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4

        41.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로기하구조정보는 도로의 안전성평가 및 도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센서가 탑재된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기하구조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차량의 자세정보 중 평면선형과 관련된 Roll, Heading 자료를 이용하여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선형 인식 이전에 전처리 과정으로 이동평균법을 통하여 자료를 평활화함으로써 원시자료의 이상치를 제거하여 평면선형 인식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유전알고리즘(GA,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분류정확도(CCR, Correct Classification Rate)를 최대로 하는 알고리즘 파라미터를 설정한 결과 100%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와 국도 주행자료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평가한 결과 90.48%와 88.24%의 분류정확도를 보여, 제안된 평면선형인식 알고리즘은 현장에서 적용 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정보를 제공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면선형인식 알고리즘은 조사차량에 GPS/INS센서의 소프트웨어로 탑재되어 도로 및 교통기술자에게 도로기하구조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4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mestic delivery service" is defined the service to deliver goods or packages from point of senders to point of receiv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oor to door, it is must a service provider should know the exact location of destination assuring best utilization of moving path. Generally, location information consist of postal code and address only, which result in difficulties to identify the precise location of destination. It is relatively less correlated between the information that address refers and practical location in Korea address system. For example, the next door to house number 100 is not always house number 101. Therefore, a delivery man additionally uses a paper map or a GPS navigation which carry extra job to input every code of location to the device in order to know precise location. It is also very inconvenient that every delivery man identify the location that address information refers and make a personal decision of the optimum moving path dropping each destination without calculating provisioning process of whole delivery path. As explained above, it is inefficient to find information delivery service required and to generate the optimum path. In results, these difficulties bring in delay of service and increase of cost. In this point, the contents of the thesis suggest a GPS navigation system easy to obtain accuracy of delivery information which enables to automate optimum moving path based on RFID which contains location information.
        4,000원
        43.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hip's heading information of hybrid GPS/EM compass were applied to the AIS of fishing vessel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ccuracy improvement. It is observed 453 each in AIS receiver of land among 3,982 each in AIS Rx/Tx transponder of the test ship at sea, and transmission interval according to the speed of ship is determined the 11.4% good transmitting data of the all information. In results, maximum compass error for the ship's heading of an EM compass was 19.1˚. The variance of ship's heading owing to the speed of ship is surveyed. The COG (Course Over Ground) was changed extremely in 180˚W-179˚E range under 4.9knots, and in 24˚W-23˚E range over 4.9knots. Finally, using the ship's heading of EM compass and the COG from GPS for the autopilot system of a small fishing boat and the ship's heading information of AIS results in danger on the own ship's navigation safety and leads to make confusion both the others and VTS (Vessel Traffic Service) center. Therefore, the hybrid GPS/EM compass is identified as the best system for a small fishing boat and is allowed to offer continuously a ship's heading information with high accuracy and stability.
        4,000원
        4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위선이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표시된 종이지도(이하 지도)에서 임의 지점의 경위도 좌표 값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휴대용GPS 단말기(이하 휴대용GPS)에 표시된 현재 위치의 경위도 좌표 값으로 지도상에서 그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역시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들로 풍부한 지리정보가 담겨져 있는 지도임에도 불구하고 휴대용GPS와 병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더욱 지도상에 다수의 좌표선과 해당 좌표 값 및 측지계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용GPS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기반 평면격자좌표계란 새로운 기법을 이용하여 어떠한 형태의 지도라도 휴대용GPS와 편리하게 병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지도기반 평면격자좌표계(Map Based Rectangular Grid, 이하 평면격자좌표계)란 직접 지도에 임의로 기획하는 좌표계로서 축척에 관계없이 지도의 가로・세로 방향으로 1cm 간격마다 한 단위씩 수치가 증가하도록 구성한 좌표계이다. 휴대용GPS의 좌표계 설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좌표계 속성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임의의 위치 좌표 값을 지도에 기획한 평면격자좌표 값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지도상에서 임의의 위치 파악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좌표계의 특성상 지도상에서 특정 지점의 평면격자좌표 값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수치를 휴대용GPS에 그대로 입력하여 특정지점(Waypoint)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지도에 따라 휴대용GPS에서 다소 복잡한 좌표계 설정을 재시도해야 하고, 취득한 평면격자좌표의 값은 상대적 좌표 값이라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4,000원
        5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예선인 부선으로 인하여 예선 자체의 조종성능에 제한을 받고, 이러한 예부선은 바람, 파도, 조류 등과 같은 외력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여 예부선 운항의 안정성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다. 예선의 선장, VTS 및 육상의 운항부서 등에서는 부선과 같은 피예선의 실해역에서의 침로, 속도,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해난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 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저렴하고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GPS를 이용한 부선의 안전예항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기초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실선에서의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안전 예항에 필요한 여러 항해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4.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use of vehicle route application and LBS(location based service) are fast grew,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road network data is also increased. To maintain road data accuracy, we can collect road data by driving real roads with probe vehicle, or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for the extraction of roads from aerial imagery. After compare the new road data to current database, we can update the road database, but that job is mostly time and money consuming or can be inaccurate. In this paper, an updating method of us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enabled cell phone is proposed. By using GPS phone, we can update road database easily and sufficiently accurately.
