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서 장소는 단순한 물리적 배경일 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진행과 내러티브에 묘사된 캐릭터의 심리와 극적 상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소와 내러티브, 캐릭터는 각각 독립된 존재로만 기능하지 않고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영화에서 장소가 내러 티브와 캐릭터에 영향을 준 다양한 사례들을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구체 적으로 ‘장소와 내러티브’, ‘장소와 캐릭터’ 두 부분으로 카테고리를 세분 화하여 장소가 내러티브 및 캐릭터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 다. 연구 결과 장소의 건축적인 요소나 대도구 및 장식품들은 독특한 장 소감을 만드는데, 이는 분위기 조성, 문화적 대비, 물리적 특성, 상징과 은유 등으로 내러티브를 발전시키며 캐릭터의 감정 몰입을 돕는다.
본 연구는 축산시설 내 설치된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배기 방향 및 유량 변화를 통해 벽체에 전달되는 일사를 차단, 이를 통한 냉방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의 기초 연구로서 무창기공형 집열기 시험장치를 제작, 배기 유량 변화에 따른 위치별 온도 변화 및 이를 통한 열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유량조건별 집열판 표면온도는 최고 27.7℃, 배기온도는 최고 약 10.9℃ 온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유량조건별 열교환 유효도는 0.48∼0.62, 효율은 30%∼90%의 분포로 나타났다. 집열판 에너지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 집열기 내부 에너지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시설 외벽에 설치된 무창기공형 집열기의 여름철 미운용으로 인한 집열판 및 내부 온도상승과 이로 인한 벽체로의 열전달 등 무창기공형 집열기로 인한 역효과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열기 외부로의 강제 배기를 통해 벽체로 직접 투입되는 일사 차단을 통한 냉방효과 또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임신과금구결(六壬神課金口訣)의 저자는 전국시대 제나라의 손빈(孫臏) 이다. 이 문헌이 역관에 의해 조선후기에 우리나라로 전래된 이후 장서각, 규 장각, 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전국 수십 곳의 학술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지만 이 문헌의 성격과 이론체계가 학계에서 논의된 적이 없어 두터운 장 막에 가려져 있다. 이 글에서 금구결의 이론체계와 그 성격을 대육임과 비교하면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육임과 금구결 모두 인사(人事)의 길흉을 예측 하는 학문이다. 둘째, 대육임에서는 천지반도와 과전도라는 2개의 식(式)을 만 들어서 길흉을 예측하고, 금구결에서는 사위(四位) 구조의 1개의 식(式)을 만들어서 길흉을 예측한다. 셋째, 대육임의 식(式)은 지반·천반·둔반의 3층 구 조이고, 금구결은 지분(地分)· 월장(月將)·귀신(貴神)·인원(人元)의 4층 구조이 다. 넷째, 월장을 대육임에서는 12중기와 육합하는 12지를 사용하고, 금구결 에서는 12절기와 육합하는 12지를 사용한다. 다만 이 글에서는 금구결 이론 이 인사에 적용되는 방법을 논하지 못하였다.
Ischemic stroke is a high mortality disease that causes irreversible damage. Chlorogenic acid is a polyphenolic substance with neuroprotective properties. Bcl-2 family proteins perform a critical role in apoptosis process. Bcl-2 and Bcl-xL are anti-apoptotic proteins that prevent cell death, and Bax and Bad are pro-apoptotic proteins that promote apoptosis. We investigated whether chlorogenic acid modulates Bcl-2 family proteins during focal cerebral ischemia. We made a rat model of ischemic stroke by performing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Chlorogenic acid (30 mg/kg) or phosphate-buffered saline was treated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2 hr before MCAO. Neurological behavioral tests were performed 24 hr after MCAO damage and cortical tissues were collected. Reverse transcription-PCR, Western blot,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ere performed to observe changes in Bcl-2 family proteins expression. MCAO-damage induced neurobehavioral disorders and chlorogenic acid alleviate these deficits. Bcl-2 and Bcl-xL expressions were decreased and Bax and Bad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MCAO animals. However, chlorogenic acid treatment attenuated the decrease of Bcl-2 and Bcl-xL and the increase of Bad and Bax due to MCAO surgery. Moreover, chlorogenic acid treatment attenuated MCAO-induced upregulation of caspase-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lorogenic acid exerts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MCAO damage by regulating Bcl-2 family proteins including Bcl-2, Bcl-xL, Bax, and Bad.
