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61.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시간에 일어나는 따돌림 현상을 근거이론의 구조에 맞추어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그리고 결과를 아우르는 일련의 종합적인 상황을 통해서 체육 시간에 일어 나는 학교폭력의 양상이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의 관점에서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피해 학생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의 19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이 참여하였고 가해 학생의 입장은 체육 시간에 학교폭력 가해 학생을 지도해본 경험이 있는 1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개별 면담, 집단 초점 면담, 개인일지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결과: 피해 학생들은 친구들로부터 지속적인 배제 및 공격을 당했고, 이로 인한 많은 고통을 당했으며, 주위로부터 무관심과 적대감이 있었고, 그 결과 감정표출이 어렵고, 피해에 대한 외상적 반응을 보여 자존감이 파괴되고 피해 경험이 확대되었다. 한편 가해 학생들은 과거에도 가해 경험이 있었고, 화가 나있고 장래에 대한 목표가 없었으며, 가정불화를 많이 겪었고, 학교가 싫고, 그래서 학교 성취도도 낮았다. 이들은 공격성이 강하고, 환경에 대한 불평이 많고 부정적 감정처리가 미숙하였다. 이들은 또한 공감 능력이 부족 하고 장래에 대한 기대가 낮았다. 이들은 또한 분노 표출이 더욱 확대되고 인지적 왜곡이 심하여 발달 과정상 더 욱 부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갔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피해자와 가해자를 위한 예방전략이 필요하다.
        6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에서 학교폭력 가해학생으로 결정되어 강제전학 조치를 받은 가해학생이 전학 학교에서 재적응해가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자는 두 학교폭력 가해학생을 선정하여 그들이 학교폭력 가해로 인해 경험했던 강제전학과 새로운 학교에 재적응해가는 경험의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모습을 어떻게 그려가고 있으며, 그러한 경험이 그들이 처한 새로운 학교환경과 새로운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학교폭력 가해행위로 인해 강제전학하게 된 두 학생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현재 우리 학교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교 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전학 조치된 학생들이 새로운 학교 환경과 친구관계에 적응하지 못한 채 심리적 혼란과 갈등 속에서 학교생활을 이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 시기의 꿈을 꺾어가고 있었던 두 가해학생에 대한 이 내러티브 탐구는 이들과 같은 상황에 있거나 앞으로 유사한 처지에 처할 수 있는 학생들에 게 자신의 일상적 행동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6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employee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and how it influenc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is study explores if leader-member exchange can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thi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05 employees in Korean companies through a survey method and uses SPSS 18.0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 First,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s immersion, compulsion and assoc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Second, each phenomena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such as salience, compulsion and association decrease each relevan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Third, compulsion and assoc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lay the mediating roles between organizational politics and each relevant factors of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Finally, some of sub-factors of leader-member exchange decrease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immersion, compulsion and assoc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some of managerial implications to corporate executives who try to manage organizational attitude.
        64.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육현장의 교사가 학교폭력의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자신이 선택하고 수행 해왔던 교직의 가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자신의 교육방식과 행동에 대해서는 어떻게 반성하고 해석해가고 있는가에 대한 가해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학교 폭력의 예방과 문제해결의 전문가인 연구자는 학교폭력 사안처리에 대한 컨설팅의 과정 에서 만났던 두 가해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학교폭력 가해문제를 상담하 면서 수집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들이 교직생활을 통해서 가지고 있었던 교육방 식에 대한 입장과 학교폭력의 가해교사가 된 사건의 경험, 조기퇴직의 선택에 대한 이야 기,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바뀐 것과 바뀌지 않는 것 사이에서 경험하고 있는 갈등과 적 응에 대한 그들의 내러티브는 현재 학교폭력 문제를 둘러싼 법 규정으로 인해 나타난 사회적 인식, 학교현장의 교육주체인 교사의 인식, 그리고 그 객체인 학생의 인식들 간 에 나타나고 있는 갈등과 균형의 의미와 학교현장의 학교폭력 문제의 현상을 드러내주 고 있었다.
