treated water changed little in distribution systems for S WTP, but for the other WTPs, the pH of not pass-tap water was similar to that of treated water and the pH of pass-tap water was higher than that of treated water. The turbidity of treated water in distribution systems changed little except for W2 of W WTP and S4 and S5 of S WTP, where it was higher than that of each treated water.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between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changed little, but those between treated water and pass-tap water changed greatly, based on the its long residence time in water storage tank and so its reaction with organic matter, etc or its evaporation. The concentrations of TTHMs (total trihalomethanes) and CHCl3 that induce cancer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of these WTPs, were much lower than their water quality criteria and those in other cities. The concentrations of TTHMs of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were similar, but concentrations of pass-tap water were 1.5 to 2.0 times higher than those of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due to the reaction of residual chlorine and organic matter, etc, with the result of long residence time in water storage tank.
더 많은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다목적 저수지의 홍수조절공간과 이수공간 사이에서 용량 재할당 방안을 제안하였다. 저수용량 재할당이란 기존의 저수지에 물리적 변화 없이 좀 더 많은 편익을 얻을 수 있도록 상시만수위를 조정하는 관리 기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홍수조절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용수공급에 필요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저수지 용량 재할당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빈도별 유입홍수량에 대한 홍수기 저
부산항(북항) 재개발사업은 노후화된 북항 일반부두를 해양관광의 중심지역 그리고 부산시민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는 실행단계로 진입하였다. 한편, 재개발로 인한 유동장 및 해수교환의 변화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에 따른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의 변화와 만 내 해수교환을 수치실험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조류속 변화는 북항 및 내항에서 감소가 나타나고 주수로상에서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해수교환 변화는 15일이 지난 준 정상상태에서 재개발 전후 공히 약 77% 내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영향평가 분야에 상세한 기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근거한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역학적 상세화를 위하여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한 이중둥지격자시스템을 구축하고, 과거 30년(1971-2000)과 미래 30년(2021-2050)에 대한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미래 시나리오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준 시나리오에 대한 관측과의 검증이 선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한 된장 시료군과 첨가하지 않은 된장 시료군 간의 이화학적 분석 결과 및 관능적인 품질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조된 된장을 28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분석 및 색상 변화 측정, 관능평가 등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한 된장 시료 C의 경우가 된장에 인산염만 첨가했을 때의 된장 시료 B, 인산염과 가스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된장시료 A와 비교하여 색상에 있어서 좋은 품질을 유지하였
볶음처리한 새송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즉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및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pH 1.2에서의 아질산염소거능은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75% 에탄을 농도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7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자공여
가루녹차를 알루미늄 포장에 보관하여 에서 저장시 품질관련 화학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비타민 C 및 지방산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되었다. 가루녹차의 표면색상은 저장시 a값은 저장전 -17.40에서 저장 30일 -16.69, 저장 60일 -16.20, 저장 120일 -13.69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녹색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외관과 내질에 따른 관능평가는 저장전 93점에서 저장 60일 88점, 저장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effect of anticancer activities on Rhodiola sachalinensis by ultrasonifi-cation process and solvent. Compared the yield to the water extracts (WE), wafer extracts with ultrasonification (WEU) at60, loot and ethyl alcohol extracts (EE), ethyl alcohol extracts with ultrasonification (EEU) at 60 ˚C from Rhodiola sachalinensis. Experimental studies were progressed through the anticancer activities such as cell cytotoxicity, inhibition activities of cell growth. The cell cytotoxicity using human embryonic kidney cell (HEK293) was showed cytotoxicity of below 26.26%by extra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in 1.0 mg/ml concentration, The anticancer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over 70% by extra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in A549, AGS, Hep3B and MCF-7 cells. From the results, the extract Rhodiola sachalinensis were showed useful anticancer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단계적 변화모델의 구성요소 중 행동변화 과정이 다른 구성요소, 즉, 의사결정 균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남여 374명(남=247, 여=127)을 대상으로 김(2004, 2005)이 개발한 행동변화 과정, 의사결정 균형, 자기효능감 측정척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10.0 프로그램을 이용한 t-test와 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행동변화 과정, 의사결정 균형, 