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대학에서 가장 많은 유학생 유치의 연계 유형은 중국 대학과의 연계 유형이다. 중국 대 학과의 연계유형은 두 가지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 A대학에서 둘째로 많은 것은 중국 고등학 교와의 연계 유형이다. 이 또한 두 가지 하위 유형이 있음을 확인했다. 중국 소재 고등학교 유학반이 A대학 입학 경로로서는 아직 크지 않지만 향후 늘어날 전망이다. A대학에서 셋째 로 많은 것은 중국 유학생이 개인적으로 결정하여 A대학에 진학하는 유형이다. 개별 학생과 의 면담 결과, 특히 편입생의 경우 개인적인 경로를 통해서 입학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 았다. 개인적인 경로에서는 친구의 권유가 A대학을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 다. 다시 말하면 지방 국립대학인 A대학을 선택하는 데는 인터넷이나 유학업체보다 신뢰할만 한 친구가 훨씬 중요했다. 마지막으로 A대학에서는 중국 전문대학과의 연계 유형은 없다. A 대학의 입장에서 중국 전문대학과의 연계 유형은 그다지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인과 중국인의 의견표명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체면 요 인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중국인은 사회주의 국가라 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오프라인에서의 의견표명 행위에 대해 스스로 제한을 두고 있다 는 점이다. 대신 한국에 비해 온라인에서는 누구보다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는데 적극적이었 다. 한중 구분을 두지 않았을 때, 온·오프라인 모두 중국의 남성 집단이 가장 강한 의견표명 의지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인이 비록 온라인에서 한국인 보다 자신의 의견을 외부로 나타내는데 더 적극적이지만, 만약 자신의 신분이 주변인에게 노출될 수 있음을 인지한다면, 자신의 의견표명 의지를 상당히 줄여버리고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인에 비해 중국인이 자신의 체면위협 행위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체면을 더 중시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연령이 적은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민감하게 작용하고, 연령이 많은 사람들은 불특정 다수의 시선에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체면을 매개변수로 하여 온·오프라인 상호관계에서의 그 매개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의 장소체면은 비록 그 변화 정도는 미미하나, 온라인 의견표명에 정적 (正的)영향을 주면서 ‘오프라인-온라인 의견표명’ 간의 상관관계를 일정부분 낮추고 있었다. 그리고 인물체면 역시 중국에서만이 온라인 의견표명에 부적(不的)영향을 주면서 ‘오프라인- 온라인 의견표명’ 간의 상관관계를 일정부분 떨어뜨리고 있었다.
대만학계의 중국해양사 연구는 모든 시대와 분야에 대해 고루 연구되었다기보다 연구인력 의 한계로 말미암아 명청시기와 같은 특정시대와 분야에 집중되었다. 특히 해양사연구의 대 세가 중국해양사에서 대만해양사로 바뀌면서 더욱 그러하다. 이 글에서는 주로 대만학계의 명청시기와 근대시기의 중국해양사 연구현황을 주요 저서와 『중국해양발전사논문집』에 실린 논문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 2장에서는 해양사연구의 출발을 알린 중앙연구원 의 『중국해양발전사논문집』을 소개하고, 3장과 4장에서는 명청시기와 근대시기의 중국해양사 연구성과를 해양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리할 것이다. 나오는 말에서는 대만학계의 해양사 연구에 대한 한 두 가지 특징을 언급할 것이다
공녀제도는 고려와 조선전기에 외적의 침략과 전쟁을 막기 위해 생긴 하나의 회유정책(懷 柔政策)이며, 한반도의 많은 여성들이 어쩔 수 없이 중국으로 끌려가게 된 제도이다. 비록 공 녀제도는 고려와 조선에게 수많은 고통을 안겨줬고, 많은 폐단(弊端)도 초래하였지만 중국으 로 간 공녀들에 의해 적지 않는 부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정치, 외교, 음식, 복식, 언어, 음악예술 등 많은 분야에서 공녀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지어 당시의 중 국에는 “고려양(高麗樣)”, “고려풍(高麗風)” 등의 신조어까지 생길 정도였다. 공녀제도는 한반 도의 역사에서 더 이상 언급하고 싶지 않는 고통의 상처이고, 조혼(早婚) 등 풍습까지 낳은 원인이었지만 이 제도로 인해 한반도의 의(衣), 식(食), 음악예술 등 다양한 문화가 중국에 전 파되고, 꽃을 피웠다. 