        65.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사가 학교폭력 관련 경험을 토대로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 중요하게 여긴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안 관련 유경험 교사 10명을 면접하고, CQR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예방, 대처, 추후관리 를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자신, 교내·외 교사 및 전문가 대상의 총 10개 영역이 도출되었다. 예방을 위해서는 학생에 대해 파악하는 것, 학생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부모와 소통 하며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 학급 대상으로 예방교육의 지속적 실시, 일상적 예방활동과 폭 력예측 학생 관리를 통한 비폭력 풍토조성 등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대처를 위해서는 학생 간 관계회복을 돕는 것, 학부모와 자녀성장에 초점을 둔 상담능력, 공식적 사안처리 및 적극적 태 도, 교내‧외 교사‧전문가와 협력‧연계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관리를 위해서는 교 사의 자기이해 및 관리, 전문성 개발 등을 중요하게 보았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의 역량강화 및 예비교사의 교육내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대상별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제시 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67.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폭력적 게임 이용이 청소년 도덕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회적인 우려가 사 실인지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통제, 자존감, 공격성과 같은 개인 내적 요인 들과 함께 폭력적 게임 유무에 따른 청소년들의 게임 이용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 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요인인 자존감과 자기통제는 도덕성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지 만 공격성은 도덕성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 폭력성, 비폭력성 여부와 무관하게 게임 이용 시간은 도덕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는 기존의 통념과 다르게 게임 이용 이 청소년의 도덕적 해이와 무관하다는 사실과 함께 게임이 단순히 폭력적인 성향을 띤다고 해 서 도덕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발리바르의 반폭력 개념에 나타난 기독교정치학적 함의를 다룬다. 후기 - 마르크스사상가로서 에티엔 발리바르는 탈근대사회에서 혁명적 폭력 이론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반폭력” 개념을 주창했으며, 그 실천과제로 “시빌리테의 정치”를 제시하였다. 이런 발리바르의 반폭력 개념은 비폭력과 대항폭력의 변증법적 대립 속에서 새로운 탈근대 정치를 모색하는 기독교 정치학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비폭력과 대항폭력의 중간 개념으로서 반폭력과 시민인륜을 앞세운 적극적 정치참여로서 시빌리테의 정치는 기독교가 평화주의를 추구하면서도 현실 사회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이론적 가치가 있다. 특별히 극단화된 폭력에 맞서기 위한 기독교 정치학적 전략으로서 주목할 요소가 있다. 그의 정치학은 존 하워드 요더와 같은 기존의 평화주의자의 입장을 넘어서서 탈근대적 기독교 정치학의 가능성을 암시해 준다. 아나뱁티스트 현실주의를 강조한 “기독교 정치학”에서 존 레데콥은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유연한 사고 속에서 제자도의 신념을 가지고 시민불복종과 같은 적극적인 정치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기독교적 반폭력 개념의 이론적 사례를 제시해 준다. 반폭력 개념은 비폭력 무저항주의의 한계를 넘어서 기독교의 사회참여를 긍정할 대안 논리로 작동할 수 있으며, 포스트모던사회에서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재조명해준다.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선 시민윤리를 기독교 윤리학에 접목시킬 수 있어 공적신학의 개념을 강화시켜 주는 정치학적 함의가 있다. 다만 반폭력이 마르크스 사회정치학적 개념이기 때문에 기독교 사상에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포함된 정치학적 전략은 기독교 정치학에서도 연구할 가치가 있다.
        6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폭력은 매우 오래된 현상이다. 1897년 Burk에 의한 학교폭력에 대한 최초의 연구“Teasing and Bullying”이후, 학교폭력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많은 사람들이 학교폭력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과학적인 연구 또한 수행되지 않았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구미 일부 지역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미국과 일본 등 선진 국가들에서 학교폭력에 대하여 관심이 비상하게 증가하였다. 나아가 2000년 이후부터는 학교폭력에 연구는 미디어에 대한 관심, 순수한 연구, 학교폭력 방지와 해결을 위한 정책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에 의해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연구는 정초기에 놓여 있으며, 평면적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이 연구는 설문조사에 바탕한 집합자료를 중심으로 학교폭력 방재를 위한 단초로 계량적 분석을 시도하여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70.
