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ns are cell membrane glycoproteins that recognize specific glycoconjugate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cells. Then, selectins adjust cell-cell interactions that are important in inflammation, hemostasis and cancer metastasis. Selectins mediate leukocyte calls to move into the site of inflamma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activated endothelial cells or endogenous selectin ligands expressed in high endothelial venules. Types of selectins are divided into L-selectin, E-selectin and P-selectin, which are called to CD62L, CD62E, and CD62P, respectively. Each selectin is composed of four regions; the C-type lectin region of N-terminal,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region, the intracellular C-terminal region, and the hydrophobic transmembrane region. They have similar structures but differ in their binding specificities and tissue distributions. The selectin family commonly recognizes the sialyl Lewis X (sLeX) on carbohydrate structures. Although biological ligands bound to each selecti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commonly bind to P-selectin glycoprotein ligand-1 (PSGL-1) ligand. The PSGL-1 ligand is a glycoprotein promoting cell adhesion in inflammatory responses. If the absence of selectins and their ligands in humans and animals are, should lead to persistent infections and diseases. Selectin family must be considered as a key subject for drug discovery since they have various functions depending on the ligand which they bind to.
본 연구는 상업용 사료첨가제 생균제의 제품정보 조사와 미생물학적 평가를 통해 제품개선방안을 모 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업용 생균제는 무작위로 수집하여 표기균주 및 보증균수 조사, 실제 제품의 생균수 및 우점균주 평가, 유통기한 변화에 따른 품질평가, 항생제 내성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제품에 표기된 보증 생균수는 평균 6.98 log10 cfu/g, 혼합된 미생물은 평균 2.37개, 주요 미생물은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Lactobacillus acidophilus, L. plantarum으로 조사되었다. 실제 제품 분석결과 생균수와 표기균주 모두 일치한 제품은 22.22%, 불일치 제품은 24.44%로 분석되었으며 주로 검출된 미생물은 S. cerevisiae, B. amyloliquefaciens, B. licheniformis, Enterococcus faecium 으로 나타나 표기정보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항생제 감수성 평가결과 클로람페니콜에 대해 저항성이 가장 높았으며 암피실린에 민감성이 가장 높았다. 상업용 생균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자체 품질관리 강화와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하며 제품의 신뢰성 회복을 위한 효과검증 및 안전성평가에 대해 관리기관의 지속적인 제품 모니터링 및 규정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반려견 펜션은 사업주의 경험과 직관에 의지해 반려견 놀이터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보편적인 시설은 반려견 운동장, 수영장, 샤워장이며 사람 위주 시설로 운영되는 곳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 펜션의 이용자들이 펜션의 일반적 선택속성이 아니라 반려견 놀이터를 중심으로 펜션을 선택한다는 것을 규명하고, 반려견과 보호자의 특성이 시설 선택속성 중요도에 영향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1) 반려견 펜션의 일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고, 2) 반려견 펜션의 반려견 놀이터 시설 선택속성이 추출되었으며, 3) 반려견의 특성에 따른 시설 선택속성 중요도를 규명하였다. 또한 4) 반려견 보호자들의 특성이 반려견 놀이터 시설의 선택에 영향하는지, 5) 천연 / 인조 잔디 및 산책로 포장에 중요도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적지적수 판단에 있어 최근 분류 예측에 활용되고 있는 랜덤포레스트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즉, 수종별 조림 적지 판단에 있어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소개하고 적지적수 도를 작성하여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그 결과 랜덤포레스트 기법의 예측 정확도는 낙엽송 89.29%, 편백 73.89%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변수 중요도는 두 개의 수종 모두 표고, 경사, 방위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형, 토성, 토양형이 낮은 영향력을 보였다. 적지적수도 작성 결과, 낙엽송은 경상남도 중부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이 가능지와 적지로 나타났으며, 편백은 경상남도의 북동부 지역이 적지로 나타났다. 랜덤포레스트 기법은 적지적수도 작성뿐만 아니라 산림 분야에서 적용되어 왔던 다양한 형태의 분류 및 예측 연구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공원은 아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중요한 장소이나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급을 부여받은 공원 중 어린이공원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의 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2018년도 서울시 내 안전도 C등 급과 A등급을 부여받은 어린이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관련 논문과 문헌을 통해 CPTED 개념과 도시 범죄특성을 고찰하고 국내외 CPTED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고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CPTED 체크리스트, 이용자 행태조사,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을 같이 분석하고 종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 공원의 안전도에 있어 CPTED와 공원이 위치한 지역의 시설환경 둘 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공원을 계획하고 조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도서지역의 산림관리 정책은 산림청 및 관할 지자체별로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산림 및 산림관리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또한 도서정책 관리부서의 다원화로 실질적인 도서지역의 산림생태계 보전·관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덕적군도 방문객을 대상으로 도서지역의 산림자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도서지역 산림의 보전·관리 및 이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방문 행태, 산림자원 활성화 사업에 따른 추가 방문 의사, 산림의 역할에 대한 평가, 산림에 대한 만족도 등에 대해 방문객 70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덕적군도 방문객들은 산림 역할에 대해 산림에 다양한 수목이 잘 갖추어져 있고(3.96), 자연이 잘 보전되어 있으며(4.15),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고(4.23) 있지만 상대적으로 산림환경·생태교육 기회 제공(3.69)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3.71)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지역의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종합산림계획 수립 등 도서지역 산림관리 정책 방안 마련을 기대한다.
