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2

        283.
        2023.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2000년-2020년까지 중국의 연구개발비 투자와 기술비지니스 창업보육센터가 R&D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R&D는 한 나라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본과 노동의 추가 투입에 의한 경제성장이 점차 한계에 접어드는 경제구조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올해 3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3.9%로 예상을 뛰어넘기는 했지만 여전히 4% 미만으로 이전의 고성장 국면으로 반등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무역이 경제성장의 절대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중국이 세계 경제성장의 1/3 이상을 담당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경제성장률 둔화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중국의 R&D 투자를 살펴보고 R&D 활동을 통한 산출물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은 논하고자 한다.
        284.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made from Seosan Yukjok Garlic and elephant garlic in Seosan, Chungnam province. Of the inorganic components, Mg content was the highest in all treatment groups, and the Ca content was high in each of the 15 day treatments. The content of K was high after 10 days aging in Yukjok garlic and after 15 days in the elephant garlic. The Fe, Na, K, and Mg content was high in Yukjok black garlic after 15 days, and Na, K, Ca, and Mg were high in the elephant black garlic aged for 15 days. The crude fat content was high in both Yukjok black garlic and elephant black garlic after 15 days. Vitamin C content was highest in both types of garlic after aging for 15 days. An analysis of four kinds of organic acids showed that citric acid was the only organic acid to appear in raw garlic of Yukjok garlic and elephant garlic. Black Yukjok garlic and elephant black garlic had a greater tota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raw garlic of either type. However, among the tested amino acids, 13 kinds of amino acids were at their highest after five days of ripening in Yukjok black garlic, while 15 kinds of amino acids were abundant in elephant garlic after the same period. Eight kinds of amino acids were high after aging for 15 day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process of making black garlic, changes in the main components of the garlic occur through different routes, and these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 garlic specie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the processing of Seosan's Yukjok black garlic and elephant black garlic.
        285.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co-friendly measures to manage major diseases which cause heavy economic damages to ginseng. Morphological, physic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isolating useful antagonistic bacteria from ginseng fields. In addition, optimal conditions for mass culture were established, and he efficacy of the bacteria in the prevention of the diseases was verified in the field.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150 bacteria were extracted from 150 ginseng fields in the whole county. Among them, B. pyrrocinia LA101 was finally selected, which had a strong antagonistic potency against Alternaria panax,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on agar media. The B. pyrrocinia LA101 is a baculiform gram-negative bacterium identified as Burkholderia pyrrocinia according to results from an API(Analytical Profile Index) kit, 16S rRNA, and gyrase gene sequencing analysis. It was donated to the microbe bank of the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Center at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e Science under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n September 28, 2011 (Donation No. KACC91663P). A patent for the mass culture technology was granted in August 2012 (Patent No. 10-1175532).
        286.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20 free amino acids in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while cultivating Lentinula edodes. The total incubation period was 90 days, and the total amount of free amino acids was confirmed every 45 days. Among the 18 kinds of amino acids whose increase and decrease patterns were confirmed, 10 amino acid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among which cysteine increased from its initial value of 9,889 ± 3 μg/L to 12,909 ± 2 μg/L at 45 days and 29,256 ± 4 μg/L at 90 days. Six amino acids with decreased expression patterns were identified. Arginine decreased to 83,751 ± 2 μg/L after 45 days from its initial value of 161,787 ± 1 μg/L and to 79,055 ± 7 μg/L at 90 days.
        287.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문학평가의 현장이 정책적 요구와 이상적 지향 사이에서 진자 운동을 계속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진자 운동을 멈출 새로운 문학교육 평가 패러다임이 필요하며, 실제성이 담보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실천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등학교 ‘문학’과목의 평가 실태를 분석하고, 추출된 문제점을 통해 문학교육 평가를 ‘왜’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으로 돌아가 문학과 교육, 평가의 본질을 탐구함으로써, 문학교육 평가의 패러다임적 전환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문학평가가 내러티브에 기반 하여 삶을 알아가는 성장의 과정을 다루어야 한다는 것으로, ‘내러티브 중심 문학교육 평가’라 하였다. 또한 ‘내러티브 중심 평가’는 나선형 곡선의 양상을 띠며 발달적으로 순환한다는 것을 보이고, 그 역동성을 드러내면서도 평가 설계의 구체적인 지침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분류학을 제시하였다.