본 연구는 한국 비례대표제의 변화 과정을 통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검토하면서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나는 정당의 공천 과정 과 선거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비례대표제는 지역구에 기반한 제1당 우 선적 배분 방식에서 시작해 지역구에 기반한 병립형 비례대표제, 1인 2표 정당명부식 병립형 비례대표제, 1인 2표 정당명부식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변화하였다.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를 위한 후보의 공천 과정은 절 차적으로는 정당성과 투명성에 기반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각 정 당이 영입한 인사를 공천하는 한계를 보였다.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 거 결과는 유력한 여야의 위성정당이 전체의석의 69.57%를 차지하였고, 지 역구 후보를 공천하지 않은 더불어민주연합과 국민의미래, 조국혁신당이 전 체의석의 95.65%를 차지하였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의 이해관계에 따라 제도적으로 오용됨으로 비례대표 정당의 지역구 공천 하한선을 도입하 고, 대표성을 위해 연령별로 최소할당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의 식생복원을 위해 조림된 편백을 대상으로 토양개량제의 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07년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에 모두베기 후 조림된 8년생 편백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4년 동안 목탄과 톱밥을 두 수준의 복합비료 (N6:P4:K1, N3:P4:K1)에 혼합 처리한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무시비구(대조구)를 대상으로 임목 생장, 토양 및 잎 양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흉고직경 또는 수고 생장량과 측정시기에 대한 선형회귀식의 회귀계수(slope)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Biomass 증가량은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의 회귀계수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복합비료의 시비 수준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EC를 제외한 토양 호흡, 토양온도, 토양수분 함량, 토양 pH는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및 시비 수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 중 유기탄소와 전질소 농도는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나, 유효 인, 교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은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잎의 질소 및 인 농도는 토양개량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칼륨과 마그네슘 농도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식생복원을 위한 편백 조림지에 토양개량제 처리는 양분 유효도의 향상 및 조림목의 바이오매스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arrageenan (CGN) as an oral immune adjuvant. During the initial research, the inadvertent shallow insertion of an oral gavage needle confirmed CGN’s effect as an adjuvant for esophageal immunization. However, in oral immunization, antibody formation was not observed regardless of CGN’s presence or absence as an adjuvant. Conversely, when bovine serum albumin (used as an antigen) was introduced into the esophagus along with CGN, it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antigen-specific IgG. An exploration was conducted to ascertain whether CGN’s adjuvant effects were associated with prolonging the antigen’s residence time in the esophagus. Upon introducing the antigen into the esophagus without CGN, it was undetectable at two minutes post-introduction. Conversely, when administered with CGN, the antigen remained detectable in the esophagus for up to five minutes post-introduction. To investigate whether this immune response was elicited through mucosal immune mechanisms in the esophagus, the production of IgA, a representative immunoglobulin of mucosal immunity, was assessed. Following esophageal immunization with CGN as an adjuvant, total IgG, IgG1, and IgG2a were detected in serum, while IgA was not detec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der specific conditions, the esophagus may serve as a site for initiating a novel immune response.