이러한 맥락으로 볼 때 공녀는 고대 한반도의 다양한 문화를 중국으로 전파한 육교역할을 하였고, 고대 한류(韓流)의 주역으로 여겨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16세기 대표적 어휘 분류집인 『訓蒙字會』를 21세기 대표적 國家公認資格證인 한글어문회의 1급 한자 3500자를 비교하여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16세기와 21세기 상용한자가 어떻게 달라졌으며, 그 글자들의 의미범주는 어떻게 바뀌 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총 1,743개의 한자가 현재까지 공용자로 여전히 사용 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의미범주별 사용 한자는 조금씩 달랐는데, 예를 들면 곤충을 나타내 는 글자나, 채소, 질병을 나타내는 글자들은 16세기와는 현저히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유학이나 서식 등에 관한 글자는 여전히 현재까지도 자주 사용되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훈몽자회』의 어휘 분류는 당시 시대상을 많이 반영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천륜’에 노비들이 속한다든지, ‘인류’에 현대에는 없는 직업군이나 동서남북을 나 타내는 글자를 그 지역의 종족을 나타낸 의미를 해석한다든지 하는 것들은 당시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左傳』에 나타나는 禮는 사건의 해결 및 평가의 기준으로 제도의 영역과 사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제도 영역에는 祭儀를 동반한 五禮의 형태로 冠·婚·喪·祭 등의 祭儀 와 관련된 禮, 朝覲禮와 외교관계, 경제·법률 등을 포함한 생활 전반에 걸쳐 등급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계급과 권위의 상징이 되는 질서를 규정하는 기준이다. 그런가 하면 정치와 경제에 적용되는 규칙이며, 禮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규범의 정당성에 의거하여 만들어진 제도를 말 한다.
사상의 영역은 만물에 내재된 本體의 의미와 유사한 개념으로 體라고 하였으며, 德이라고 하였다. 德은 나라를 다스리는 힘이며, 德을 밝히는 것이 禮라고 하였다. 여기에는 仁義와 信, 忠, 孝, 秩序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禮는 중국 전통문화의 근원으로 중국문화를 이해하기 위 한 핵심 요소 중의 하나로 정신문화와 사회제도의 사상적 기반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친 제도이자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 경제의 발전은 세계 고등교육 시장의 국제화를 촉진하였고,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고등 교육 시장의 초과 공급으로 국내 대학뿐만 아니라 세계의 대학들이 세계의 학생들을 대 상으로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이러한 고등교육 시장의 국제화 배경 아래 2014년 在韓 외국인 유학생 수는 84,891명에 이르렀다. 그 중 중국 유학생이 한국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60% 정도를 차지하고, 한국 유학생 역시 최근 중국의 외국인 유학생 중 가 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한 중 양국은 교육서비스 무역에서 상당히 중요한 교역국이 다.
최근 세계 유학 시장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유학생들의 이동에서 권역 내 이동이 더 욱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런 의미에서 현재 중국은 한국의 최대의 유학생 송출국이기도 하면서 같은 권역 내 아시아 유학생 유치의 경쟁국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해 한 중 양국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 발전 및 주요 제도 중 장 학금제도, 의료보험제도 및 시간제 취업 취업제도를 중심으로 한 중 양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과 제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당대시인들은 언어의 “생소화”에 상당히 집착했다. 어법적 생소화가 바로 시어의 생소화 신드롬이 당대를 풍미한 이유는 시가 권력과 결합했기 때문이다. 당대의 궁정창화와 과거는 시와 권력이 결합한 “현장”이었다. 당대 초엽은 궁정창화가 시의 발전을 견인했고, “以詩取 士”가 확정된 중엽부터는 과거가 시의 번영을 강력하게 추동했다. 응시자의 신분제한이 철폐 되면서 시인층도 엄청나게 불어났기 때문에 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시의 경쟁은 번영 을 낳았다. 시어의 생소화는 번영의 단면이다. 당시의 어법적 생소화는 주로 근체시에서 목도 된다. 특히 근체시에서 가장 미학적 연이라고 일컬어지는 2연과 3연에 나타난다. 어순의 도치 와 문장성분의 생략은 생소화의 전략이다. 어법적 도치는 앞으로 환위된 요소들이 전경화 효 과를 가진다. 