        288.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seven species of trichoderma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strains collected in Korea. The phylogenetic tree among the collected strain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The trichoderma strains isolated in this way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fusarium wilt which is parasitic to cotyledon stem..The invisibility of J9, J10, J13 and J16 strains were higher in comparison with other strains in vitro test stand, and their spore production level was also higher. In the aluminum ring tests, it showed that the yield of the spores in J9, J10 and J13 were more than any other strain. As a result conducting the port test for cucumbers, the plant lengths of J13 were larger than the control plot, and the root lengths of all strains, except for J2 were longer than the control plot, and the root weights of J1, J9, J10, J13 and J16 were larger than the control plot. The disease severity for the fusarium wilt showed the smallest values at J13 and J16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plot, and the control values of J13 and J16 were higher than other strains.
        289.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봉산 참당귀는 해발 750-965 m의 교목층은 들메나무, 고로쇠나무, 신갈나무가 분포하고, 아교목층에는 당단풍, 까치박달나무가 분포하는 계곡지로 유기물이 집적되기 쉬운 다습한 지형에 자생하였다. 참당귀 군락의 토양 분석 결과 토양pH는 4.9-6.0으로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평균과 매우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토양 양분의 지표인 유기물함량,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Ca, K, Mg, Na의 함량은 산림토양의 평균보다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다. 생장 특성으로는 9월 말에는 뿌리 생장이 평균 47.9 g이나 10월 말에는 33.8 g으로 29% 감소하였으며, 유용 성분은 반대로 10월말에 decursin 3.8%, decursinol angelate 3.6%로 각각 26%, 67% 증가하였다. 참당귀 자생지 8개 집단의 생장 특성 및 유용성분 함량과 토양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뿌리 생장은 치환성 양이온인 K, Mg, Na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용성분은 뿌리의 수분함량과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9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Stevia rebaudiana (Asteraceae), a perennial plant, has been used as a low caloric sweetener and therapeutic agent for diabetes, hypertension, myocardial, and antimicrobial infections. It has been commonly used leaves and stems because of their high anti-oxidative potential. The present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xplore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flos in B16F10 cells. Methods and Results : Anti-oxidant activity of Stevia flos extract (SFE) was determined by using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nitric oxide (NO)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reducing power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SFE was 63.154 ± 0.0002 ㎍·QE/100㎎ and the total flavonoid was 8.64 1 ± 0.002 ㎍·GAE/100㎎. SFE exhibited a big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179.6 ㎍/㎖) comparing with standard ascorbic acid (IC50: 368.6 ㎍/㎖), and showed concentration 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131.8 ㎍/㎖). Anti-melanogenic effect of SFE was also examined with B16F10 melanocytes. The amount of melanin synthesis followed by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on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SFE treatment (p < 0.05). SFE also suppressed the tyrosinase activity (p < 0.05) and α-glucosidase activity (p < 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Stevia rebaudiana flos has an antioxidant potency and can be used as an anti-melanogenic agent.
        291.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amount of plastic waste produced in Korea and the state of its treatment are analyzed. In addition, trends in sales prices of recyclable resources are identified and used as basic research data in countermeasures for the rejection of recyclable waste collection companies. According to the state of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nationwide in 2017, the amount of plastic waste generated increased by 7.2% annually over the five-year period starting in 2012, reaching 7.1 million tons in 2016. In the case of composition ratio, 36.7% of household wastes occupy. In the case of the plastic recycling market, the demand for recycled waste plastics and plastics decreased due to sluggish domestic and overseas economies since 2015, and the prices of synthetic resins such as PE, PP, and PS of pellets dropped by about 20%. As for the selling prices of recyclable resources in apartment houses in March 2017, the average selling price including plastics is 1071 won/ month·generation. When plastic was excluded it was 941 won/month·generation, which amounts to about a 130 won/month·generation difference. The average selling price of recyclable resources over the period of March- May 2018 is about 697 won/month·generation. In March 2017, it was found to decrease by about 26% of the sale price.