        2013.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폭력 가․피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 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향후 원예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또한 장기적인 원예프로그램뿐 아니라 학교와 연계된 가정에서의 원예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는데 원예활동이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이민정 등, 2012)
        71.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폭력성 게임 내에서 사실적인 묘사(선혈 색, 비명 소리, 일인칭 시점) 방식이 사용자 각성(arousal), 현존감(presence), 그리고 게임 내에서의 사건 장소에 대한 기억력(memory)에 미치는 영향력을 테스트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느끼는 현존감과 각성의 관계도 분석되었는데, 최신 3D 슈팅 게임인 CounterStrike를 변형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실적인 선혈(붉은색)과 소리(날카로운 비명)는 사용자의 경험 정도에 관계없이 각성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성 정도는 사용자의 현존감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현존감의 세부 요인인 관여도(engagement)는 기억력을 높이는데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각성과 기억력을 매개하는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일인칭 시점은 각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관여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74.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생활체육참여 정도관련 변인과 학교폭력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에 속해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 504명을 최종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생활체육참여 인원은 279명, 비 참여 인원은 225명이였다. 통계적 기법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생활체육참여 유무가 학교폭력행동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참가집단과 비 참가 집단에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체육참여 정도관련변인과 학교폭력 행동 및 학교생활적응 관계는 여러 참여 정도관련변인들과 부정적 또는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생활체육참여가 비참여자 보다 학교폭력은 부정적 관계가 있고 학교생활적응은 긍정적 관계가 있으며, 생활체육을 간헐적이라도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은 학교생활폭력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관계를 미치므로 스포츠센터에서의 규칙적인 생활체육참여가 아니라도 학생들에게 시간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는 교내의 점심시간, 방가 후 신체활동, 공휴일, 수업이 없는 2,4주의 토요일 그리고 일요일에 신체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도록 권고하고 제안한다.
        75.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참가에 따른 학교폭력과 기분상태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속해 있는 고등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집 된 표본 수 49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 최종적으로 이용된 연구 대상은 총 487명이며, 이중 스포츠 참가인원은 289명, 비 참가 인원은19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스포츠 참가에 따른 학교폭력과 기분상태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포츠 활동 참가에 따른 학교폭력 행동인 괴롭힘, 물리․신체적 폭력, 따돌림, 언어․심리적 폭력, 성폭력 등에서 스포츠 참가 집단이 비참가자보다 학교폭력 행동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참가에 따른 기분상태인 우울, 활력, 혼란, 피로에서 스포츠 비참가자 집단이 참가자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 행동인 따돌림, 언어․심리적 폭력 등이 심리적 특성인 우울, 활력, 혼란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활동이 학교 폭력 행동과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폭력의 행동이 기분상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76.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veloped a group horticultural therapy(HT) for battered women in Korea and tested its effectiveness. The activities in the HT were formatted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decrease the depression. The major finding was that the self-esteem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epression scores of the 12 battered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change in level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2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both family violence victims and assaulters are demanded to introduce the horticultural therapy activities actively.
        77.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운동선수의 폭력실태 및 괴롭힘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알아보고 폭력을 행사하는 가해자와 폭력을 당하는 피해자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는 것이었다. 또한 폭력과 괴롭힘 속에서도 운동을 지속하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청소년 운동 선수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 종목은 축구 와 농구, 야구 선수로 한정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피험자들에게 반 구조화된 인터뷰의 질의 내용을 녹취하여 선수들의 심리상태를 파악하였고 선수들에 대한 응답 내용은 질적 연구에서 사용하는 귀납적 요인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 운동선수들에게 가장 많은 물리적 언어적 폭력을 행사하는 대상은 `지도자`와 `선배집단`이었으며 `부모`도 언어적 폭력에서는 높은 빈도 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폭력과 괴롭힘을 경험한 청소년 운동선수의 심리적 반응은 가해자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되었으며, 폭력 가해자의 특성은 운동 집단에서 운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습관적으로 폭력을 행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해자의 특성은 자신에 대한 자아개념이 높고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표현할 때 집단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폭력과 괴롭힘 속에서도 운동을 지속하는 이유는 자신이 좋아서 운동을 계속한다가 가장 높은 빈도 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폭력행위는 청소년 운동 선수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폐해를 가져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폐해를 최소화하고 운동이 교육의 장으로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운동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행위에 대한 관심과 대책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