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4

        641.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에게 교직 생애 처음으로 접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경험기를 평가 실시 전과 후로 나누어 그들의 솔직한 생각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9학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경상북도 시 지역의 신규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모아 Spradely의 주제분류 방법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기 전, 이 제도에 대해 사전 지식을 가진 교사는 거의 없었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들은 선배교사들의 이야기는 모두 부정적이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사전 지식은 없었지만 전문성 신장이라는 제도의 목적은 어느 정도 알고 있었으며, 수업 능력과 학급 경영에 관해 평가받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다며 기대 반, 걱정 반의 이야기를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 이후, 신규교사들은 받은 결과를 읽고 평가를 받고나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나 동료 교원 평가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매우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또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전문성 신장이라는 목적과는 크게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답변 내용을 토대로 향후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습 내용 추가, 신규교사 대상 임용연수에서 제도에 대한 연수 확대, 동료 교원 평가는 축소하되 학생 평가는 확대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가의 목적을 살릴 수 있도록 문항을 구체화하고 교육활동 소개자료 및 능력개발계획서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순기능을 살리고 학교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줄일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다.
        642.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ollocations of the first person plural possessive pronoun in order to identify L1 influence in Korean EFL learners' writing, in comparison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writing.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this learner corpus research focuses on the us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OUR in English, which seems to be negatively transferred by somewhat peculiar usages of the Korean equivalent pronoun wuli. The contrastive interlanguage analysis first shows that Korean learners significantly overuse first person plural pronouns whereas they significantly underuse first person singular pronouns, compared to native English speakers. Second, it also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frequencies of the ‘OUR + noun’ collocations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ejong Corpus seems very similar in both corpora, and that the frequencies are likely to be dependent upon specific individual collocates. Third, Korean learners appear to particularly overuse six specific ‘OUR + noun’ collocations rather than ‘MY + noun’ collocations, which can be argued to be empirical evidence of L1 influenc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to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classroom in Korea.
        643.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비슷한 시기에 쓰여진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스티븐 스펜더의 『비엔나가 각각 어떻게 1인칭 대명사를 사용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유럽의 분열과 정치사회적 탄압 이라는 주제가 각 시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조명하는 것이다. 1인 칭 대명사 사용에 대한 연구는 시인이 “얼마나”, 또 “어떻게” 자신의 시 에 직접 개입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는지를 알기 위한 중 요한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황무지속의 1인칭 대명사 “I”의 정체를 찾기 위한 과정이 유럽의 분열이라는 시적 주제를 어떤 방식으 로 표현하고 있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그 다음, 『비엔나에서의 “we”와 “they”의 병치가 어떻게 사회주의자들을 향한 정치적 탄압 뿐 아니라 동성애자들을 향한 사회적 탄압을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할 것이 다.
        644.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기독교 신앙고백은 한 순간에 만들어 진 것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에 따라 발전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에 나오는 1세기 초기 단계의 신앙고백부터 공의회의 결과물로 나온 4세기 발전된 신조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신앙고백은 계속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정통신앙고백이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각 시대마다 존재했고, 초기에는 대부분 사도적 기원으로 판단했다. 물론 성경 그 자체가 기준이었지만, 다양한 성경해석의 문제 앞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은 바로 사도였다. 그러므로 사도들의 성경해석과 그들의 신앙은 정통이라 인정받았고, 이러한 사도성에 기준을 둔 신앙고백은 발전해서 4세기 공의회를 통한 신조까지 이어졌다. 본 논문은 성경에 나타난 신앙고백 이외에 사도들로부터 인정된 초기 기독교 신앙고백들의 내용을 밝혀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그 범위를 성서시대를 넘어선 1세기 후반부터 2세기 중반 ‘신앙규범’(regula fidei)이 등 장하기 전까지 나타나는 기독교 신앙고백의 초기단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클레멘스 제 1서신과 이그나티우스의 일곱서신과 아리스티테스 저서와 순 교자 유스티누스의 저서를 다루면서 사도들의 신앙고백의 요소들을 찾아내고 이를 분석했다.
