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1

        364.
        200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rtual Reality(VR) is a new technology which makes humans communicate with computer. It allows the user to see, hear, feel and interact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created graphically. In this paper, we introduced VR into psychotherapy area and developed VR system for the exposure therapy of acrophobia. Acrophobia is an abnormal fear of heights. Medications or cognitive-behavior methods have been mainly used as a treatment. Lately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that kind of anxiety disorders. A virtual environment provides patient with stimuli which arouses phobia, and exposing to that environment makes him having ability to over come the fear. In this study, the elevator stimulator that composed with a position sensor, head mount display, and audio system, is suggested. To illustrate the physiological difference between a person who has a feel of phobia and without phobia, heart rate was measured during experiment. And also measured a person's HR after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psychotherapy through the clinical experiment.
        4,000원
        366.
        200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research project was conducted to stud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at a die-casting plant in Korea. The project was consisted of 4 main parts; education on the topics of MSDs for all workers, symptom survey, medical check-up, investigation of MSD risk factors. The result of symptom survey showed that 89.5% of the respondents complained pains on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After cross-sectional analysis of various information and risk factors based upon NIOSH criteria, 83.3% of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1, and 16% of the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2 those are at high risk of having MSDs based upon a criteria developed by Institute of Labor Science at University of Incheon. Also the result of medical examination by a industrial medicine MD showed that 41workers(44.1%) out of 93 workers examined were considered as MSD patient group at moderate level, and 10 workers(10.8%) were considered as MSD patient group at relatively high level that require certain level of medical treatment and ergonomics interventions for their workplace. The analysis of the work environment using various ergonomic investigation techniques revealed that repeated awakard postures(50%) and highly repatitive task(37.5%) were two most contributing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MSD at this work site followed by handling of heavy object(8.3%), and vibration(4.2%).
        3,000원
        367.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n attempt to develop new functional health beverage by using medicinal herb, gree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on blood pressure an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of rats with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Zingiber officinale extract increase rCBF significantly. The drink produced consisted of Zingiber officinale extract 1.825%, maltitol syrup 17.0%, citric aicd 0.06%, ascorbic acid 0.02%, stevioside 0.001%, ginger flavor 0.11% and water. Brix, pH and acidity of product were 13.7, 4.4 and 0.09, respectively. This drink had good score by the sensory evaluation.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development of such functional beverage using Zingiber officinale can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 improving blood circulation in beverage industry.
        4,000원
        37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thyl cellulose(EC)와 platinum(II) acetylacetonate(Pt), rhodium(III)acetylacetonate(Rh)를 이용하여 용매증발법으로 고분자-금속 착체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최종 분리막의 제막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금속염의 조성을 변화시켰다. (0.3-4.0 wt%). FTIR을 이용하여 EC-금속착체막을 분석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막의 구조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메탄 가스들의 투과성능을 조사하였다. 금속염들은 모든 가스들의 선택도의 감소없이 투과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Pt의 경우 산소와 질소가스의 투과성능에 더 영향이 있었으며, Rh은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의 투과도에 더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C-Pt 착체막의 경우에는, Pt의 산소와의 친화력특성에 기인하여 산소/질소의 선택도가 증가(37%)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4,000원
        375.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녹차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합성보존료인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식중독세균(Listeria monocytogenes, Staphu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녹차추출물과 보존료를 0∼2%(w/v) 첨가한 tryptic soy broth(TSB)에 균액을 약 105 CFU/ml가 되게 접종하여 35℃에서 24∼48시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후 세균의 생존곡선으로부터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를 구하였다, 식중독세균에 대한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가 높을수록 컸으나 보존료의 항균활성은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S. aureus는 녹차추출물에 의하여 가장 쉽게 사멸되었으나 보존료에 대하여느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pH 5.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0.25∼0.35%, MBC는 1.0∼2.0%였다. Potassium sorbate와 sodium benzoate의 S. aureus에 대한 MIC는 pH 5.5∼6.0에서 0.52∼0.98%였으나 pH 7.0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pH 6.5∼7.0에서 녹차추출물들의 S. typhimurium에 대한 MIC는 0.46∼1.62%였으나 pH5.5에서는 세균 증식이 억제되지 않았다. S. typhimurium에 대한 보존료의 MIC는 pH5.5∼6.0에서 0.30∼1.30%였으며 pH 5.5 potassium sorbate 2.0% 농도에서 이 세균은 사멸되었다.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모든 시험균주는 pH7.0에서 1.0∼2.0%의 녹차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사멸되었다.
