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1

        622.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irling기관(機關)의 성능(性能) 예측(豫測)을 위한 1차원해석방법(次元解析方法)으로서 지금까지는 온도(溫度)의 기준(基準)으로 팽창(膨脹) 및 압축공간(壓縮空間)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를 각각(各各) 가열기(加熱器)와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하였으나 실제로는 등온팽창(等溫膨脹), 등온압축(等溫壓縮)의 변화(變化)를 수행시킬 수 없으므로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溫度)는 가열기내(加熱器內)의 온도(溫度)보다 낮고,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온도(溫度)는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온도(溫度)보다 높기 때문에 실제(實際)와 부합(符合)되지 않는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팽창(膨脹) 및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대표온도(代表溫度)를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溫度) 저하(低下)와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온도(溫度) 상승(上昇)을 고려하여 성능(性能)을 평가(評價)한 결과(結果),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 온도(溫度)를 가열기(加熱器)와 가열기(加熱器)부터 기관압축비(機關壓縮比) 에 상당하는 단열압축(斷熱壓縮)을 했을 때의 온도(溫度)와의 평균온도(平均溫度)로 하고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 온도(溫度)를 냉각기(冷却期)와 냉각기(冷却期)로부터 기관압축비(機關壓縮比) 에 상당하는 단열압축(斷熱壓縮)했을때의 온도(溫度)와의 평균온도(平均溫度)로 선정(選定)한 경우가 팽창공간내(膨脹空間內)의 온도저하(溫度低下)만을 고려하고, 압축공간(壓縮空間)의 온도(溫度)는 냉각기내(冷却期內)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했을 경우, 그리고 팽창공간(膨脹空間)과 압축공간내(壓縮空間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를 각각(各各) 가열기(加熱器)와 냉각기내(冷却器內)의 작동유체(作動流體)의 온도(溫度)와 동일(同一)하게 취급(取扱)하였을 경우보다 실측치(實測値)에 더 접근(接近)하였다.
        4,000원
        623.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혼파초지에서 봄철 1차 이용시기와 1차 이용후 재생기간에 따른 목초의 일당 건물생산량, 경엽분포비율, 일반성분함량 및 세포벽 구성물질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차 이용시기(주구)를 영양생장기(초장 25-30cm), 절간신장기(초장 40~50cm) 및 출수기(초장 60~70cm)로 하고 1차 이용후 재생기간(세구)을 20, 30 및 40일로 하여 1987년도와 1988년도 2개년에 걸쳐 실시하였다. 1차 이용시 일당생산량은 늦게 이용할수
        4,000원
        625.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로운 문제해충을 찾아내려면 작물별로 전국적인 survey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력과 경비면 그리고 수행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경작자나 그 지역의 농촌지도소를 통하여 문의.의뢰된 해충들을 살펴보면 그 해의 대체적인 해충발생상황을 알아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업기술연구소 곤충과에는 1988년 40건의 민원과 의뢰사항이 접수.처리되었다(표 1). 그중 해충동정 및 방제법에 대한 것이 31건, 현지발생행동조사 의뢰 3건, 해충관계자료에 대한 문의가 3건 등이었다. 접수된 민원중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각 해충의 발생상황을 작물별로 기술하여 기록을 남김으로서 금후 연구를 의한 기초 자료로 제공코자한다.
        628.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1화기 이화명나방에 의(依)한 수도피해(水稻被害)의 진전양상(進展樣相)을 파악하기 위하여 1974 년부터 1976 년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수집된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하였다. 수도피해경수(水稻被害莖數)의 진전(進展)은 3령유충기(齡幼蟲期)를 전후(前後)로 유충(幼蟲)의 주내분산(株內分散)과 주내분산(株內分散)을 통(通)하여 일어나며, 유충분산(幼蟲分散)이 안정(安定)되는 일도(日度)에서 진전(進展)이 정체(停滯)되는 현상(現象)을 보였다. 이러한 피해진전(被害進展)경과는일도(日度)와 유의(有意)한 회귀(回歸)관계를 보였다. 특(特)히 각년(各年)의 회귀계수(回歸係數)가 서로 유의(有意)한 차(差)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것은 피해경의 진전(進展)과정에 대(對)한 모형설정(模型設定)이 가능(可能)함을 시사(示唆)하는 것이었다.
        3,000원
        629.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dangrass와 Sudangrass×Sorghun의 交雜種인 Pioneer 931과 Pioneer 988의 乾物生産量, 一般組成分 生産量, hemicellulose와 世胞內容物 生産量 그리고 乾物, 纖維素의 消化率 및 可消化에너지와 可消化蛋白質을 調査하였다. 1. 10a當 乾物生産量은 Sudangrass가 1,638kg으로 가장 많았고, Pioneer 988은 1,404kg, Pioneer 931은 1,282kg으로 적었다. Sud
        4,000원
        632.
        202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no.15, op.28≫ 1악장의 발전부를 중심으로 주제적 구성의 양상을 살피고, 해당 발전부에 대한 해석으로서 ‘꿈과 현실의 내러티브’를 도입한다. 발전부를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을 현실에서 꿈속으로의 이동, 꿈속의 지속, 꿈속에서 현실로의 이동이라 는 구조로 파악한다. 이로써 전통적인 고전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난 발전부의 독특하고 모호한 음 악적 전개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633.