『인자수지』는 명(明)나라 때 간행된 중국의 풍수문헌인데 기존의 풍수지리 문헌과 유학경전 등을 바탕으로, 풍수지리 내용을 4대 주제로 재구성하였다. 『인자수지』는 자연의 지형지세를 풍수지리 구도로 설명하였고, 풍수지리 용어, 실제 활용 사례, 길흉의 형상 등을 자세히 설명한 풍수지리 종합안내서이다. 『인자수지』는 다양한 그림을 덧붙여 풍수지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풍수지리의 저변 확대에 공헌하였다. 『인자수지』의 용혈사수 주제 구성은 이후의 전문 풍수서들이 더욱 체계적으로 저술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인자수지』의 영향으로 『탁옥부』가 저술 되었고 『탁옥부』는 조선시대 과거시험 과목이 되었다. 『인자수지』의 원래 명칭은 『인자수지자효지리심학통종(人子須知資孝地理心 學統宗)』이며, 1564년에 세상에 나왔고, 1583년에 초간본을 교정한 중간본이 간행되었다. 중국의 『인자수지』는 대부분 39권이다. 『인자수지』는 저술 100여 년 후 조선에도 전해져, 풍수학습 필독서로 간주되었다. 조선시대의 『인자수지』는 내용을 더욱 세분하여 47권으로 간행되었고, 음양묘용과 만년도를 포함한 53권 판본도 있다. 일부 판각은 현재 고려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인자수지』는 형기론을 위주로 이기론과 택일도 중시하였다. 책 전반에 걸쳐 기의 유기적 속성을 강조하였고, 개인과 국가의 미래는 풍수지리의 정확한 활용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인자수지』는 전통문화에 대한 법고창신의 자세로 저술되었고 지식의 공유를 진작부터 실천한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국유림경영제도 중 하나인 공동산림사업의 실태분석을 위해 참여형 산림관리 원칙인 이해 관계자의 참여, 의사결정의 투명성, 행위자와 이해관계자의 책무성을 이용하여 공동산림사업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Likert 5점 척도와 기입식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해관계 자 참여(10문항) 항목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는 기회제공이 평균 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분쟁 및 갈등 해결 구조 구축이 2.3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투명성(7문항)은 사업에 대한 정보공개가 3.4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보공유, 교육·홍보활동이 2.7점으로 분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책무성(7문항)에서는 공동사업수행자의 자세한 역할규명 여부가 3.3점, 다양한 이해 관계자와 함께 사업에 대한 내·외부 모니터링 및 평가 여부가 2.7점으로 분석되었다. 참여형 산림관리 지표를 통해 분석된 본 연구결과는 추후 국유림 참여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노인의 공원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이 공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근린공원에서 수집된 총 290 부의 설문을 토대로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다. 공원이용 행태 분석 결과, 응답한 노인들의 43.4%가 ‘걷기 또는 산책’을 위해 공원을 방문하였으며, 응답자의 50%는 주 5회 이상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공원이용 시간은 2시간 내외가 대부분이었으며, 공원까지 이동수단은 보행이, 공원까지의 평균 이동거리는 15분 이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등의 항목이 4점 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에 대한 인식이 3.2점 이하로 낮게 평가되었다. 공원만족도와 공원환경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5개 요인이 모두 유의수준 1% 이내에서 공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이용쾌적성’, ‘시설적합성’, ‘이용편의성’의 영향성이 타 요인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향후 신규 노인공원 조성 또는 노인거주 중심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등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바마 정부는 2013년 2월 20일 ‘영업비밀절도 완화를 위한 행정부 전략(Administrative Strategy on Mitigating the Theft of U.S. trade Secrets)’을 발표하였다. 이 전략은 영업비밀 해외유출, 사이버침해의 위험성을 매우 심각하게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방정부차원의 대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6년 영업비밀방어법(DTSA: Defend Trade Secrets Act of 2016)을 제정해 공포했다. 영업비밀절도 감소를 위해 오바마 대통령과 미국정부가 영업비밀보호 특히, 해외유 출방지를 위한 전략을 지속적으로 펼쳐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조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이 논문은 미국의 영업비밀방어법(DTSA) 제정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고 법제도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미국의 영업비밀침해 대응 배경에는 1) 지식재산 역할의 중요성 증가, 산업스파이로 인한 국부유출 심각성, 3)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피해, 4) 산업스파이로 인한 2차적 피해, 5)산업스파이가 미국 안보를 위협, 6) 세계산업스파이 먹잇감이 된 미국 심각한 위협 인식 등이 있었다. 