Antimicrobial resistance significantly threatens human and animal health globally, with considerable mortality and economic imp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timicrobial usage in small animal clinics in South Korea,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trends in prescriptions for therapeutic and preventiv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2 small animal clinics that were analyzed for antimicrobial prescriptions from 2018–2020. A comprehensive dataset was used, including patient signalment, clinical notes, and prescription details,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antimicrobials (93.1%) were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with a smaller portion (6.9%) used for preventive measures, such as surgery. High prescription rates were observed for the treatment of cutaneous and otological diseases, which may reflect common diseases in companion animals. The study highlighted a higher prescription rate for adult age groups, possibly because of the higher prevalence in those group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common prescription patterns in veterinary practice and underscores the need for more stringent antimicrobial stewardship to curb the ris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his suggests that ongoing surveillance and education on appropriate antimicrobial use are crucial for optimizing treatment outcomes and minimizing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2000년 삼척산불지역의 복원유형별 식생구조와 종다양도를 파악하여 복원의 효과를 정략적으로 평가하고자 영구조사지를 대상으로 매목조사와 군집분류를 수행하였다. 조사구 26개소를 대상으로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분류한 결과, 소나무 군집(군집Ⅰ), 신갈나무 군집(군집 Ⅱ) 및 굴참나무 군집(군집 Ⅲ)으로 분류되었다. 군집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군집 I은 혼효림으로서 천이가 예상되며, 군집 II는 신갈나무 군집으로 군집 Ⅲ은 굴참나무 군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군집 간 유사도지수는 49.46% ∼ 70.69%이며, 종다양도지수는 1.5441 ∼ 1.7924로 나타났다. 인공복원지와 자연복원지(잔족목 제외)간 생장은 거의 유사한 편이나, 굴참나무의 경우 수고는 자연복원에서 직경은 인공복원에서 생장이 원활한 것을 확인하였다. 자연복원과 인공복원간의 생장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종자재생과 맹아재생간의 경쟁을 통한 자연복원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공복원 중 대상지에 적합한 복원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本考)는, 명리학(命理學) 관점에서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생극제화(生剋 制化)로 인한 부조화(不調和)로부터 인체에 질병이 발현(發現)한다는 점에 주목 하였다. 병인(病因)은 간지(干支)의 오행이 편왕(偏旺)이나 편쇠(偏衰)의 시점에 평형(平衡)이 실조(失調)됨으로써 발현한다. 그렇다면 과연 수많은 질병의 발현 시점을 어떻게 정확하게 인지할 것인가? 또 여기서 강조하는 ‘화해(和解)’라는 방법이나 방안은 그 병리적(病理的) 근거를 담보(擔保)할 수 있는가? 본고는 이 두 가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여기서 강조하는 화해방안은, 모두 건강한 일상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욕구를 위한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음양오행의 생극제화로 인한 부조화로부터 발현한 질병을 치 유하기 위한 방법 즉 화해방안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어느 한 오행의 편쇠(偏衰)로 인한 질병의 경우에는, 편쇠한 오행을 동류(同流) 또는 이류(異類)가 부조(扶助)하거나, 또는 편쇠한 오행을 생하는 방안이다. 둘째, 어느 한 오행의 편왕(偏旺)으로 인한 질병의 경우에는, 편왕한 오행의 생을 받는 오행을 통해 누설(漏洩)시키거나, 또는 편왕한 오행을 극하는 오행으로 설기(洩氣)하는 방안이다. 셋째, 환경적 요소를 변화시키는 방안으로서 시⋅공 간적 개념을 활용하거나 변용하는 것이다. 넷째, 오미(五味)를 중심으로 음식 섭취를 조절하는 방안으로서 이른바 보완과 조화를 위한 균형적인 식단을 꾸 미는 것이다. 다섯째, 운기(運氣)의 변화를 모색하기 위해서 성명(姓名)을 개명 (改名)하는 화해의 방안이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운기(運氣)의 변화 와 심리적 안녕(安寧)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제시한 이러한 화해방안을 일상생활에 적용한다면, 약리적(藥理 的) 효과와는 또 다른 측면에서 심리적(心理的) 안녕(安寧)을 확보하거나 유지 하는 효과가 분명히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The functional roles of plant extract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subfertility. Recent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benefits of ashwagandha extract (AE) in enhancing sperm production, boosting testosterone levels, and lower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in mammals.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AE to liquid boar semen on sperm quality during storage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 hot water extract of ashwagandha was prepared from the dried powder of ashwagandha roots. Boar spermatozoa were stored in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at 17℃ for 5 day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E (1–50 mg/mL). During storage, motility, viability, acrosomal integrity and ROS of boar spermatozoa were examine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perm stored in BTS with varying quantities of AE ranging from 1–20 mg/mL exhibited higher motility compared to those without AE (control) or with 50 mg/mL AE for 5 days. Similarly, sperm viability was better maintained in sperm treated with 1–20 mg/mL AE. Moreover, sperm stored in BTS with AE led to significantly higher acrosomal integrity and chromatin stability rates than sperm stored without AE. Notably, intracellular ROS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erm stored in BTS with AE. Particularly, spermatozoa stored at 10 mg/mL AE exhibited an effective reduction in ROS during storage.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tential role of AE as an additive during sperm storage maintains sperm quality and can be used during subfertility treatment in both animals and humans.