자기효능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행동변화과정이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남자와 여자를 분리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자는 운동행동변화과정요인 중 자기강화 및 해방, 반대조건부여, 자기발견, 환경 재평가요인이 운동이득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여자는 자기강화 및 해방, 반대조건부여, 환경 재평가 요인이 운동이득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둘째, 반대조건부여 요인은 남 여 모두 운동장애요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행동변화과정 요인 중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반대조건부여와 자기발견 요인이었으며 이는 남여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자는 자극통제요인이 여자는 환경재평가요인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운동행동변화과정은 의사결정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의 경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다”라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게임프로그램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들의 정서 및 사회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2명의 남자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주간 8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정서와 사회성의 변화를 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질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8회의 프로그램 후 실시한 심층면담은 삼각검증법을 통해 결과를 알아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에서, 정서는 현재기분상태, 소외감과 사회비관적태도 중 현재기분상태(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적연구결과, 첫째로 혼자가 아닌 우리라는 인식과, 둘째로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셋째로, 도전과 성취로부터 자신감을 얻었고 넷째로, 자기반성의 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Vanoni가 1946년에 유사를 포함한 흐름에서는 Karman상수가 감소한다고 제안한 이후로 개수로 흐름에서 유사 입자가 평균 유속 분포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유사 입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매개 변수가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어떤 연구자들은 난류중에 유사입자가 투입되더라도 Karman 수는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arman 수의 변화에 대한 기존의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perform the survey on the ecological systems, scenary, and water quality change for agriculturally purposed drainage channels constructed with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methods and thus to evaluate the environment-friendly redevelopment effects of th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channels not looking good aesthetically before redevelopment had changed into graceful scenic views from the aspect of landscape architecture as natural-type gently waterside to the channel and naturally-looking water stream. In the village parks developed for the rest of residents, an enough view was secured and thus a wide prospect scope could be obtained. 2. The flora in the channels have increased to 35 families and 82 species from 19 families and 32 species before renovation. As the growth speed of them are slower than externally-brought plants, they can cause some risks to the stability of land slope, including scour by erosion. From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adequately combine the species of the plants both natively growing there and externally-brought planted. 3. In case of water quality, it turned out that, from more than a year after redevelopment, plants began to take roots and the water quality improved. On the contrary, there have been some cases, partly found, that aggravated the quality of water due to the causes like as retention of floating matters by withered plants or plant bodies after the growth of plants in the channels under survey became active, an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 periodic maintenance of waterways is needed. 4. In case of fishes, all species before renovation have revived, and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species have increased after works the formation of puddles in the channels. In waterside grasslands, amphibia and reptiles have not only increased but also been diversified.
사과 저장시 전처리로써의 차압예냉이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량, 경도, 산도, 당도, 부패율과 비타민 C의 함량을 무처리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중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으며 두 시험구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종 24주에 무처리 구가 낮게 나타났다. 경도는 전처리 직후 예냉군이 , 대조군이 였으나, 최종 24주 예냉구가 로 대조구 보다 더 단단하게 나타났다. 산도는 예냉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산도가 높아
It was compared the reduction effect of contaminants and odor according to DO change and EM (effective microorganisms) addition in maturation process of piggery slurry. The maturation processes were divided into three cases as follows: R-1 was operated at 2.5 mg/ℓ of DO without the addition of EM, R-2 was operated at 7.5 mg/ℓ of DO without the addition of EM and R-3 was operated at 2.5 mg/ℓ of DO with the addition of EM. The addition of E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crease of DO for the reduction of CODcr, NH3-N and T-N in the maturation of piggery slurry. In addition, the reducing effect of odor intensity appeared high even in the short-term maturation period in case of adding EM and one could not even smell the stimulating odor of piggery slurry.
