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AASP)과 우울(KDS)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 연구방법 :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과 우울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아동 어머니 90명(ADHD 아동 모 44명, 뇌성마비아동 모 46명)을 대상으로 감각 프로파일(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 : AASP)과 한국 우울증 검사(Korean Depression Scale : KDS)를 실시하였다.
◉ 결과 : 장애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에서는 감각등록 저하, 감각 민감성과 감각 회피는 평균의 점수 분포를 나타냈고 감각 찾기만이 평균이하(1표준편차)의 수준을 나타냈다. 장애유형별로 살펴보면 ADHD 아동 어머니는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 보다 감각등록 저하와 감각 회피 영역에서 점수가 높았고 이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또한 ADHD 아동 어머니가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 비해 우울감도 높게 나타났다. ADHD 아동 어머니의 감각처리능력과 우울감 비교에서는 감각등록 저하가 우울감과 관련성이 있었고,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에서는 감각 회피와 민감성이 우울감과 상관성이 있었다.
◉ 결론 : 우울이 감각처리능력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 유형에 대한 부모의 감각처리능력과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 기질 등과 같은 정신적 요인들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esame oil is a simple pressed oil as unrefined oil.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of roasting-expression, benzo(a)pyrene[B(a)P] formed as a strong carcinogenic substance is cause a social problem. In manufacturing process of sesame oil, it had following the forming pathway of benzo(a)pyrene[B(a)P] as well as minimizing plan of B(a)P formation. Suitable roasting condition by roaster was during 15~20min at 220℃, B(a)P content in sesame oil was 1.35~1.57μg/kg. Between roasting temperature and/or roastingtime and forming amount of B(a)P was showed a linear correlation. As a point of view the turbidity and yield of final product, roasting process of the more regular level was required.
이 논문은 한국이 캄보디아에 20년 상환의 유상원조 형태로 제공하는 ODA 자금 1,000만 달러를 활용해 건립하는 미곡종합처리장(RPC) 5기에 관한 비용-편익 분석을 제시한다. 할인율 12% 수준에서 RPC의 B/C 비율은 1.03으로 나타났으며, 순현재가치(NPV)는 519만 달러로 산출되었다. 내부수익률(IRR) 또한 18%로써 기준 할인율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RPC 건립지원 사업은 세 기준 모두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할인율 8%와 16%를 채택한 민감도분석에서도 경제성을 갖는 일관된 결론이 도출되었다.
목적 : 성인을 대상으로 강박증상과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지역의 대학생 326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부터 2010년 12월 까지 강박증상과 감각처리특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모즐리강박검사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강박증상과 감각처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특성에서 강박증상의 유무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전체 대상군에서 강박증상과 각 감각처리특성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456-.521, p<.05), 강박증상군에서는 강박증상과 감각처리의 등록 저하, 감각 예민, 감각 회피의 특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강박증상은 감각처리의 문제로 감각에 대해 예민하거나 회피하는 등 행동적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강박증에 대한 감각처리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가 필요하며, 이에 적절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1.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건물중은 콩, 환, 분말의 모든 원료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건물의 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진의 길이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진의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8시간 이후에는 그 증가치가 완만함을 보였다. 태광콩을 콩의 형태로 발효하였을 때 진의 생성이 가장 많았고, 분말을 1cm의 두께로 발효하였을때 진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3.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콩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모든 품종에서 비슷한 수준의 생균수가 측정되었다. 환 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12시간 이후에 생균수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 증가치가 완만해졌다. 분말형태로 발효시켰을 경우 시간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다. 4.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명도는 흑색에 가까워졌고, 색상과 채도의 경우는 각각 적색과 황색을 띠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5.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모든 원료 형태에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알칼리성으로 변화하였다. 6. 원료 형태별 청국장의 발효시간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48시간까지 isoflavone의 함량이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7. 청국장을 건조온도를 달리하여 균의 재생능력을 실험해본 결과 동결건조를 하였을 때 가장 많은 수의 균이 존재하였다. 8. 분말 또는 분말 (환)의 형태로 청국장을 만들 경우 종자 이용 시 보다 청국장의 품질이 떨어졌으며 분말 (환)을 이용하여 경제적인 청국장 제조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고려되어 진다.
Fecralloy is the promising materials for high temperature exhaust filtering system due to the excellent its oxidation resistance property. In this research, Fecralloy nanoparticles coated Fecralloy thin foil was prepared by a single nozzle electrospray system in order to increase surface area of Fecralloy foil. Fecralloy nanoparticles were fabricated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method in ethanol using Fecralloy wires as a source material. Electrospray modes with applied D.C voltages to Fecralloy colloidal solution were investigated to make a stable cone-jet mode. Coated layers with and without additional heat treatment were observed by 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ape test for evaluating their adhesion to substrate were performed as well.
