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1

        20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혁신활동은 타 기업에 대한 진입장벽 구축, 공정개선 및 신제품 개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익의 증대, 안정적 수익원의 확보 및 매출액의 증대를 가능하게 한다. 또 한 기존 기업에게 신기술에 대한 대응력과 내재되어 있는 역량의 증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존의 기회를 부여한다. 따라서 기술혁신활동은 부도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기술혁신 활동은 많은 자원의 투입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이에 내재된 성공의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기업의 부도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 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계속 상장된 기업으로 산업분류 상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혁신활동의 대용변수는 기존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연구개발집약도를, 부도위험의 대용변수는 Black & Scholes(1973)의 유럽형 콜옵션 가격결정모형에 기반한 Merton(1974)의 타인자본가격결정모형을 이용하여 측정된 부도확률을 각각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부도위험의 대용변수로써 KIS 신용평점을 이용하여 강건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표본과 이를 유가증권시장표본 및 코스닥시장표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든 표본에 있어 기술혁신활동의 대용변수인 연구개발집약도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보였다. 기업의 소속 시장 여부와 관계없이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을 낮추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표본을 기업규모(대기업표본 및 중소기업표본), 기업연령(상위 50% 표본 및 하위 50% 표본) 및 신용평점(10~6점 표본 및 5~1점 표본)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표본에 있어 연구개발집약도의 회귀계수는 유의수준에서 다소 차이를 보일 뿐 음(-)의 유의한 값을 보였다. 기업규모, 기업연령 및 신용평점의 정도와 관계없이 기술혁신활동이 증가할수록 부도위험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구개발비는 자산과 비용으로 처리되는 그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부도위험과 음(-)의 유의한 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KIS 신용평점을 이용하여 분석한 강건성 검정 결과 기업의 소속 시장 여부와 관계없이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을 낮추는 중요한 변수임을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결과 본 연구는 기술혁신활동이 부도위험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부도위험을 낮추기 위해 경영자는 기술혁신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겠으며, 국가의 기업지원 방향 역시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을 촉진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하겠다.
        6,400원
        20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특산속 식물인 모데미풀의 자생지 식생을 비롯해 환경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데미풀의 자생지는 770~1,440m에 위치하고, 경사는 0~20˚로 완만하였으며, 주로 계곡부 북사면에 불연속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분석결과 78개 방형구 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111종류였다.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27.05%로 가장 높았으며, 모데미풀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분류군으로
        4,000원
        20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의 첫 수확기를 단축하기 위한 여름정식 기술을 개발코자 하였으며,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 수확유무 및 방법이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3개월 육묘한 모종을 2005년 6월 20일에 하우스내에 정식 하였다. 이듬해 봄 수확방법은 수확처리(완전수확, 부분수확) 및 무수확(관행)으로 하여 1, 2년차 생육 및 누적수량을 조사하였다. 2006년 1년차 봄 수량은 수확방법에는 차이가 없이 수확처리구에서 399kg~400kg/10a이 가능하였다. 2년차 봄 수량은 부분수확 처리구에서 834kg/10a, 완전수확 처리구에서 825kg/10a, 관행 처리구에서 908kg/10a를 보였다. 1년차의 수확방법에 의한 2년차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2년차 총 누적수량은 1년차 봄에 수확을 하는 처리구에서 관행에 비하여 35%(1,229kg/10a)증수되었다. 상품수량은 관행 839kg/10a에 비하여 1년차 수확처리구에서 33%(1,116kg/10a)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 여름 정식시 이듬해 봄에 수확을 하는 것이 증수면에서 바람직하며, 여름정식은 정식 후 8개월만에 첫 수확이 가능하였다.