        292.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wo major forest medicinal resources,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and Cnidii rhizoma (Cnidium officnale Makino) were used as medicinal herbs for long times and in these day consumed as cosmetic materials. For keep pace with a mass demand and supply, pesticides were should be sprayed for control of pests and plant diseases. However, the social concerns on well-balanced life, pesticides safety, and continuous and stable production of clean non-timber products were increased with the times. Therefore, environmental-friendly cultivation was increased before decade. This study performed for selection of effective control agents to hyphal growth of leaf spot and anthracnose in two medicinal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fungal effects of eugneol, pine needle E.O, and 7 natural product extracts (Sophora root, green tea, neem, eucalyptus, grapefruit seed, derris, and 36% rosin) were evaluated against two plant pathogens (Phoma sp.,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fter re-loading of each 20 ㎕ natural product extracts to the PDA plate which loaded two spore dilution (106 spores/㎖) 100 ㎕, the hyphal growth control effects to pathogens were confirmed. Among 9 control agents, eugenol and pine needle E.O were the most effective, and then Sophora root, green tea, and neem. However, 4 agents (eucalyptus, 36% rosin, grapefruit seed, and derris) were not effective. Conclusion : It confirmed that possibility as a control agents of eugenol and pine needle E.O to leaf spot (Phoma sp.) of Korean angelica and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f Cnidii rhizoma, respectively. We will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safe in the forest lands
        29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시 선진국 등 자국의 폐기물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서 부적정 처리를 진행해 왔으며 이러한 이슈는 국제문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1976년 이탈리아 소베소에서 발생한 다이옥신 유출사고 때 증발한 폐기물이 1983년 그린피스에 의해 프랑스의 한 마을에서 발견되었고, 그 후 1987년 6월 ‘유해폐기물의 환경적이고 건전한 관리를 위한 타이로 지침과 원칙’이 채택된 카이로 지침을 바탕으로 1989년 3월 스위스 바젤에서 세계 116개국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바젤협약(1992년 5월 협약 발효)이 채택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1994년 바젤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폐기물국가간이동법을 제정하여 수출입 폐기물을 바젤협약의 분류체계로 전환하였으며, 최근에는 수출입 규제폐기물과 관리폐기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 들어 바젤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국가 간 수출입 폐기물 규제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제도마련을 회원국들에 요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환경부 및 국립환경과학원)에서도 이에 맞추어 수입 및 수출되는 폐기물의 통관절차・이동・유통・저장 및 재활용 처리 등 전 부분에 걸쳐 관리체계의 개선에 대해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제 및 관리폐기물 판단기준 부제, 폐기물과 중고제품 구분의 모호성, 수출입 폐기물 품목 세부 분류의 필요성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수출입 폐기물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문제점과 이를 극복할 앞으로의 해결 방안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였다.
        29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기물 수출입 제도는 국가 간 이동 시에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불법교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1983년 3월 스위스 바젤에서는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을 채택하여 유해폐기물의 불법적 이동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및 개도국의 환경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2월 28일 이 협약에 가입하였고 이 후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의 제・개정을 통하여 수출입 폐기물을 규제폐기물과 관리폐기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재 수출입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입 신고대상 폐기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연소잔재물로써 2016년 기준 1,297,094 톤/년에 이르고 있다. 연소잔재물은 2008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비용의 문제가 가장 큰 이유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발생한 연소잔재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육상운송 등의 비용이 따르지만, 일본에서 수입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처리비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를 시멘트 대체원료, 보조연료로 대부분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및 민간단체 등에서 환경과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연소잔재물의 관리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수출입 현황 및 국내 현황의 흐름을 조사하고, 국내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활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29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the standardization of nutrient sources by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and analysis of imported nutrient sources used in Pleurotus ostreatus culture. As a first resul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was not detected or trace,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cotton seed pomace was 6.22% in Australia,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or USA. As a second result of physical properties of nutrient sources,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beet pulp from Egypt was higher with increasing pressure. The volume water content of US was highest at 400hpa and 500hpa in case of cottonseed meal. Third,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was the highest at pH 5.51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the highest at 2.45, and the C/N ratio was the highest at 28.18. Last result shows that first germination day, yield and biological effciency of all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net except T2. These results shows that australian cootton was inappropriate to Pleurotus ostreatus culture. Nevertheless, the safety and standardization of the Pleurotus ostreatus culture medium should be assured by reviewing the media low material importing season, mushroom yield and nutrient sources.