독도는 한반도와는 다른 기후와 생태계로 특이성과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독도의 전반적인 생태계를 관찰하고, 주요 식생에 고정조사구 를 지정하여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독도 식생 경쟁 및 천이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독도의 식생은 시기와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도 외부유입종인 큰이삭풀, 왕호장근의 세력 확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생태계복원사업 시행으 로 식재된 사철나무, 섬괴불나무의 군락이 소규모 안정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Traditional medicine and herbal remedies are gaining popularity worldwide, comprising a significant portion of healthcare research, advancements, and market demand. Growing scientific evidence supports their substantial efficacy as pharmaceutical ingredients and dietary supplements in preventive healthcare. When developing pharmaceuticals, it is crucial to ensure that ingredients are free from side effects and toxicity in order to prioritize safety. Geckos, known as shou gong, are a diverse group of lizards that are widely utilized for treating various diseases in Korean Medici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acute toxicity of a water extract Gekko gecko by a single oral dose in Sprague-Dawley rats. Twenty rats of each sex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5 rats each). Test articles were administrated once by oral gavage to rat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or 2,000 mg/kg body weight. Mortality, changes of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of gross observation were monitored for 14 days after dosing. At the end of a 14-day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macroscopic and hematolog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There was no dead animal or test article-related effect on clinical signs, body weight, or gross finding. Other specific changes were not foun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hematology. Results showed no adverse effect at a dose of 500, 1,000, or 2,000 mg/kg in rats. The minimal lethal dose was considered to be over 2,000 mg/kg body weight in rats.
본 글의 목적은 5·18 광주민중항쟁기 시민군 내부에서 벌어졌던 치열 한 노선경쟁(‘무장해제 협상’ 대 ‘무장 협상’ 그리고 ‘무장해제 투항’ 대 ‘무장 최후항전’)에 초점을 맞춰 무장 협상과 무장 최후항전을 선택한 윤 상원과 시민군들의 저항정신을 ‘공화주의적 애국심’으로 설명하려는 데 있다. 즉, 본 글은 광주항쟁과정에서 윤상원이 시민군 노선을 취하게 되 는지에 대한 과정 그리고 시민군의 실체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고, 그것 의 의미를 공화주의적 애국심과 연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윤상원과 함 께 싸웠던 동료시민군이 ‘공동의 자유공간’을 지키기 위해 보여줬던 사 랑, 헌신, 연대를 공화주의적 애국심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벌채와 산사태의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나 숲가꾸기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산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량적 평가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연구주제와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최근 30년(1990-2019)간의 국제·국내 관련 논문의 연구동 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연구논문의 게재 편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학문 분야와 연구영역이 다양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영역의 경우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메커니즘 규명(제1연구영역), 임분 조건에 따른 토양보강 효과 추정(제2연구영역), 수목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를 고려한 사면안정성 평가(제3연구영역) 및 계안안정성 평가(제4연구영역)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국외에서는 산사태 방지에 있어 산림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국내 학술지는 제1연구영역과 제3연구영역만이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기초적인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다변화되는 산림생태계의 산사태 방지 효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수종뿐만 아니라 생육조건, 교란 이후 토양보강 효과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한 제2연구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대나무 숲(솜대 및 왕대)에 대한 입목밀도, 신죽 발생량 및 고사량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입목밀도와 신죽 발생량 분석을 위한 표준지 수는 299개소 였으며, 고사량 분석을 위한 표준지 수는 255개소 였다. 분석을 위한 추정식은 역다항식, 지수식, 비선형식, 회귀식 등을 다양하게 적용하였으며, 이들의 검정은 적합도지수를 이용하였고, 잔차 검정을 실시하였다. 신죽의 발생량 추정식은 1차 역다항식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합도 지수는 0.2622로 나타났다. 현존 입목죽 추정을 위한 최적식은 지수함수식이었으며, 적합도 지수는 0.1963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사량 추정식은 현존 입목죽 본수와 신죽 본수를 설명변수로 하는 회귀식으로 도출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499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식을 경남지역으로 확산시키면, 경남지역 대나무 숲의 연간 평균 입목밀도는 19,309본/ha, 고사량은 1,706본/ha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 다. 신죽 발생량 및 현존 입목죽 발생량 추정식의 적합도가 모두 낮게 나타난 것은 현재 관리되지 않는 대나무 숲의 현 상황을 그대로 보여 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들 두가지 추정식에 대한 잔차검정에서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0”를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여 식을 이용함은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다만 추후 정밀한 현장조사와 모니터링 및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적합성 높은 식의 도출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arcass traits of Hanwoo steers and feeding methods (concentrate feed and total mixed ration for rumin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feeding system using concentrate feed, the variation in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among individual animals within farms tended to affect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with both showing negative effects (p=0.057, p=0.053).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revealing that the coefficients for carcass weight variation and marbling score variation were –0.38 and –0.30, respectively, indicating a greater influence of carcass weight variation. Therefore, reducing the variations in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among steers in farms using concentrate feed is likely to increase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In the case of farms using total mixed ration (TMR) for ruminants, the variation in marbling score among individual animals significantly affected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showing a negative effect (p=0.002). Thus, reducing the variation in marbling score among steers in TMR farms is likely to increase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In summar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arbling scor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of the farm. In farms using concentrate feed, the variations in both carcass weight and marbling score tended to affect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0.05<p<0.1). Meanwhile, in farms using TMR, the variation in marbling score had a significant impact. In conclus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marbling score in carcass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average carcass sale price for both feeding types (concentrate and TMR diets). Furthermore, reducing the variation along with carcass weight of Hanwoo steers on concentrate feed may be a way to increase farm income.