        4,000원
        20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eight active natural antimicrobials for preservation of functional beverages that are usually degraded by yeasts rather than by bacteria due to a high sugar content and a low pH. Five strains of yeasts (S. cerevisiae, Z. bailii, P. membranaefaciens, C. albicans, and P. Anomala) were tested with eight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ε-polylysine, yucca extract, vitamin B1 derivative,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chitooligosaccharid, allyl isothiocyanate, sucrose-fatty acid ester, and oligosaccharide). The lowest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were 10 ppm for oligosaccharide and sucrose-fatty acid ester against S. cerevisiae and Z. bailii, 10 ppm for allyl isothiocynate against P. membranaefaciens and C. albican, and 10 ppm for allyl isothiocynate and oligosaccharide against P. anomala . No growth were observed for five kinds of yeasts in functional beverages containing sodium benzonate at concentration of 0.015% or higher. The resistance of S. cerevisiae, Z. bailii, and P. Anomala against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was lower than those of P. membranaefaciens and C. albican. Allyl isothiocyanate, oligosaccharide, and sucrose- fatty acid ester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mong the eight tested antimicrobials.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develop new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to improve microbial quality of functional beverages.
        3,000원
        207.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fungal activity of seven natural antimicrobials, such as ε-polylysine, extract of Yucca shidigera, TLS (vitamin B1 derivative), BMB-FS, chitooligosaccharide, KDSP 001, and KDSP 002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pplications in functional beverage. Five fungi including Aspergillus niger, Penicillium citrinum, Rhizopus oryzae, Fusarium moniliforme, and Mucor rouxii were applied as test fungi and minin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antimicrobials were examined. TLS exhibited the strongst antifungal activity among tested antimicrobials and the growth of all fungi was inibited at 100 ppm. The antifungal activity of BMB-FS appeared different. The growth of Fusarium moniliforme was inhibited by BMB-FS at 100 ppm, but it exhibit antifungal activity on P. citrinum, and M. rouxii at 1000ppm. MICs of TLS appeared to be 60 ppm for four test fungi except A. niger (100 ppm). These results indicate the possible usage of TLS and BMB-FS as natural antimicrobials in functional beverage.
        4,000원
        20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antimicrobials (10 formulas, F1~F10) against yeasts in functional beverages. The growth rates of yeasts were different with the ten different natural antimicrobial formulas tested. Yeasts grew for 14 days and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observed between 14 and 18 days. Levels of S. cerevisiae, Z. bailii, and P. membranaefaciens were reduced to the limit of detection (ND) < 10 CFU/mL) after 28 days. Resistance against the antimicrobial effect was greatest for P. membranaefaciens, which grew to a level of 0.12~1.48 log10 CFU/mL after 14 days and was reduced to a level of 1.61~3.55 log10 CFU/mL after 28 days. The resistance of C. albicans was also high with a growth level of 0.13~1.28 log10 CFU/mL after 14 days and reduction to 1.51~5.30 log10 CFU/mL after 28 day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F10 was strongest for P. membranaefaciens. Every treatment reduced the microbial levels to 2.68~5.62 log10 CFU/mL after 6 months. F2, F4, F5, F6, and F10 reduced the C. albicans level to ND after 28 days while F1, F3, F8, and F9 reduced yeasts to the ND level after 6 month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bserved here will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natural antimicrobials.
        4,000원
        20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Phenethylamine (PTA), having a similar smell to fish malodor, is appropriate as a replacement of Trimethylamine (TMA). In a continuous measurement test, the odor intensity of both reagents TMA and PTA measured within 5 minutes showed between 0.4~0.7, indicating a dramatic reduction in olfactory sense, while the measurement test conducted after olfactory recovery did not represent much decrease. The result shows that both TMA and PTA have odors that stay long, but are judged to be inappropriate as a replacement as they stimulate the olfactory sense of the panel and give direct impact on the panel"s next judgement.