        4,000원
        37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Rhizopus japonicus T2, Aspergillus oryzae L2 및 Hansenula sp. BC26을 살균된 밀기울에 접종 및 배양하여 제조한 개량누룩의 양조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량누룩, 시판누룩 및 쌀입국으로 각각 탁주를 담가 발효시키면서 술덧의 미생물 변화와 중요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효모수는 개량누룩 술덧이 시판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젖산균은 시판누룩 술덧에는 높게 유지되었으나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은 그렇지 않았다. pH는 모든 술덧이 1일 이후에 안정화되었으며, 개량누룩 술덧의 pH가 시판누룩 술덧이나 쌀입국 술덧의 pH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총산 함량의 증가는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은 적절하였으나 시판누룩 술덧은 지나치게 많았다. 아니노산 함량의 증가는 개량누룩 술덧과 시판누룩 술덧이 쌀입국 술덧보다 훨씬 높았다. 알콜함량의 증가속도는 개량누룩 술덧과 쌀입국 술덧이 시판누룩 술덧보다 훨씬 빨랐다. 환원당의 함량은 시판누룩 술덧과 개량누룩 술덧은 쌀입국 술덧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개량누룩은 적은 양을 사용하였음에도 발효과정중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정상적이었으며, 발효는 잘 진행되었다.
        4,000원
        378.
        199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전자의 안전과 감성적 요구사항이 중요시 되는 차세대 자동차의 IP(Instrument Panel) 설계를 위해 운전자으 인지특성을 고려하였다. 오디어 유닛과 HVAC(Heat,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등의 주요 IP 구성요소 설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운전자의 인지특성과 가장부합하는 형태의 IP를 도출하기 위해 인지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기존의 차량에 설계된 IP 궁성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버튼의 수와 배열, LCD패널의 위치등을 조합하여 총 16개의 IP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제작된 프로타입을 각각 0.2, 0.4, 0.6초의 간격으로 Tachisto scope를 이용하여 피실험자에게 제시한후, 인간의 인지 지도(Human cognitive Map)에 근거한 '그리가 방법(Drawing Method)'을 이용하여 그들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상의 정보를 주어진 답안지에 그리도록 하였다. 이 인지실험의 다구찌 분석을 통하여 운전자의 인지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IP형태를 제시하였다.
        4,200원
        379.
        199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수한 Rutile에서 점결함의 형태와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1~10-23atm의 산소분압 범위 및 700~1300˚C의 온도 범위에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의 산소분압 의존성(logσ/logPo2)으로부터 산소분압 및 온도 변화에 따라 다음과 같은 지배적인 결함들을 제안한다. 1) TinO2n-1, 2)침입형 Ti 이온 3)2가로 하전된 산소빈자리 4)불순물에 의해 형성된 2가로 하전된 산소빈자리 5) n-p전이 및 p형 전도 또한, 고유범위의 실험결과로부터 계산한 Ti와 Vo의 결함형성 엔탈피는 각각, 10.2eV와 4.92eV였다.
        4,000원
        380.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켓반죽의 저온숙성이 바켓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글루텐을 완전하게 발전시킨 반죽을 세등분하여 즉시 성형하여 구운 것과 1∼-1℃에서 각각 24, 48시간 저온숙성시키고 발효 및 저온숙성 중의 pH변화와 유기산 종류 및 그 함량을 분석하였다. 바켓 발효과정중 생성되는 유기산은 ace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lactic acid였으며 저온숙성 중 pH변화는 극히 적었다. 각각의 시료를 20℃에서 저장보관하면서 DSC를 사용하여 crumb의 enthalpy 변화로 바켓의 노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반죽의 저온숙성 기간의 차이는 제품의 노화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으며 종류별로 구워낸 바켓의 저장중에 enthalpy가 증가하여 노화도에 차이를 보였다. 한편 관능검사의 결과는 2시간 발효시킨 바켓의 외관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맛, 조직감, 향미 등은 24시간 저온숙성시킨 것이 다른 것에 비하여 높은 평점을 받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