Drug-induced liver injury (DILI)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cause of drug wastage. To mitigate clinical DILI risks, assessing drugs using human liver models is crucial since animal studies may fall short due to species-specific liver pathway variations. Cell-based preclinical hepatotoxicity testing is often pertinent. In the present study, cells from a human liver cancer line (HepG2 and HepaRG) were cultured in both formats of 2D and 3D spheroids to explore their responses to drugs. Liver-specific marker expressions across cell lines and culture formats were also examined to assess disparities in DILI marker expressions. After treating each cell with the drugs, cytotoxicity and liver injury marker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were increased. In addition, liver specific markers albumin and urea decreased in a drug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drug sensitivity. Additionally, mRNA expression levels of cytochrome P450 enzymes (CYPs) involved in hepatocellular drug metabolism were compared following treatment with enzyme inducers. CYP1A2 and CYP2C9 were not epxressed in HepG2 cells. HepaRG cells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CYP1A2, 2C9, and 3A4 post-treatment. Notably, enzyme expression was notably higher in 3D cultures than in 2D culture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paRG cells and 3D cultures hold promise for evaluating DILI during early-stage drug development.
본 논문은 중국 고대 우주론(宇宙論, cosmology)적 사유를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적 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 구는 철학과 사상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적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big data)’를 이용한 연구보다는 오히려 특정 텍스트 안의 한정된 ‘소규모 데이터 (small data)’를 분류, 재구성, 시각화하고 분석함으로써 더 유의미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는 입장에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태일생수」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 분석하여 디지털인문학 적 방법을 통해 기존의 연구를 보완할 지점을 도출하였다. 중국 최초의 우주론 적 텍스트 중 하나인 「태일생수(太一生水)」와 중국 우주론에서 가장 중요한 위 치를 점하고 있는 「태극도설(太極圖說)」을 중심으로 중국 고대 우주론의 텍스 트들을 디지털인문학적 방법을 통해 데이터화하고 구조화하여 비교함으로써 중국 고대 우주론의 연속성과 발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태일생수 」가 시간과 공간에서의 생성(generation)을 묘사하는 우주생성론(cosmogony)이지 만 우주의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구조를 관조하는 형이상학(metaphysics) 혹 은 존재론(ontology)의 단초 역시 가지고 있었고 후대 성리학의 「태극도설」은 형이상학/존재론적 우주론이 극단적으로 강조된 모델임을 논한다.
Helicobacter pylori are known as a causative agent of gastritis, gastric duodenum and peptic ulcer, and gastric cancer, and multiple drug use is associated with various side effects in patients. The discovery of antibacterial substances against H. pylori from Korean resource plants is an important substitute for antibiotics. 52 species of Korean resource plants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with 50% ethanol,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was measur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The toxicity of plant extracts to human gastric adenocarcinoma(AGS) cells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the level of IL-8 secreted when gastric epithelial cells were inoculated with H. pylori was measur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 pylori, antibacterial activity was confirmed in 38 plant extracts. The plant species with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were Chrysanthemum indicum, Rheum rhabarbarum, Patrinia scabiosaefolia and Petasites japonicus. C. indicum was not cytotoxic to H. pyroli-infected AGS cells and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healthy, functional foods and medical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