        4,000원
        55.
        2007.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use of vehicle route application and LBS (location based service) are fast grew,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road network data is also increased. To maintain road data accuracy, we can collect road data by driving real roads with probe vehicle, or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for the extraction of roads from aerial imagery. After compare the new road data to current database, we can update the road database, but that job is mostly time and money consuming or can be inaccurate. In this paper, an updating method of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enabled cell phone is proposed. By using GPS phone, we can update road database easily and sufficiently accurately.
        3,000원
        5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get more accurate GPS position with the changes of the inner configuration setting of GPS receiver, the authors carried out measurements of the position at known it with one antenna and two GPS receivers manufactured by same company. We have investigated the accuracies of posi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askangle and receiving mode of output data in inner configuration of GPS receiv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numbers of satellites visibility and maskangles, and values of HDOP and maskangles. When the maskangles in inner configuration were set below 20 degree, the accuracies of positions were high. But if they were became bigger than 25 degree, standard deviations ot position errors and HDOPS of positions were became bigger. Numbers of satellites visibility(y) and maskangles(x) have relations with a formula, y = -0.1662x+9.9225, and values of HDOP(y) and maskangles(x) have relations with a formula, y = 0.6035 e0.0517x. The results of position accuracies observed by two GPS receivers to the known position at same time were that average errors of position fixs by GPS receiver configured with NMEA0183 mode were 6.7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1.5m, and them by GPS receiver configured with binary mode were 5.0m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1.1m respectively.
        4,000원
        57.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e gigahertz peaked spectrum (GPS) quasars are special blazars, blazars in dense and dusty gas enviornment. The ROSAT detection rate of GPS quasars is similar to that of flat spectrum radio quasars (FSRQs), suggesting that the relativistic jets in GPS quasars are oriented at small angle to the line of sight. Due to strong inverse Compton scattering off infrared photons from dense and dusty nuclear interstellar media in GPS quasars, most of them may have significant soft gamma-ray and X-ray emission, which is consistent with ASCA X-ray observations. Because Compton cooling in GPS quasars is stronger than that in FSRQs, synchrotron emission in GPS quasars may less dominate over thermal emission of the accretion disk and hot dust, hence most GPS quasars show low optical polarization and small variability, consistent with observations. We suggest that it is the significant radio emission of electron/positron pairs produced by the interaction of gamma-rays with the dense gas and dust grains in GPS quasars that makes GPS quasars show steep radio spectra, low radio polarization, and relatively faint VLBI/VLBA cores. Whether GPS quasars are special blazars can be tested by gamma-ray observations with GLAST in the near future, with the detection rate of GPS quasars being similar to that of FSRQs.