The preparation of Y2O3-doped ZrO2 nanoparticles in Igepal CO-520/cyclohexane reverse micelle solutions is studied here. In this work, we synthesized nanosized Y2O3-doped ZrO2 powders in a reverse micelle process using aqueous ammonia as the precipitant. In this way, a hydroxide precursor was obtained from nitrate solutions dispersed in the nanosized aqueous domains of a microemulsion consisting of cyclohexane as the oil phase, with poly (oxyethylene) nonylphenylether (Igepal CO-520) as the non-ionic surfactant. The synthesized and calcined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thermogravimetry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A-DTA),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crystallite size was found to nearly identical with an increase in the water-to-surfactant (R) molar ratio. A FTIR analysis was carried to monitor the elimination of residual oil and surfactant phases from the microemulsion-derived precursor and the calcined powder. The averag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synthesized Y2O3-doped ZrO2 were below 5 nm and narrow, respectively. The TG-DTA analysis showed that the phase of the Y2O3-doped ZrO2 nanoparticles changes from the monoclinic phase to the tetragonal phase at temperatures close to 530˚C. The phase of the synthesized Y2O3-doped ZrO2 when heated to 600˚C was tetragonal ZrO2.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measuring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 or overall operation effectiveness (OOE) effectively. OE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KPI to measur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levels of an equipment-centric manufacturing company and widely implemented with a spreaded TPM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OEE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me-related KPI. For ease of measurement, OE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quantity of the processing materials and theoretical cycle time instead of using time-related sub-indicators. Hence, setting up theoretical cycle times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OEE measurement. Increasing customer's demand and developed manufacturing technology, more products can be made in a machine. So there will be multiple theoretical cycle times in a machine, but they have not been extensively considered for setting up theoretical cycle times in previous research. Futhermore the limitation to measure a performance of an operation which is consists of multiple machines is often mentioned i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shows how to measure OOE based on multiple theoretical cycle time.
Active calcium transport is carried out by calcium channel proteins, cytosolic buffering or transfer proteins, and pump proteins. Several components of this transport system have recently been determined using gene knockout (KO) models. The calbindin‐ D9k/28k and calbindin‐D9k/TRPV6 double KO mice were generated and reported that induction of expression of some duodenal calcium transport proteins can compensate for the CaBP‐9k gene deficiency. In CaBP‐9k KO mice, the levels of these hormones differ between the KO and wild‐type (WT) mice. The induction of TRPV6 in the duodenum was observed in adult KO male mice but induction was not modified by physiologic doses of 1,25(OH)2D3 and compensatory gene induction was not affected by PTH. Duodenal TRPV6 transcription in WT and female KO mice were modulated by 1,25(OH)2D3 in a dose‐dependent manner. Under calcium‐deficient dietary conditions, in DKO mice, serum calcium levels and bone length were decreased. The intestinal and renal expression of TRPV6 mRN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DKO mice fed a calcium‐deficient diet as compared to CaBP‐28k KO or WT mice, and DKO mice died after 4 weeks on a calcium‐deficient diet. Body weight,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ne length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mice fed a calcium and 1,25‐(OH) D3‐ eficient diet, as compared to a normal diet, and none of the mice survived more than 4 weeks. Using microarray analysis, NCKX3 was identified as a gene that w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kidneys of female and male mice. Although any hormones did not alter NCKX3 expression, however, aldosterone and hydrocortisone did down‐regulate renal NCKX3 expression in female mic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letions of CaBP‐9k and 28k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lcium processing under calcium‐deficient condition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dietary calcium and 1,25‐(OH)2D3 during growth and development
Public concern has recently increased over the potential risk of toxic elements emitted from anthropogenic sources. Among these, mercury has drawn special attention owing to its increasing level of bioaccumulation in the environment and in the food chain, with potential risks for human health.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research related to mercury control technology and identifies areas requiring addi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t critically reviews measured mercury emissions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promising control technologies, including catalytic oxidation, sorbent injection, photochemistry oxidation, and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Tin (IV) dioxide (SnO2)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potential scientific significance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SnO2 nanoparticles were prepared under low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via precipitation from a 0.1 M SnCl4·5H2O solution by slowly adding NH4OH while rapidly stirring the solution. SnO2 nanoparticles were obtained from the reac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130 to 250˚C during 6 h. The microstructure and phase of the synthesized tin oxide particles were studied using XRD and TEM analyses. The average crystalline sizes of the synthesized SnO2 particles were from 5 to 20 nm and they had a narrow distribution. The average crystalline size of the synthesized particles increased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The crystalline size of the synthesized tin oxide particle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pH value. The X-ray analysis showed that the synthesized particles were crystalline, and the SAED patterns also indicate that the synthesized SnO2 nanoparticles were crystalline. Furthermore, the morphology of the synthesized SnO2 nanoparticles was as a function of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effects of the synthesis parameters, such as the pH condition and reaction temperature, are also discussed.