        645.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교육 대학을 졸업하고 초등학교에서 첫 근무를 시작한 초임교사들이 학교라는 실천공동체에서 어떻게 참여활동을 하며 사회적 학습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 명의 초임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3개월간 세 번의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 자료는 소속감의 세측면인 참여(engagement), 상상(imagination), 연대(alignment)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동료 교사들과의 의미 협상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할 수 없음이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인 성향에 기인한다기보다 초임교사에게 수동성을 기대하는 학교문화와 연관이 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예비 교사 시절 구축했던 이상적인 교사의 이미지가 동료 교사나 학교 행정가가 추구하는 교사의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을 때, 초임교사들은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초임교사들은 학교라는 공동체에서 요구하는 기대에 부응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학교의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의미 있는 피드백을 받지 못해 그 협상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초임교사의 첫 학기의 경험은 이렇듯 제한적인 참여와 연대의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제도적인 문제에 기인하기보다는 일방적인 의사소통의 교직 문화속에서 구성원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폐쇄적인 초등학교의 학교문화 때문으로 보인다. 초임교사의 사회적 학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초등학교 문화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64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공간 활용을 분석하여 지역교회가 사회와 무엇을 공유하고 영향을 끼쳤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정동제일 교회를 택하여 해방 후 교회 공간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신문, 보고서,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간은 단지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닌 인간의 활동과 공간적인 실천이 결합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것을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으로 부른다. 해방공간에서 다양한 단체와 기관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위하여 공간이 필요했다. YMCA나 학교강당, 천도교 강당 등은 실내공간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교회건물은 예배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제공되었다. 서울에 위치한 정동제일교회는 수도권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 공간이었다. 김인영 목사가 재직하던 시기를 전후로 공간 활용도가 더욱 높았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신흥우와 함께 YMCA와 적극신앙단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 활동했다. 기독교 정신 위에 대외적으로 활동했던 그의 행동은 정동제일교회 공간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비록 친일행적을 계기로 이전처럼 정치 일선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는 시대적인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국가를 기대하며 시민사회에 공간을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여러 시민단체들은 세계정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석학이나 종교지도자들을 초청하여 시민들의 의식을 함양시켰다. 교회는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 즉 문화적인 것, 경제적인 것, 결혼식과 장례식 등의 일상적인 것들을 위하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교회가 시민들의 생각과 욕구를 공유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승만과 관련된 단체들에게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그의 정치활동을 지원하였다. 반탁과 관련된 집회와 강좌는 서울지역의 우파를 결집시켰고, 전국대회를 성공적으 로 개최한 독촉국민회는 1948년 제헌국회에서 다수당이 되어 정국을 주도 하였다. 정리하면 정동제일교회 공간은 사회적 관심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세우는데 그 힘을 결집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64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the March First People’s Uprising, writers that included progressive patriots, independence activists and the broader masses created progressive literature that reflected the heights of the Korean people’s patriotic fervor and the national anti-Japanese struggle. In contrast, bourgeois writers went down the path of becoming reactionaries as their disappointment, sense of failure, weariness and despair led them to a literary world that was at once both empty and degenerate. Unlike the progressive works that flow with our people’s strong will and invincible spirit that refused to surrender in the face of guns and knives and gave them the strong resolve to achieve independence for their country, these corrupted literary works were reactionary in the sense that they emphasized feelings of depression, despair and pessimism in their portrayal of human beings faced with misfortune. These works, which reflect historical fact but are in sharp contrast to the Chuch’e ideological direction, portrayal of art and characters, and description of life in both content and convention, show how sharp and complicated the confrontation between progressive and reactionary literature was in our country’s modern literary world in the time leading up to and following the March First People’s Uprising.