        29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북도 정읍에 거주하는 60대 이상의 여성 19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초부터 3월말까지 분대로 불리는 식물에 대해 인지 정도와 정명 및 이명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예비 조사에서 얻어진 결과를 참조해 관련 사진을 준비하여 응답자들에게 보여 주면서 연령대, 지역별에 따 른 지역명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분대로 불리는 식물은 수리취와 절굿대였는데 정명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수리취의 경우 1명뿐이 었으며, 절굿대에 대해서는 없었다. 응답자들이 수리취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분대(107명), 모름(12명), 함박분대(6명), 넓적분대(2명), 수리취(1명) 순이었다. 절굿대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가새분대(90명), 모름(25명), 가시분대(15명), 쐐기분대(1명) 순이었다. 응답자들 이 수리취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1종류의 경우 98명(82.3%), 0종류는 12명(10.0%), 2종류는 9명(7.6%)이었다. 절굿대에 대해 알고 있는 이름은 1종류의 경우 84명(70.6%), 0종류는 25명(21.0%). 2종류는 9명(7.6%), 1종류는 1명(8.4%)이었다. 연령대별로는 수리취의 경우 존 재 자체를 모른다는 응답은 모두 70대 이하에서 나타났는데, 특히 60대가 8명으로 66.7%를 차지했다. 절굿대에 대해서도 존재를 모른다는 응답은 60대가 18명으로 72.0%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읍에서 60대 이상 여성들은 수리취와 절굿대에 대해 주로 분대로 부르면서 접두어를 사용해 구별하고 있었다. 또 수리취와 절굿대를 이용한 떡문화 쇠퇴와 함께 이들 식물에 대해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명에 대한 인식 확산과 이들 식물의 용도 확대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활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97.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수처리장의 증가와 함께 하수슬러지의 발생량 또한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2025년은 2006년 대비 2배가 더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슬러지는 주로 해양투기와 재활용에 의하여 처리되어 왔으나, 가장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이었던 해양투기가 2012년 01월부터 전면금지가 되었다. 현재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 중 재활용은 약 56%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재활용은 매립지의 복토재, 건설자재, 토목자재, 시멘트 원료화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재활용 처리방법 중 매립지의 복토재로 재활용하는 것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친환경적인 처리방법 및 MICP 미생물에 관한 고형화/안정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를 고형화/안정화 한 후 매립지의 복토재로서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생물학적 및 광물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하수슬러지 및 고화제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하수슬러지의 고형화적 품질기준인 pH, 수분함량, 투수계수, 일축압축 강도, 유해물질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하수슬러지가 고화처리 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탄산칼슘의 광물학적 분석을 병행하여 고형화/안정화에 대한 신뢰성을 갖고자 한다.
        29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easible disposal methods for heavy-metal-contaminated soil or mine tailings through solidification/stabilization. To improv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nhance the heavy-metal stabilization after solidification/stabilization, we used the industrial wastes (oyster shell powder and waste gypsum) and indigenous bacteria as immobilization agents. Three indigenou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each heavy-metal-contaminated soil or mine tailing site, and the bacteria were identified by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The results of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losest strains of these bacteria are Brevibacillus centrosporus, Lysinibacillus sphaericus, and Bacillus megateriu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search was the first report of biomineralization by Brevibacillus centrosporus. As a result of mixing additives with the optimum mixing ratio suggested in this study,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specimens were satisfied in accordance with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waste treatment standard after 28 days of aging.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e 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TCLP) and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SPLP) analysis showed the successful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after 28 days of specimen formation for solidification/stabilization.
        29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changes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applicability in a case of rice cultivation with organic fertilizers. The investigator applied organic fertilizers to rice cultivation for five years to examine changes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found that the experiment group of organic fertilizers made an ongoing increase in pH, organism content,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 annual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ith no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organic fertilizers used. As for the yield compon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ikelets and grain filling rat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organic fertilizers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recorded a higher level in 1,000 seeds weight and yield tha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4 recorded the highest level at 29.11 kg of 1,000 seeds weight. Experiment Groups 3 and 4, which used 222 kg and 267 kg per 10 a, respectively, recorded 576 kg and 572 kg of yield, respectively, which were 4.7% and 4.1% higher than 549 kg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As for the quality of brown ric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head rice percentage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both of which were in the range of 83.2-85.7%. As for the protein content, Experiment Groups 3 and 4, both of which used a lot of organic fertilizers, were in the range of 6.9-7.1%, which was lower than 7.5% of control group.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s can improv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increase the yield mor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fertilizer applica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222 kg of organic fertilizers or more per 10 a.
        300.
        2016.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혁명 이후 산업발달과 더불어 폐기물 발생량 또한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이용하는 자원순환형 폐기물 관리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법적, 제도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체계에 따라 생활폐기물, 건설폐기물, 사업장폐기물이 재활용 되고 있다. 사업장 폐기물 중 폐석고는 건축 공업용 페인트, 인쇄 잉크, 도자기 등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업장 폐기물로서 연간 약 400 만톤이 발생되고 있다. 발생된 폐석고는 석고보드 및 농업용으로 재활용 되고 있다. 하지만 재활용되지 못한 잉여분은 매립시설에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른 추가적인 재활용 방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MICP(microbi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는 urea 가수분해 효소를 생성하는 미생물의 urea 분해 메커니즘을 통해 탄산칼슘과 같은 탄산염을 석출시키는 기작을 말한다. 최근 국내・외로 MICP 기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폐석고를 재활용함에 있어 MICP 기작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시설에 매립되는 폐석고의 물리・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최적의 칼슘이온 용출 조건을 도출하고, MICP 기작을 통한 탄산칼슘 형성을 확인하여 폐석고를 재활용함에 있어서 MICP 기작을 활용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폐석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XRD, XRF, 입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물리・화학적 전처리에 따른 칼슘이온 농도를 ICP-AES로 분석하였다. 특히, 미생물 투입 후 형성된 침전물에 대하여 XRD 및 FE-SEM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