        3,000원
        21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n spring onion fields, we have examined an alternative application method. Twenty-five insecticides registered for spring onion were tested for control effect against the beet armyworm in the laboratory, then the best 9 chemical and a single biological insecticides we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2 new isolat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n a polyvinyl house. After that, 4 chemical and 3 B. thuringiensis treatments were used in the field for the control of beet armyworm in the spring onion. Two application methods are used: one is triple treatments with the same chemical and the other is alternative application with different chemicals and B. thuringiensis for 7 days intervals. Indoxacarb WP – chlorfluazuron EC – B.t. var. kurstaki CAB141 and indoxacarb WP – methoxyfenozide + spinosad SC – Chlorfluazuron EC – B.t. var. aizawai CAB109, B.t. var. kurstaki CAB141 showed greater than 78% mortality of beet armyworm larvae and greater than 43% damage decrease in spring onions infested by beet armyworm. These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applications had higher control effect than any other ap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alternative applications with microbial biological agents such as B. thuringiensis might minimize the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and might be used as the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the beet armyworm.
        4,000원
        211.
        2009.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the surface morphology and light scattering of textured Al doped ZnO thin films on glasssubstrates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were investigated. As-deposited ZnO:Al films show a hightransmittance of above 80% in the visible range and a low electrical resistivity of 4.5×10-4Ω·cm. The surfacemorphology of textured ZnO:Al films are closely dependent on the deposition parameters of heater temperature,working pressure, and etching time in the etching process. The optimized surface morphology with a cratershape is obtained at a heater temperature of 350oC, working pressure of 0.5 mtorr, and etching time of 45seconds. The optical properties of light transmittance, haze, and angular distribution function (ADF) are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sulting surface morphologies of textured films. The film surfaces, havinguniformly size-distributed craters, represent good light scattering properties of high haze and ADF values.Compared with commercial Asahi U (SnO2:F) substrates, the suitability of textured ZnO:Al films as frontelectrode material for amorphous silicon thin film solar cells is also estimated with respect to electrical andoptical properties.
        4,000원
        21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주아재배를 통한 우량종구 생산을 위하여 주아크기, 파종시기, 재식거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남도마늘 주아는 클수록 출현이 빠르며 엽수, 엽폭, 초장의 신장이 좋은 편이며 단구크기도 커졌으나 단구형성율은 떨어졌다. 특히 단구형성율은 남도마늘 주아 0.1g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주아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대서마늘 주아는 남도마늘 주아에 비해 발아와 생육이 빠른 편이나 단구형성율이 낮고 단구크기가 작았다. 대주아 파종간격에 따른 생육은 파종간격이 넓을수록 엽수가 많고 엽폭도 넓었으며 구크기와 인편크기도 커졌으나 처리에 관계없이 단구형성율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분구된 인편중 10×15cm처리구에서 3g이상 인편이 많고 경제성도 있어서 대주아를 이용한 인편 생산가능성이 있었다. 남도마늘 주아의 경우 9월 11일 파종구에서 수확주율, 단구형성율, 수량이 가장 많았다. 대서마늘의 경우 주아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확주율이 많았지만 단구크기는 작아졌으며 단구형성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낮아서 제주지역에서 재배는 적합하지 않았다.
        4,000원
        213.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 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2.36, 37.98±1.27 및 31.19±1.87㎍/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000원
        216.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ight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activated against mosquito larva were compared their characterization. Spherical-shaped parasporal inclusion of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was observed by phase-contras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LC₅₀ values of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against Culex pipiens molestus, Culex pipiens pallens, and Aedes aegyti were 173, 190 and 580 ng/㎖, respectively. B. thuringiensis subsp. tohokuensis CAB167 had a parasporal inclusion containing 4 major protein components, for example, 135, 80, 49 and 28-kDa by SDS-PAGE. Otherwise, after trypsin digestion of parasporal inclusion, SDS-PAGE was showed new protease-resistant peptides at 72 and 63-kDa. Activated toxins of isolated CAB167 were different from other reference strains on a serological by immuno-diffusion test.
