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6

        20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accase는 균류와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알려진 효소로서 다양한 기질에 대하여 촉매반응을 나타낸다. 오래 전부터 펄프산업에서 리그닌의 제거와 섬유소의 표백작업, 그리고 오염 된 물과 토양의 복원 등의 여러 응용성에서 잠재적인 산업적 효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는 버섯의 자실체로부터 세포내 효소의 작용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표고버섯의 자실체에서 laccase가 melanin의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우리는 일정한 조건에서 특정한 색의 갓을 보이는 느타리버섯에서 흑색 및 갈색을 나타내는 색소인 melanin과의 연관성을 laccase의 효소활성으로 확인고자 하였다. 시료는 느타리버섯에서 분리한 흑색 및 백색의 갓 색 변이체를 사용하였으며, 생활 주기와 자실체의 부위별로 나누어 각각 효소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버섯시료를 sodium phosphate 완충액에서 homogenizing한 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Laccase 활성은 McIlvaine 완충액상에서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를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와 반응시켰으며, ABTS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을 ELIS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laccase 효소활성은 갓 색 변이체(흑, 백색)의 자실체 중에서 흑색 자실체가 가장 높았으며, 생활주기별(균사체, 원기, 자실체, 포자)에서는 균사체가 가장 높았다. 또한, 느타리버섯의 자실체 부위별(갓, 갓껍질, 갓주름, 줄기)에서는 갓 껍질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06.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 형질 전환 체세포 핵이식에서 용이한 탈핵을 위해 demecolcine을 이용할 시 탈핵율과 핵이식란의 발육능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도축장 유래 미성숙 난자를 18시간 체외성숙 후 제1극체가 확인된 성숙 난자를 0.1, 0.2, 0.4 및 0.8 ug/ml의 demecolcine이 첨가된 배지에서 1시간 더 처리한 다음 세포막이 돌출되어 있는 난자를 체세포 핵이식에 공여하여 각 군간 배반포로의 발육능을 비교하였
        4,000원
        20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제합작투자 성과 결정요인을 조직학습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파트너의 흡수 능력과 합작경험은 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지식검색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국제합작투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반면, 기업문화 차이와 파트너 간 갈등은 정보흐름을 방해하고 오해를 야기해 조직학습을 방해하고 내부 관리비용을 발생시켜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진출한 외국 기업과 한국기업간의 86개 국제합작투자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지 파트너기업의 흡수 능력과 합작경험은 국제합작투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파트너간 갈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400원
        21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 동결 정액 융해 시 straw 크기 및 융해 속도가 융해 정자의 질(qual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융해 조건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상적인 번식능을 가진 비글 수컷 5마리에서 정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정장을 버리고 남은 정자에 동결보호제인 glycerol이 첨가된 tris-glucose-egg yolk extender를 첨가하여 동결하고 액체질소에 보관한 후 융해하였다. 동결 융해 조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
        4,000원
        212.
        2006.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indoor air quality (IAQ) in workplace, residence, and schools has been one of the major concerns of people, scientists and the related public.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IAQ) in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rom June 2004 to May 2005 in Korea. We measured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PM10, CO2, formaldehyde, total bacteria colony(TBC), CO, radon,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 asbestos, and O3 from school classroom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by building year based on the time span of 1, 1 - 3, 3 - 5, and 5 - 10 years. The levels of pollutants and physical factor in schools were compared with standards and guidelines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Korea.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bestos and O3 were not detected in all surveyed classrooms. However, we were able to detect CO, TBC, TVOCs, and formaldehyde in kindergartens, TBC in elementary schools, TBC, TVOCs and formaldehyde in middle schools, and formaldehyde in high schoo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management IAQ in school. Therefore, we suggest that a national plan for the management of IAQ in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long-term, continuous investigation for the proper assessment of IAQ in school and for the health risk assessment for student.
        4,000원
        215.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부에 (TTAGGG)n의 반복 염기서열이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를 말하는데 이의 역할은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하여 세포의 노화, 사멸 및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텔로머레이스는 telomeric DNA 합성에 직접 관여하는 ribonucleoprotein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 분포 양상을 제시하고,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 함량과 이들 수정란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분석에는 마우스의 섬유아세포, 생식세포, 정자, 난자 및 1세포기, 2세포기, 4세포기, 8세포기, 상실배와 배반포배의 각 단계별 수정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은 human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을 이용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TRAP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우스 염색체의 텔로미어는 성 염색체를 포함한 모든 염색체의 앙 말단부에 분포되어 있고, 염색체별 다소의 양적 차이를 보이나 대부분의 염색체에서 q-arm 말단이 p-arm 말단에 비해 높은 텔로미어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Q-FISH를 이용한 마우스 초기 배 발생단계별 수정란의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에서 수정 직후 1세포기에서부터 상실배까지 거의 비슷한 텔로미어 함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나 배반포기에서 월등히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TRAP 분석을 이용한 초기배아의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초기 배 발생 모든 단계에서 이의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실배 및 배반포기에서 점진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마우스의 초기 배 분열단계의 각 세포들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포유동물의 초기 배자에 있어 텔로미어의 함유율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배 발생 및 배자의 세포 분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텔로미어의 양적 분석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은 발생학적 연구를 위한 또 다른 좋은 자료로 생각된다.
        4,000원
        220.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용자 중심의 일상 생활용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네 유형의 스마트 자켓 사례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스마트 자켓은 내장되는 기기의 종류와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네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척도 구성을 위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60개의 사용성 평가문항을 구성하였다 각 스마트 자켓 유형에 대한 사용성 평정 결과 10개의 대표 범주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유형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범주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켓 유형별 중요 요인이 서로 달랐으며, 이 결과는 사용성 평가 척도 개발 시 디자인하는 스마트 자켓 유형에 따라 고려해야 할 중요 사용성 요인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성 평가 척도에서의 우선 순위도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