        3,000원
        58.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근해 어선에서 사용되는 저가이면서 고정도의 GPS 컴퍼스는 위성 신호의 차단 및 선박이 고속 선회시 선수방위의 산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전자자기 컴퍼스를 이용하여 안정된 선수방위 검출이 가능하도록 고안한 하이브리드 GPS-전자자기 컴퍼스를 시작(試作)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고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텝모터를 이용한 선회각속도별 실험에서 GPS 컴퍼스는 선회각속도 25˚/sec 이하에서는 1회/sec 씩 0.1˚ 단위로 안정된 선수방위를 검출하였으나, 그 이상의 선회각속도에서는 선수방위를 검출하지 못하였다. 한편, 전자자기 컴퍼스는 선회각속도에 상관없이 항상 선수방위를 나타내었으나, 컴퍼스 오차를 내포하고 있어 GPS 컴퍼스에 비해 정밀도는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정점과 차량으로 이동 중에 하이브리드 GPS-전자자기 컴퍼스의 선수방위 정보를 출력한 결과, GPS 컴퍼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경우에는 GPS 컴퍼스의 선수방위 정보가 출력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선수방위 정보가 출력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전자자기 컴퍼스의 선수방위에 컴퍼스 오차를 가감하여 출력됨으로써 선수방위가 안정적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GPS 컴퍼스와 전자자기 컴퍼스에 의한 선수방위의 유사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데이터의 이동거리에 대한 선수방위를 이용하여 공분산분석을 행한 결과, 두 컴퍼스의 선수방위는 95%의 신뢰수준으로 유사성이 검증되었다.
        4,000원
        59.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선장에 따른 GPS 위치 정도 및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2002년 5월 29일부터 6월 2일까지 2대의 GPS수신기 (L1, 12채널)를 이용하여 고정점에서 30분에서 24시간동안 관측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준국(PKNU)과 이동, 국립지리원의 GPS 상시관측소에서 수신한 GPS 데이터는 동적 및 정적 후처리방식으로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2년 5월 31일 차단각 (cut-off angle) 15˚에서 6시간 이상 관측 가능한 위성은 16개였고, 위성은 주로 동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10분마다 평균한위성 수와 GDOP는 각각 8개, 3.89이었다. 2. 후처리 전후의 GPS 평균위치는 모두 기준점에서 남서쪽으로 편위 (단독 측위 : 1.17m, 후처리 : 평균 0.43m)되었다. 확율원 오차는 단독 측위가 6.65m이었고 이를 동적 후처리하면 단독 측위의 약 33.8%(표준편차 0=17.2), 정적 후처리하면 단독 측위의 약 5.3% (0=2.2)로 감소시 킬 수 있었다. 3. 정적 후처리방식으로 구한 기선장 x(Km)와 확률원 오차 y(m) 의 관계식은 y = 0.0016x + 0006 (R2=0.87)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1주파용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정적 후처리방식으로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기선장을 100Km 이내로 하고 GPS 수신시간을 30분 이상으로 하면 확율원 오차 20 Cm 이내의 측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4,200원
        60.
        200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의 실습선 새바다호를 사용하여 통영항 내의 동호만에서 1999년 9월 3~4일 사이에 투묘와 양묘를 포함한 선박의 궤적을 PATK-GPS 선간거리계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와 거리 및 상대방위를 측정하고, 그 측위 정도의 유효성과 묘박의 실시간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투묘 후 묘가 브로트업 앵커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4분이 소요되었고, 완전한 묘박 상태로 되어 선박의 궤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요하는 시간은 10분 정도였다. 2. 묘박중 선체는 묘를 중심으로 하여 8자형의 요동운동을 나타내었다. 3. 측정 전체 시간대의 평균 묘박위치는 투묘위치로부터 북으로 49m, 동으로 89m로 편향되었다. 4. 선박의 궤적은 묘를 중심으로 하여 상태방위 186.1˚에서 194.2˚까지의 8.1˚ 폭 사이를 장반경 63m, 단반경 53m의 거리로 타원형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선위의 분포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상대방위 187˚, 거리 558m 지점이었고, 가장 낮은 점은 상대방위 194˚, 거리 556m의 지점이었다. 6. PRTK-GPS는 거리와 방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묘박에 요구되는 적정한 면적과 주묘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묘박의 감시에 매우 적절한 시스템이라 판단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