문장성분의 생략은 독자의 상상력이 다양하게 작동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시 정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고는 한중일 고전 문학 작품 속 여성의 꿈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고, 그 꿈의 의미와 그 속에 반영된 당시의 여성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여성들의 내면에 억눌려져 있었던 사 랑받고 싶은 욕구와 질투의 감정들이 꿈을 통해 발산된 ‘내부발산형’의 꿈이 있고, 여기서 꿈 은 이러한 욕구를 표현하는 공간으로 묘사되어 있다. 다음은 꿈을 통해 미래 혹은 운명을 예 지하고, 여성들이 이를 수용하는 ‘외부수용형’의 꿈이 있다. 정절과 의리를 지킨 ‘열녀’, ‘현모 양처’들에게는 ‘길몽’으로, 한편 질투, 음행등의 악행을 저지른 ‘악녀’들에게는 참혹한 ‘흉몽’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내적인 자아와 외부의 초현실적인 존재 또는 현상 들이 서로 교감 및 교류하는 ‘상호작용형’의 꿈은 여성들에게 문제해결의 열쇠를 주며, 한편 자기반성과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당시 여성들의 꿈은 억압적인 사회 제도하에서 자 신의 내면의 욕구를 분출하는 해소의 장(場)이기도 하면서, 예지의 목소리이기도 하였다. 또 한 수동적인 수용에 그치지 않고,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동력이었음도 알 수 있었다.
『西字奇蹟』은 마테오 리치에 의해 작성되고 1605년에 간행된 문서이며 한자에 대한 로마 자 발음 표기가 실려 있다. 로마자 발음 표기는 명대 말기의 중국어 음운 체계에 관한 정보 를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 로마자 발음 표기를 분석하여 명대 말기의 중국어 성모 체계의 특징을 살펴 보려고 하였다. 첫째, 탁음의 청화와 송기음화, 非敷奉母의 합류, 微 母 일부 글자들의 영성모화, 疑母의 일부 글자들의 영성모화와 影母, 喩母와의 합류, 知組와 章組의 합류, 莊組는 精組의 합류, er 음절의 변화 등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은 2음절 형용사의 중첩 형태인 AXAB에 해당하는 한국어 A디AB와 중국어 A里A B의 형태, 의미, 통사적 특징을 비교한다. 한국어 A디AB식 중첩어는 시각형용사, 특히 색채 형용사의 중첩이 생산적이며, 주로 관형어로 많이 쓰인다. 중국어 A里AB식 중첩어는 부정적 인 의미의 형용사가 중첩되기 때문에 매우 특이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A里AB식 어휘의 기원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부사어로 많이 쓰인다. 이러한 AXAB식 중첩은 대부분의 알타이 어에 보이는 중첩 방식이다.
Reduplication is a important way to coumpound words. The two kinds of redupli cation in the Chinese and Korean. are namely morphological reduplication and pho nological reduplication. These two kinds of reduplications does not affect each oth er. Reduplication can be divided into total reduplication and partial reduplication, it 's found in every language,samely existent both in Chines and Korean. As well kn own, Korean basic word order has agglutinatiing languages, partial reduplication ha s a number of ways, but Chinese basic word order has isolating languages, redupli cation is very simple. senses of nouns reduplication includes plurality and distributi on. senses of verbs reduplication include continuity and repeat, senses of adjects r eduplication include affecton and derogatorysence/contempt. Other than the senses of adjects and adverbs reduplication include intensity. However, more attention sho uld be paid that partial reduplications comes from total reduplications.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nsiders Modality as the speaker’s attitude betwe en “yes” and “no”. Based on this, we discuss the Chinese modality system. First, we review what has been done on Chinese modals by the previous researchers. Then, we introduce Halliday’s modality system in English to establish a Chinese modality system and analy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typical modal verbs to point out the negotiation of Chinese modality.