대두에서 산패취를 발생시키는 lipoxygenase 효소를 비가열 전처리 방법인 초고압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초고압 처리에 의해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 감소에 의해 대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대두와 연해주 대두를 이용하여 저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국산 대두의 경우 초고압 처리에 의해 lipoxygenase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TBA값에 영향을 주는 자동산화 등의 화학반응에 의해 TBA값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연해주 대두의 경우에는 초고압 처리를 한 시료의 TBA값의 증가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해주 대두가 항산화 성분을 국산콩에 비하여 많이 포함하고 있어 초고압 처리에 의한 lipoxygenase 효소의 불활성과 함께 항산화 성분의 영향으로 TBA값의 저장 중 증가 정도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This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whether language anxiety differentially influences the extent to which two corrective feedback (CF) techniques of recasts and prompts affect the L2 learning process and its outcome. Four experimental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their anxiety level and the type of CF received during question recall tasks they completed: the high-anxiety recasts-receiving group, the low-anxiety recasts-receiving group, the high-anxiety prompts-receiving group, and the low-anxiety prompts-receiving group. Two high- and low-anxiety control groups were additionally formed, who did not engage in the tasks. Learners’ anxiety level was judged based on their responses to a language anxiety questionnaire. CF efficacy in processing L2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extent to which CF induced modified output and repair. Learners’ L2 knowledge was assessed at explicit and implicit levels on pretests, immediate posttests, and delayed posttests. Results revealed that language anxiety had no impact on prompts’ efficacy but displayed some influence on recasts’ efficacy. Recasts wer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repair and L2 explicit knowledge for low-anxiety learn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learner language anxiet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anxiety aroused by the way the tasks were implemented. The finding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both learner language anxiety and task anxiety in providing C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for three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juice, sugar, and agar powder for Yanggaeng prepared with mulberry juic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estimating the response surface, which demonstrated 16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mulberry juice, sugar and agar powder each?? The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est materials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al models.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Measurement result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r decrease?? in pH, sugar content, water content, viscosity, l-value, a-value, b-value,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cohesiveness. Also the sensory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ppearance, flavor, color, sweetness, texture, overall quality. As a result,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mulberry juice 41.99 g, sugar 90.00 g, agar powder 3.18 g.
본 연구의 목적은 방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과수농가 및 가로수의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살포거리가 60m까지 살포할 수 있는 살포기를 개발하고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성능실험 및 분석을 하는 것이다. 중소형 살포기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살포기의 이동거리는 5m 간격으로 0~20m까지 5개의 실험구를 두었고 살포거리는 10~60m까지 6개의 실험구 총 30개의 실험구에 대한 영상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소형 살포기가 이동하면서 흡수지에 살포한 데이터를 이치화 시킨 후 평균한 경우 전 구간에서 살포가 잘 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살포기가 정지하면서 살포량이 낮게 나타났다. 중소형 살포기가 0.3m/s로 이동하면서 살포 한 경우 15m 이동한 경우 살포기에서 30m 떨어진 용지에 이치화 값이 121로 가장 살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동거리별 이치화 비율은 중소형 살포기가 출발하면서 살포한 경우가 살포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치화 결과에 의해 전구간에서 일정한 분포율을 나타냈다. 높게 나온 구간은 방제기가 출발한 점에서는 20m에서 50.23%, 방제기가 5m이동한 20m구간에서 50.21%, 10m 이동한 경우는 30m 구간에서 51.17, 15m 이동한 경우는 30m 구간에서 52.64%, 방제기가 정지하면서 살포한 경우는 20m의 구간에서 51.84%로 높게 나타났다. 이동거리별 검정색 비율은 방제기로부터 40m까지의 거리까지 살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기가 15m 이동한 경우 60m의 구간에서 6.7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목적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을 일반아동과 비교하고, 감각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ADHD 아동과 감 각처리에 문제가 없는 ADHD 아동과의 불안수준을 비교함으로써 감각처리 능력이 불안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0월 4일부터 2011년 1월 14일까지 K시에 소재한 소아정신과 2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7~9세 아동과 K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보호자의 동의를 얻어 감각처리능력과 불안 설문 지를 실시하였다. 감각처리능력은 Short 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으며, 불안은 한국형 소아 상태 및 특성 불안 척도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총 150부를 방문 및 우편 배부하여, 102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 ADHD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감각처리에 어려움을 더 보였으며, 불안수준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아동의 성별, 연령, 유형에 따른 감각영역과 불안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성불안은 시각/청각 민감성, 활력부족/허약, 과소반응/특정자극 찾기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 시각/청각 민감성은 특성불 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태불안은 감각영역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각처리에 어려움 이 있는 ADHD 아동은 그렇지 않은 ADHD 아동보다 특성불안에서 불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 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과 불안은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으며, ADHD 아동의 감각처리 능력은 불안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ADHD 아동을 평가하고 치료할 때 감각처리와 불안간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