        64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eninsula-wid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demonstrated the cohesiveness of the Korean people and served as the opening chapter to a new history; the entire peninsula was flooded with protests for independence, and shocked by their intensit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ngaged in indiscriminate suppression. The March First Movement propelled demonstrations to be held as well in Northern Jiāndǎo (“Puk-kando”), situated north of the Tumen River.Thousands of demonstrators gathered on March 13 in Lóngjǐng to rea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s part of the demonstration. Although dozens of people were injured due to the suppression by the Chinese armed forces (seventeen were killed), numerous demonstrations (currently known are fifty-eight) took place throughout Northern Jiāndǎo. A frontier region, Northern Jiāndǎo was a unique cultural space wherein Koreans who crossed into this borderland formed their own communities; with active ethno-nationalist education and religious propaganda, the region served as a nexus of ethno-national and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 addition, due to the frequent exchange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ritime Province, Lóngjǐng in particular served as the cradle of ethno-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64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Military Rule during 1910s was definitively not occlusive. Movements toward Korean independence continued both within and outside the peninsula during this period, and the energy of resistance was continually accumulating. Because of capabilities for autonomy, the March First Movement could respond more efficiently to international context after the end of World War I. Compared to the May Fourth Movement of China or the Rice Riots of Japan,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peculiar in that it was a relatively large-scale, pan-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experience of the March First Movement for the Korean people served as the fundamental matrix of subsequent independence movements and as part and parcel of their ethno-national, historical memory, was transported through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down to today’s unification movement. Analysis of the specific plans for independence movements and the actual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representatives vis-à-vis records of examination from the police, prosecution, and each level of the judicial court as well as pilot studies demonstrates that at the outset, the plans for the movement did not envisage pan-Korean demonstrations or coalition with students. The limitatio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s by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in fact overcome by the actual conduct of the masses that began at T’apgol Park on March 1, 1919.
        65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offers a discussion of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MFM) through the lens of moral development. Central to the discussion is the moral development of the most well-known personality associated with the MFM, Yu Kwan-sun (1902-1920). After discussing Yu’s own moral development, I connect this discussion to another important but less well-known figure associated with the MFM, Lee Sŭnghun (1864-1930). As a chief organizer of the MFM, Lee Sŭnghun made it possible for Yu Kwan-sun to both display and further develop her virtues and moral energies during the MFM. A discussion of Lee Sŭnghun also enables us to appreciate the thread of moral energy that was spinning prior the MFM, and which blossomed into the MFM in large part due to his efforts. I close by briefly discussing another participant in the MFM, Louise Yim (Im Yŏngsin) (1899-1977). Like Yu Kwan-sun, Yim was imprisoned and tortured for her participation in the MFM. Unlike Yu, however, Yim survived and dedicated her adult life to the independence of her country and the education of its citizens. A deeper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s involved in the MFM can connect us in the present to their virtues and moral energies. To know these individuals is to be inspired and moved by them. Thus the stories of the individual participants in the MFM remain an important resource for international ethics.
        651.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국제난민지원단체를 설립하고 20여 년간 난민 보호활동을 하고 있는 이호택 대표의 생애사 연구이다. Atkinson(1998a, 1998b)의 내러티브 탐구의 생애 이야기 면담 방법으로 7회에 걸쳐 생애사 텍스트를 생성하고, Adriansen(2012)이 제시한 ‘타임라 인 면담 분석’으로 코딩한 후, Lieblich 등(1998)이 제시한 ‘통합적 내용 접근’으로 리코딩 했다. 그의 생애 이야기의 독자성을(Lieblich et al., 1998) 일곱 가지 주제 곧, 난민처럼 인생의 가장 약한 지점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활동가의 길을 가게 한 생의 분기점과 결정적 만남, 대한민국 소수자 보호활동의 개척사를 쓴 개척자, 타인을 위해 생명을 나누고자 하는 사명자, 세상을 이해하며 삶이 뒷받침되는 공부를 추구하는 이유, ‘난민들의 피난처’라는 의미, 대한민국 활동가로서의 생애 비전과 좌우 이념을 오가는 통합 방식 등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1세대 난민 활동가의 생애사를 통해 대한민국 사회에서 난민 코드를 탈북 코드와의 접합 속에서 개인적, 구조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었다.
        652.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ollect base line data for setting up bat boxes, we established a total of 30 bat boxes in 2017. The bat boxes were established on the sidewalls of overpass and on the inside of girder bridges. Since establishing bat boxes, we regularly confirmed whether or not they were used; in June 2018, we confirmed that a total of six bat boxes were being used by Pipistrellus abramus and Myotis aurascens. It was confirmed that P. abramus used one bat box each out of five bat boxes, and that many adult females of M. aurascens used a single bat box as a place for maternity roosts. This result is the first use case for setting up bat boxes across the country, and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to build roosts for bats by setting up additional bat boxes in the future.