현대중국어의 단모음은 전설고모음, 후설고모음, 저모음의 세 개 극점, 즉 삼극(三極) 체계 를 형성하며, 전설고모음인 /i/와 /y/, 후설고모음인 /u/, 저모음인 /A/ 등 네 개가 있다. 이들 은 강약, 장단 등에 의한 지렛대의 원리로 음운의 고저가 도출된다. 단모음뿐 아니라 복모음 도 강약, 장단, 개구도에 따른 음의 변화 등으로 지렛대 원리를 확장하여 음의 고저, 즉 성조 를 도출하고 있으며 이를 교학에 응용-강약 활용하기, 모음 길게 말하기, 변화 크게 하기 등 -하면 효율적인 CSL(Chinese as a Second Language)의 교학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단모음은 입술 모양이 변하지 않아야 하는데 중모음인 /ə/와 /o/는 발음의 시작 부분에서 약한 고모음을 연결 지렛목으로 활용하여 입술모양이 변하는 2차 조음을 형성하므로 복모음 에 속한다. /ɚ/도 모음과 자음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단운모(單韻母)에 속한다고 볼 수는 있지 만 단모음으로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중국 다롄(大连) 도시가구의 주택금융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로 다롄 도시가구의 주택금융 이용실태에 관한 분석과 함께 베이징(北京) 지역 도시가구의 모기지 대출 행위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다롄의 표본조사 대상 가구 중에서 대출을 받은 가구의 비율이 총 75%로 나타나 베이징 지역의 모기지론 대출이용가구 비율보다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롄 도시가구의 모기지 대출 진행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변수로 ‘구매 주택 유형’, ‘주택 가격’, ‘주택공적금 가입여부’로 추정되었고, 베이징 지역과 공통적으로 추정되는 변수로는 ‘주택 가격’, ‘주택공적금 가입여부’로 나타났다. 다롄 지역의 모기지 대출 가구의 모기지대출금 비중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 중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변수로는 ‘구매 주택 유형’과 ‘주택공적금 가입여부’로 추정되었다.
Wenzhou, as well-known city as the most civil-led economy in China, had faced the economic difficulty since 2010 due to private-lending problems and industrial upgrade issues. Especially, private-lending with extremely high interest, which had prevailed among most citizen and small and medium company, led Wenzhou economy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2011, Chinese government decided to designate Wenzhou as ‘Specialized District for Financial Reform’ in order to overcome ‘Wenzhou Private-Lending crisis’. During three years from Government’s decision, Wenzhou have performed most of the action plans according to ‘Financial Reform 12 Article’. Wenzhou’s financial reform influenced other cities in China to normalize the private lending system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financial law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in China. In March 2015, Wenzhou also declared to start ‘New Financial Reform’ to implement its policy for financial reform continuously.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enzhou’s financial reform will be one of the barometers to decide the Government-led Financial reform in the future.
Between the 3rd century and the 5th century, Murong Hsien-pias established several regimes successively which were Former Yan, Later Yan, Northern Yan, Western Yan and Southern Yan. The Several Yans of Murong located in the area of Northeast with Koguryo. They all wanted to change over to new ways and had many conflicts. At the end of Later Yan, the dominance of Murong was extravagant and dissipated, the domination made the masses have no means to live. In 407 A.D., Feng Ba who was the officer of Later Yan made the opportunity which was Murong Xi attended the funeral procession for Litter Funv would kill Murong Xi and then crown Murong Yun (primitive name is Gao Yun, Koguryo) as the king of Yan, who was the foster son of Murong Bao. It was called Northern Yan by historians.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benefit, they maintaine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Northern Yan. When Northern Wei was fight with Northern Yan, Koguryo protected and rescued Feng Hong who was the king of Northern Yan. Koguryo also arrange Feng Hong for the area of Liao Dong and maintained the status of the king of Northern Yan. Afterwards, Feng Hong insulted the king of Koguryo, he would go to Southern Dynasty and then he was killed by the king of Changshou Koguryo, in order to remit strained the relation between Koguryo and Northern Wei,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Northern Wei were collapsed. All the people of Northern Yan belonged to Koguryo, the national power of Koguryo was replenished much more. With the extinction of Northern Yan, the king of Changshou Koguryo carried out the flexible foreign policies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t made Koguryo sustain the status of powerful state in the northern eastern areas.
본고는 국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 중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사설교육업체, 국외기관, 대학 전공과정에서 운영하고 있는 양성과정을 전반적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각 교육기관의 양성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교육과정’과 ‘자격인증평가의 비체계성’으로 압축하였다. 어린이 중국어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확보 및 자격증의 대외공신력을 높이기 위해서 앞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어린이 언어교육 이론’, ‘어린이 중국어 지도 실기’, ‘현장 실습’이 체계적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의 설계와 교육기관 간 자격증 협의체를 구성하여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평가를 개발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