본 논문은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와 이상강우를 고려하며 인천지역에서 사용중인 확률강우강도식에 대한 새로운 확률강우강도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 10분24시간까지의 임의시간 연최대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의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 f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최근 강우에 대한 경향을
작약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작약의 종 및 품종, 생육시기, 식물체 부위별 성분의 함량 분포와 변화를 HPLC를 이 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의 종 및 품종간 성분의 함량 분포는 야생작약(P. japonica M., P. obovata M., P. anomala L.) 보다는 재배작약(태백작약, 의성작약)에서 전반적으로 함량이 더 높았고, 성분별 분포는 paeonifloin, methyl gallate, astragalin, kaempferol 순으로 높았으며 methyl gallate 는 의성작약에서 0.45%로 가장 높았다. 식물체 부위별 함량 분포는 methyl gallate는 꽃잎에서 1.79%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는 0.56% 함유하였고, 뿌리에는 0.01%로서 소량 분포하였다. Astragalin 은 꽃잎과 잎에서 높았고, 작약의 지표 성분인 paeoniflorin 은 뿌리에서 2.52%로 가장 높았으며 잎에도 1.09%나 함유하여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함량 분포는 생육초기인 4월에 가장 높았고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므로 잎과 줄기를 이용하려면 뿌리 수확직전인 8~9 월이 적기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콩의 초기 유묘생육기간 동안의 lipoxygenase가 결여된 진품콩, 진품콩 2호와 정상적인 태광콩의 lipoxygenase 활성 변화를 비교 검토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Lipoxygenase 결여 콩 품종의 초기 생육 및 lipoxygenase 활성 변화에서 유묘의 생체중은 진품콩 2호와 태광콩이 진품콩 보다 증대되는 경향이었고 하배축의 길이는 진품콩과 진품 콩 2호가 태광콩보다 서서히 증가하였지만 하배축의 두께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가 태광콩보다 두껍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자엽의 lipoxygenase 활성 변화는 유형 I lipoxygenase 활성에서 진품콩과 태광콩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진품콩 2호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형 II lipoxygenase 활성에서 태광콩은 발아 2일째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발아 4일 째에서 5일째 사이에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고 발아 5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하배축의 유형 I lipoxygenase 활성에서는 진품콩과 태광콩이 발아 l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하배축의 유형 II lipoxygenase 활성은 3 품종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재배년수 및 재식거리에 따른 삼백초의 생산성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40×5 cm 등 6처리를 두어 2002년부터 3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경엽 생육중 초장은 1년생은 소식할수록 좋았으나, 2년생은 재식거리 40×10 cm, 3년생은 40×20 cm에서 가장 좋았으며, 분얼수는 1, 2, 3년생 모두 밀식할수록 많았고, 근경생육은 1, 2년생은 밀식할수록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3년생은 40×20 cm에서 가장 좋았다. 나. 상품 경엽수량은 1년생은 재식거리 40×5 cm, 2년생 40×10 cm, 3년생 40×20 cm, 1~2년 누적수량 40×10 cm, 1~3년 누적수량 40×10, 20 cm에서 가장 많았다.
스무딩은 가변 비트율로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때 일련의 고정 비트율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계획을 세우는 것으로 이러한 스무딩 알고리즘에는 CBA, MCBA, MVBA, PCRTT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들에서는 GOP내에서 프레임들간의 바이트 수의 차이가 심한 경우에도 이 순서대로 전송 계획을 세우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전송률이 변화되거나 급격하게 높은 전송률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인 사용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빠른 시간안에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는 백트랙킹 방법을 이용하여 GOP 내에서 가장 완만하게 프레임의 바이트 수가 변화되는 프레임들의 순서를 검색하여 이 순서대로 전송 계획을 세우는 스무딩 알고리즘과 이를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은 다양한 비디오 소스를 가지고 MVBA 알고리즘과 전송률 변화 횟수, 첨두 전송률, 전송률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여 평가한다.
The effects of pre-treatments by plants growth substances and functional substances on vase life and physiological character of cut Lillium oriental hybrid 'Siberia' and Lillium asiatic hybrid 'Dream Land' were studied. For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the vase life of 1st floret was extended by dip treated with Promalin and spray treated with Dan-solution Ⅱ(Nano colloidal Ag+ ion + Chitosan) and the vase life of 2nd floret was effected by dip treated with Promalin and Dan-solution Ⅱ. In case Lilium asiatic hybrid Dream Land, the vase life of 1st floret was extended by spray treated with Promalin and Dan-solution Ⅱ. The vase life of 2nd floret was increased by dip and spray treated with Promalin and by spray treated with Dan-solution Ⅱ. Water uptake of Siberiawas increased by all pre-treatment but wasn't showed significance. Also water uptake of Dream Land was increased by spray treated with Dan-solution Ⅱ. In case Siberia, fresh weight was increased with Dan-solution Ⅱ and was increased by dip treated with Promalin and by spray treated with Dan-solution Ⅱ in Dream Land. The amount of ethylene production of Siberia wasn't showed significance in all pre-treatment but when floret of Dream Land was treated with Dan-solution Ⅱ, the peak point was showed in 1st day. The respiration rate was showed climacteric rise type by all pre-treatment in Siberia and Dream Landand the peak point was a little decreased by Dan-solution Ⅱ treatment. Sugar contents were remarkably promoted in petal when florets of Siberia wa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Dan-solution Ⅱ treatments, but were decreased in leaf and ovary. In case Dream Land, glucose content was not showed changes in leaf but fructose content was decreased. Also sugar content of ovary and petal were showed tendency such as Sib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