        202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나타 형식의 재현부는 일반적으로 제시부에서 다른 조성으로 제시되었던 주제들을 원조에서 재현함으로써 거시적 불협화를 해결하는 공간으로 이해된다. 최근의 소나타 이론(Hepokoski and Darcy 2006)에서는 특히 제2주제가 원조성에서 정격종지를 성취하는 순간을 필수구조종결점(ESC) 으로 강조하며 소나타 전체를 이 순간을 향해 달려가는 목적론적 과정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그러 나 브루크너의 재현부는 코스트베트(Korstvedt 2004)가 작곡가의 형식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부분 이라고 언급한 바 있듯이 자주 이러한 패턴에서 벗어난다. 제2주제가 원조가 아닌 다른 조성에서 나타나는 것은 물론 원조성에서의 정격종지도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소나타 이론에 따르면 이러 한 ‘미해결 재현부’(non-resolving recapitulation)의 사례는 정규적 소나타 공간에서는 ESC를 확보 할 수 없는, 이른바 ‘소나타 실패’(sonata failure)를 표현하기 위한 작곡가의 의도적인 전략으로 이 해된다. 특히 다씨(Darcy 1997)는 브루크너의 미해결 재현부와 코다에서의 뒤늦은 종지의 확보를 작곡가의 종교적 배경과 결부시켜 ‘실패’와 밖으로부터의 ‘구원’의 구도로 해석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학적 설명은 미해결 재현부가 담지하고 있을 수 있는 음악 내적인 필연성을 찾는 작업 의 중요성을 가려버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브루크너의 원숙기 교향곡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체적인 소나타 구상을 논의하면서 재현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그러한 구상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한다. 첫째, 브루크너 특유의 3부분 제시부와 전자에서 후자로의 연속적인 이행을 표 현하는 제시부의 조성계획 비롯된 형식적 균형의 문제, 둘째, 으뜸조성과 종속조성을 독립된 두 개 체로 대비시키기보다는 과 이후 나타나는 그 반대 방향의 이행과정, 셋째, 브루크너의 중후기 교향 곡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불협화적 대립구조’(dissonant counter-structure)의 제시와 그 해결 양상이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측면을 고려했을 때 미해결 재현부를 통한 브루크너의 접근 은 오히려 긴밀한 형식적 논리를 성취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교향곡 제7번≫ 1악 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밝히고자 한다.
        637.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tree doctor qualification test (first written test), which was newly created by enforcing the Forest Protection Act on June 28, 2018., The high demand for system improvement accelerated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nalyzeds through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s. Writing test questions and the license of the tree doctor qualification exam are currently managed by the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and it is deemed that the test should be entrusted t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for fair and transparent management. Additionally,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ubject-wise scope of examination questions writing, difficulty of test questions, and acceptance rate of the first test should be prepared after public hearings or seminars related to the examination questions.
        638.
        202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도메니코 갈로(Domenico Gallo, 18세기 중엽 활동)의 트리오 소나타에 나오는 다양 한 양식을 연구한 글이다. 18세기는 음악이 빠르게 변하였던 시기였기 때문에 옛 양식과 새로운 양식을 구분하는 경향이 있었고, 일반적으로 이것을 학자 양식과 갈랑 양식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필자는 갈로의 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성 체계 역시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위해 레너드 라트너(Leonard Ratner)가 언급한 솔라 시스템과 폴라 시스템이 라는 관점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갈로의 트리오 소나타를 형식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하였 으며, 이들 중 순환 2부 형식, 단조로 된 2부 형식, 푸가 형식에 속하는 다섯 곡을 골라 개별 곡에 나타난 음악 양식의 특징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로버트 여딩엔(Robert Gjerdingen)의 스키마 이론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갈로가 이 곡들에서 네 가지 양식들을 여러 방식으로 조합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639.
        202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uccess of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identify key correlation in large database is critically controlled by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data. Here, we demonstrate that rigorous material properties of radioactive nuclear fuels can be obtained by integrated approach of first principles calculations and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 The reliable database is established by density functional theory an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which is the input of the machine learning to analyze any correlation among the database. The outcomes are applied to evaluate thermodynamic, kinetic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which plays a key role for safe management of spent nuclear fuels.
        640.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1560)에 나타난 교회재산의 재분배 규정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16세기 이전의 스코틀랜드 교회재산은 무질서 하게 악용되었는데, 이에 대해 개혁자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교회재 산의 재분배 규정을 제시하였다. 개혁자들은 교회재산의 재분배 기준뿐만 아니라 세부 계획안, 그리고 세부 금액까지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그렇 기에 필자는 이 부분에 주목하면서 한국교회가 당면하고 있는 교회재산의 세속화의 무질서 문제를 해결하는 신학적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는 ‘비본질’적인 요소들이 개혁교회의 ‘질서의 기 준’인 것처럼 여겨지는 것들이 많다. 비록 질서를 바로잡고자 제정된 ‘교회 헌법’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그것조차도 개교회가 자의적으로 해석하 고 오용하면서 더 심각한 무질서의 문제들을 야기하였다. 교회의 재산과 관련된 부분에서도, 오늘날의 많은 교회들은 성경적인 바른 질서와 기준을 세우지 못하고 교회재산의 세속화의 늪에 빠지게 되었다. 곧, 세상을 향한 빛과 소금의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재산에 관한 분명한 질서와 기준을 세우는 것 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제1치리서󰡕에 나타난 교회재산의 재분배 규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그 문서의 배경이 되 는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역사적 상황을 개관할 것이다. 왜냐하면 16세기 스코틀랜드에서 교회재산의 형태는 오늘날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당시 역사적 맥락을 아는 것은 16세기 스코틀랜드 교회재산과 이를 둘러싼 사회 체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직접적인 배경, 그리고 구조와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이후에 본문에 나타난 교회재 산 재분배에 관한 규정을 주목하고, 그 의미를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를 통해, 한국교회가 직면한 교회재산의 세속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학적인 발판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