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6

        20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양측백나무의 잎으로부터 정유를 steam distillation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정유 조성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8종의 미생물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집모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서양측백나무 정유 주성분은 monoterpene류였으며, d-isothujone, l-fenchone, α-thujone, camphor, terpin-4-ol 순으로 나타났다. 정유의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력은 박테리아 중 Streptococcus pyogenes에서, 그리고 효모 및 곰팡이 중 Candida albicans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서양측백나무 정유는 그램 양성균의 박테리아에 대해 가장 장한 항균력을 보였다. 정유는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EC50 값은 36 μl/ml이었다. 집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는 분무, 훈증, 자연증발 등 처리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그 중 분무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환경 친화적인 항균 및 살충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9.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치광이풀의 모상근 뱌양에 의해 의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인 scopolamine과 hyoscyamine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3종의 곰팡이와 1종의 효모 유래의 생물학적 elicitor를 supernatant와 homogenate의 형태로 처리하였다. Elicitor 중 Candida albicans는 supernatant와 homogenate 모두 scopolamine 생산성을 증가시켰다. Fusarium solani의 homogenate와 C. albicans의 supernatant 처리로 hyoscyamine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fungus strain도 대조구에 비해 tropane alkaloids의 생산을 다소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C. albicans가 tropane alkaloids 생산에 적합한 elicitor임으로 구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치광이풀 모상근 대량배양에 의한 tropane alklaoids 대량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210.
        200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oxic-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and its application in advanced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o remove biologically organics and ammonia nitrogen. Effluent COD and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volumetric loading rate. But,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NO2--N and NO3--N were little, as compared to COD and NH4+-N. When the volumetric loading rate increased, COD removal efficiency and nitrification appeared very high as 96.7~98.8% and 92.5~98.8%, respectively. However, denitrification rate decreased to 76.2~88.0%.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of volumetric loading rate affected to the denitrification rate more than COD removal efficiency or nitrification rate. The surface loading rates applied to RBC were 0.13~6.01g COD/㎡-day and 0.312~1.677g NH4+-N/㎡-day and they wer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volumetric loading rate. However, the nitrification rate showed higher than 90%. The thickness of the biofilm in RBC was 0.130~0.141㎜ and the density of biofilm was 79.62~83.78㎎/㎤. They were increased as surface loading rate increased. From batch kinetic tests, the kmaxH and kmaxN were obtained as 1.586 g C/g VSS-day, and 0.276 g N/g VSS-day, respectively. Kinetic constants of denitrifer in anoxic reactor, Y, ke, Ks, and k were 0.678 ㎎ VSS/㎎ N, 0.0032 day-1, 29.0 ㎎ N/ℓ, and 0.108 day-1, respectively. P and Ks values of nitrification and organics removal in RBC were 0.556 g N/㎡-day and 18.71 g COD/㎡-day, respectively.
        21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e very large and high-speed ships have been appeared in marine transportation from 1970s, these ships with poor maneuverability have made large-scale accidents frequently all over the world. The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commended that ship designers should evaluate various maneuvering performance at initial stage and serve them to ship operators when they deliver a new ship. Meantime, it is expected that ships with large and wide superstructure would have poor maneuverability when they are affected by strong wind. Therefore, car carrier ship with large superstructure was selected to confirm how the ship responds to the external wind forces in this paper. The lateral and transverse projected areas above the water level were considered and ship behaviors were checked by change of rudder angles under severe wind conditions of different directions. In addition, hydrodynamic derivatives and coefficients were predicted from ship particulars and numerical calc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the mathematical model of low speed maneuvering motions.
        215.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종실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성성분을 다양한 분석법으로 구명하였다.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를 구성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93% 로 가장 높고 , glycolipid 가 4.9%, phospholipid가 1.3%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사람주나무의 종실에는 9종의 지방산이 존재하였다.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기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종실유 중 3종의 지질은 silica open column을 통해 분획하고, 이들의 지방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3종의 지질 중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채취직후의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된 종실유의 지방산에 비해 전반적으로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는 화장품, 세정제, 의약품 등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216.
        200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rink and tea-bag were processed with safflower seed powder. Drinks were processed with 90C hot water extraction. Yield, soluble solid, pH and centrifugation residue of drinks were ranged in 79.2~89.3%, 0.6~0.99%, 5.98~6.40 and 1.00~1.18, respectively. Sensory score of overall acceptance in drinks were highest at that of enzyme treated drink. Tea-bag was processed with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alone(1.2g) and the mixtured tea-bags were consisted of persimmon leaves, pine needle and angelica gigas powder in same amount, respectively. Teas were prepared with extraction at 80C water for 2 min. Soluble solid and sensory evaluation score of teas were the highest when the tea was processed with safflower seed alone.
        217.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ocessed with the addition of roasted safflower seed powder were evaluated Safflower seed powder was roasted at 180 for 20 min and pulverized below 45mesh size. Bread was processed by addition of control, 1, 2, 3 and 4% safflower seed powder at basic formulation. Dough raising power was increased as the addition of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Hunter's L value was decreased,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safflower seed bread, color sco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ddition of roaste safflower seed powder increase, but overall acceptance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added 4% of safflower seed.
        218.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더덕 (Codonopsis lanceolata)의 자엽기의 체세포배 는 생장조절제 를 함유하지 않은 MS고체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되었다. 체세포배로부터 줄기 재분화에는 2% sucrose가, 뿌리의 분화에는 8% sucrose가 가장 좋았다. 줄기의 생장은 2% sucrose가, 뿌리의 생장은 4% sucrose 농도에서 가장 좋았다. 자연산 더덕뿌리, 재분화 개체의 뿌리, 배발생 캘러스, 비배발생 캘러스에서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조사한 결과 각 조직간의 물질 함량은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고농도의 sucrose 함유 배지에서 재분화된 뿌리의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자연산뿌리와 비슷하였다. 세포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saponin계 물질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의 유용물질 생산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19.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tease nexin-1 (PN-1)은 활성화 자리에 serine기를 갖는 단백질 분해 효소 즉, 트롬빈, 트립신,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효소 등의 작용을 억제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Sprague-Dawley계통을 이용하여 조직별 mRNA발현여부 및 정도를 조사하였다. PN-1의 발현이 나타난 조직은 뇌 (전뇌, 후뇌), 심장, 간, 폐, 난소, 난관 등이다. 이들 중 유전자 발현이 가장 높은 조직은 암컷의 전뇌(forebrain) 였다. 특히
        220.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 변화로 인하여 생활용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오수의 양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아파트 단지내 오수정화시설 및 하수처리장의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인구에 근거한 오수량의 발생원단위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자료는 하수처리의 운전이나 수질관리 계획 수립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공사의 123개 관리소에 2년간의 급수량을 취합하여 거주인구에 따른 급수량을 분석하였고 그 중에 수도권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