        653.
        201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for mesospheric observations was installed at King Sejong Station (62.2°S, 58.9°W) in Antarctica in 2017. For the initial validation of the FPI measurements, we compare neutral wind data recorded with the FPI with those from a Meteor Radar (MR) located nearby.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FPI and MR winds of both OH 892.0 nm (87 km) and OI 557.7 nm (97 km) airglow layers are similar. The FPI winds of both layers generally match the MR winds well on the observed days, with a few exceptions.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PI and MR wind data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zonal winds at 87 and 97 km are 0.28 and 0.54,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meridional winds are 0.36 and 0.54, respectivel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airglow emissions has a Gaussian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altitude, we calculated the weighted mean winds from the MR wind profile and compared them with the FPI winds. By adjusting the peak height and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the Gaussian function, we determined the chang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winds. The best correlation for the OH and OI airglow layers was obtained at a peak height of 88–89 km and 97–98 km, respectively.
        654.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교 1학년은 전이의 시기로서, 또래와 교사는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또래와 교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5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행동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또래 지명법을 사용하여 공격성, 사회적 선호, 지각된 인기, 교사 선호를 측정한 후, Mplus 7.0을 사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친사회성 모두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는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친사회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공격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는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선호는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와 가지는 관계를 모두 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이시기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참조자로서 또래와 교사의 역할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65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단한 규칙에도 불구하고 바둑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복잡한 전략적 보드게임 중의 하나이다. 몬테카를로 트리탐색(MCTS)은 최상우선 트리탐색 알고리즘으로 컴퓨터바둑 제작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저자는 9줄바둑판보다 작은 바둑판에서의 바둑게임 행위를 위해 MCTS를 활용하여 가장 유망한 첫 수를 찾고자 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MCTS는 첫 수로 홀수형 바둑 판에서는 정중앙, 짝수형 바둑판에서는 중앙 부근에 착수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문화센터에 참여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심층면담과 집단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면담자료 전사본과 연구 기간 동안 작성한 연구자 저널이다. 연구 결과, 어머니들은 문화센터 참여를 통해 ‘독박육아의 섬에서 탈출하기’, ‘교류 속에서 초보 엄마 한계 뛰어넘기’, ‘자녀 성장과 엄마 역할에 대한 불안함 떨쳐내기’, ‘교육세계로 입문하기’를 경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어머니들의 경험은 ‘자녀와 영아교육에 관한 이해의 지평 위에서 비판적 시각 갖기’를 가져왔고, ‘부모로서 아이 중심의 교육적 신념 구성 하기’의 기회가 되었으며 ‘고립과 소통의 변주 속에서 행복한 육아 찾아가기’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와 지역사회에서는 영아 부모 및 영아교 육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넓혀 나가야 할 것이다.
        65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veral bacterial species from the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Bcc) are opportunistic pathogens that lead to infections in patients with underlying lung disease, such as cystic fibrosis, as well as in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Included in the Bcc, Burkholderia contaminans is an emerging pathogen in cystic fibrosis patients. However, this is the first report case of sepsis due to Burkholderia contaminans without cystic fibrosis in child. And we report that successful treatment of sepsis due to Burkholderia contaminans in the child, through antibiotic therapy.
        660.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oposes functional test methods of first-aid gadgets which are special end-effectors, for relief robot. In recent years,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robots that can perform rescue operations on behalf of rescue workers in dangerous areas such as disasters and wars. These special robots mainly perform the task of finding or transporting injured people. However, it is sometimes they necessary to provide first aid in the field. Among the various first-aid operations, gadgets are being developed for oxygen supply, injection, and hemostasis operations that can be used in a defense/civilian area by using robot technology. Previous studies have proposed first-aid gadgets that are suitable for onsite situations and enable robots to perform the given task quickly and accurately. In this paper, we design a test procedure suitable for the functions of first-aid gadgets, summarize the results, and introduce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