미국 영업비밀방어법의 법제도 주요내용은 크게 1) 연방법원의 영업비 밀절도 관할권 신설, 2)일방적 민사압류 명령 도입, 3) 일방적 민사압류 로 인한 피해 구제 방법들, 4)소멸시효, 5) 영업비밀 공개 및 도용의 개념정의 개정, 6) 영업비밀절도 벌금 대폭 상향, 7) 영업비밀보유자의 권리 신설, 그리고 연방정부 차원의 대산업스파이 법집행 정책 강화 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법적 및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1) 영업비밀도용에 대한 민사압류명령 도입 검토, 2)국회의 대산업스파이 법집행 정책통제 강화, 3) 대산업스파이 정책의 균형적 추진, 4) 모범사례 개발 및 보급, 5) 공익신고 보호 명문화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가선집재 작업 현장 실태에 대한 사례 조사를 통해 작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집재 작업의 설계와 가선 설치의 공학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로 인해 손실되는 생산성과 증가되는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가선집재 설계 시 현장의 지형적 입지여건과 공학적 안전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대부분 가선의 처짐(deflection)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로 인해 시간 당 생산성이 최대 65%까지 감소하고, 집재비용이 2배 이상 증가되어 전반적인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에서 가선집재 작업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작업 안전과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가선의 설치와 장비의 운용, 불필요한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 는 현장 기술의 보급이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mong Educational Technology (Edtech) students of Philippine Normal University Visayas. Descriptive method was used. A total of 95 respondents participated, 27 were males and 68 were females. The statistics used were: frequency, percentage weighted mean, and rank. The top three uses of social networking in the personal life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rank are: 1) to connect with people, 2) to do research, and 3) to e-mail people. With regard to its use in their academic life, the top three are: 1) to do research, 2) to e-mail, and 3) to connect with people. The social networking sites which ranked number one as being used by the respondents are Google for research, Yahoo for e-mail, Facebook for connecting with people and OLX for purchasing. The study disclosed that the respondents “agree” with the benefits of social networking. It was conclud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there are social networking sites used to a high extent by the respondents. However, they are limited only to Facebook, Google and Yahoo. The foremost use of social networking is for researching, chatting and messaging and uploading and downloading. Furtherm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respondents are aware that social networking has both benefits and risks. The researcher recommends the following: the students should be given trainings and workshops on the effective use of social networking; the teachers should monitor the social networking done by their students for purposes of proper guidance and information.
본 연구는 군 장병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을 새로운 분석의 틀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장병 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자료는 2000년에서 2018년까지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14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요인 분류는 외적 원인과 내적 원인으로 구분하고 외적 원인은 다시 군 내부요인과 군 외부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내적 원인은 개인적 요인으로 한정하여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스트레스 요인별 대처방안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 대처방안으로 분류하였다. 스트레스 요인의 빈도는 군 내부요인, 군 외부요인, 개인적 요인 순으로 높았다. 군 내부요인으로는 직무가 제일 높았고, 다음으로는 관계, 역할, 상급자 태도 등의 어려움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부대 환경과 계급, 마지막으로 생활관 분위기와 부대행정이었다. 군 외부요인으로는 이성과 가정문제가 동일하게 높았으며 다음이 진로와 친구문제였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분노/적대감과 자존감/우울이 욕구/가치관과 개성/통제력보다 높았다.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45건이 제시되었으며 군 내부요인 관련 대처방안이 27개, 군 내·외부 요인 관련 공통 대처방안이 8개, 개인요인이 6개, 군 외부요인이 4개 순이었다. 소프트웨어적 요소의 대처방안으로는 스트레스 관련 교육의 강화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관련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활용, 전문 인력 배치, 자유시간 보장, 직무여건 마련, 선진병영 추진 순이었다. 하드웨어적 요소의 대처방안으로는 환경 및 시설 개선과 다양한 공간구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