        4,000원
        21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에서 무가온 하우스 재배에 적합한 아티초크 품종을 선발코자 'Purple Romagna', 'Imperial Star', 'Green Globe', 'Emerald', 'Italian', 'Carciofo Di Romagna' 품종을 시험재료로 이용하였다. 2004년 10월 5일에 본엽 4매 정도 자란 묘를 무가온 하우스내에 정식하였다. 첫 수확은 이듬해 봄 4월 하순경부터 시작되었는데 첫 수확일은 'Emerald'와 'Imperial Star'가 4월 26일과 27일로 빨랐으며, 대체로 수확은 5월 상순경부터 시작되어 6월 하순까지 가능하였다. 주당 수확 화뢰수는 'Green Globe'가 5.4개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Italian께서 1.3개 정도로 가장 적었다. 평균 화뢰무게는 'Imperial Star', 'Green Globe', 'Purple Romagna'에서 228~288g 정도로 비슷하였다. 10a당 수량은 'Green Globe께서 2,172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Imperial Star'에서 1,947kg이었다. 따라서 난지지역인 제주도에서 아티초크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에는 수량면에서 'Green Globe'및 'Imperial Star'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10월에 정식하여 재배할 경우 이듬해 4월 하순부터 6월까지 수확할 수 있다.
        3,000원
        21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살충활성 가능성을 가지며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가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실내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한 결과, 실험에 이용한 Bt 54균주 중, 7개 균주가 벼혹명나방, 벼애나방 두 종 해충 모두에 90% 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높은 살충율을 보인 균주들을 대상으로 실내에서 방제실험을 실시하여 무처리구와의 피해정도를 비교한 결과, 균주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피해엽률에 있어 50%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살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살충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처리한 식물체에서 섭식저해 현상을 보이는 유충을 계속적으로 사육하면서 용화율, 우화율 및 번데기 길이를 조사함으로, Bt가 대상 해충의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살충율의 차이에 따라 균주별 차이가 존재했으나, 처리 후 조사기간 동안 생존한 개체라 할지라도 용화, 우화율이 정상개체에 비해 30~40%이상 낮게 나타났다. 또한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직접적인 살충효과가 낮게 나타난 균주라 하더라도, 용화율, 우화율에 영향을 미쳐 다음세대의 개체군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해충방제능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1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creen highly active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against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Noctuidae), 46 B. thuringiensis was isolated from 115 samples obtained from several crop soils. Especially,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and CAB162 isolates showed 100% mortality against S. litura. LD50 values of CAB133, CAB162 and HD-1 strains of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were 0.089, 3.144 and 0.513 ㎍/㎖ against 2nd larva of μ S. litura, respectively. The weight of 3rd larva of S. litura which were fed crystal inclusion protein (1.267 ㎍/㎖) with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CAB133 was about 30 times lass than control group. CAB133 and CAB 162 strains of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which were taken a highly toxity against S. litura were analyzed by SDS-PAGE, and estimate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ry proteins. Their serological identification by H serotypes were showed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3abc) type.
        4,000원
        22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에 발생하여 엽육을 전체적으로 식해해서 피해를 주는 혹명나방(Cnaphalocrosis medinalis)과 벼애나방(Naranga aenescens)의 곤충병원성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국내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나비목 해충에 대해 살충활성 가능성을 가지며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 단백질을 가진 균주들을 대상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Bt 30균주 중, 약 14개 균주가 혹명나방에 50% 이상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7개 균주가 벼애나방에 살충활성을 보였는데, 두 종 모두에 80% 이상의 살충율을 보이는 균주도 3균주나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는 두 종 해충 뿐만 아니라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에도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생물농약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반면, 이중피라미드형 내독소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나 두 종 모두에 살충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균주도 확인되었다. 또한 살충활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처리한 식물체에 섭식저해 현상을 보이는 유충을 계속적으로 사육하면서 용화율, 우화율 및 번데기 길이를 조사함으로, Bt가 대상 해충의 생물학적, 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 후 조사기간 동안 생존한 개체라 할지라도 용화, 우화율이 정상개체에 비해 30~40%이상 낮게 나타났다. 특히나 혹명나방의 경우, 번데기 길이에서도 정상개체와 처리 후 생존개체가 차이를 보이며 섭식에 저해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