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6

        361.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니켈재료의 원료분말로 활용될 수 있는 hollw 니켈금속분말 계조를 위한 니켈-흑연복합분말의 흑연코어 기화과정에 관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수증개-수소 혼합가스에 의한 복합분말중 흑연코어의 기화온도는 800˚C~900˚C였으며, 약 1시간의 기화반응에 의해 내부가 텅 빈 hollw니켈금속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흑연코어의 평균입도가 21μm인 82.2tw,% 니켈-17.87tw.5 흑연 복합분말로부터 제조된 hollw니켈금속분말을 100Kg/c m2의 압력으로 압축, 성형한 성형체의 겉보기 기공도는 45%이었으며, 이성형체를 진공로에서 1150˚C 의 온도로 1시간 소결하여 30%의 기공도와 소재내에 균질한 기공분포를 갖즌 소결체를 얻음으로써 다공성재료 제조시 hollow분말을 원료로 사용하여 재료 내의 기공에 관한 제반사항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363.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크기의 이중실관 생물 반응기에서의 Aspergillus niger(KCTC 1232)를 이용한 구연산 생산 실험을 수행하였다. 초종 세포농도는 세포 성장구간 기준으로 300g/l에 달하였다. 공기와 산소의 공급 조건하에서의 단위 용적당의 생산성은 각각 0.63, 0.02g/l.h였고 이는 회분식 발효에 대해 10, 16배 증가한 결과이다. 공급배지의 초기 pH는 구연산의 생산에 중요한 요소이며 pH가 낮을수록 높은 구연산 생산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Scale-up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응기 unit와 배지의 공급속도를 변화시킨 결과 반응기 unit와 배지 공급속도의 증가는 기질의 높은 소비속도로 인해 생산성의 증가를 가져왔다.
        4,000원
        36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geological and terrain factors of the part of Choogaryeong Rift Valley between Yeoncheon and Cheolwon. The results are: (1) The geology is composed of three kinds of rocks: Yeoncheon System, Jurassic volcanic rocks and Quaternary Jeongok basalt. (2) It seems to be that there are basaltic layers of 7-8m thickness below the rift valley by the analysis of resistivity survey. (3) The topography of the reg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characteristic parts: the rift valley and surrounding mountainous area. (4) The site of the area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boundary where two kinds of different geologic factors contact. (5) The situation of the area is important because of its central location between Seoul and Wonsan.
        4,000원
        36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도국의 대선진국 직접투자는 흐름방향면에서 역투자로서의 의미를 지니며 전통적인 해외직접투자와는 그 특징이 상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해외직접투자이론으로서는 그 설명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제조업 중 대선진국 직접투자가 가장 활발한 가전산업의 해외투자를 분석한 결과 가전산업의 대선진국투자는 i) 독점적 우위의 부재, ⅱ) 방어적이고 생존적인 차원에서의 진출 ⅲ) 미성숙한 유형의 투자라는 특징을 가짐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이론의 설명력 한계를 살펴본 다음, 대선진국 역투자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한국가전산업의 역투자는 우리 경제의 성장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선택된 대량생산- 저가수출전략이라는 기존의 의사결정을 단기간내에 바꿀 수 없는 경직성으로인해 독점적 우위없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진, 수출시장보호라는 생산차원에서 내려진 구조적 시장방어행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가전 산업의 대선진국투자는 그 생명이 길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독점적우위확보, 글로벌 네투워크화, 전략적제휴 등을 통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7,800원
        366.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nch Bowl basin is analysed for the earth science and terrain factors such as geology, geophysical features, topography and water systems.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two kinds of rocks : Jurrasic granite in the central part and Precambrian metamorphic complex in the marginal part of she basin. The depth of the base rock is about 20 to 40 meters below the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basin. The process which has formed the basin may be the differential weathering of the rocks. The morphology of the slope of the basin is concave and the slope is about 20° above the nickpoint and about 5° below it. The water system of the region is very poor in drainage pattern.
        4,000원
        367.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 진주의 야외에서 1984년부터 1987년까지 고자리파리, Delia antoqia(Meigen)의 발생소장을 트랩을 설치하여 조사한 결과, 고자리파리는 연 3회 발생하였으며 제2화기, 성충의 발생량이 적었다.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월동세대 (1화기)가 4월 중순, 제1세대 (2화기)가 6월 상순, 가을세대 (3화기)가 9월 하순-10월 상순이었다. 야외에서 충을 사육하여 우화상황을 조사한 결과, 제 1세대 용의 일부와 제2세대 용의 대부분이 하면하였다. 제1세대의 경우 야외에서 비하염용의 용기간은 22.4일 이하인 반면 하면용의 용기간은 88.5-145일로 늦게 용화한 개체일수록 짧아져서 우화최성기는 제2세대 용과 함께 9월 하순으로 일치하였다. 제1세대의 경우 5월 상순에 용화한 개체들은 43.8%가 하면용인 반면에 5월 하순 이후에 용화한 것은 86.7%이상이 하면상태이어서 용화시기가 늦을수록 그 비율이 증가하였고, 제2세대는 용화시기에 관계없이 93.3% 이상이 하 면용이 었다.
        4,000원
        368.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idazole계(系) 농약(農藥)인 prochloraz와 triazole계(系)인 triadimefon의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Valsa ceratosperma)에 대한 항균력(抗菌力) 및 지방산(脂肪酸)의 조성변화(組成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균(菌)이 생육(生育)하고 있는 PS액체배지(液體培地)에 두 약제(藥劑)를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값은 prochloraz의 경우는 1~5ppm이었고 triadimelon은 5~10ppm이었으며 prochloraz의 저해능(沮害能)이 다소 높았다. 균사(菌絲)의 현미경(顯微鏡) 관찰결과(觀察結果) 약제(藥劑)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모두 균사(菌絲)의 이상생육현상(異常生育現象)이 관찰(觀察)되었다. 균체(菌體)에 약제(藥劑)를 처리(處理)함으로 인해서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균체중(菌體中)의 총지질(總脂質) 및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69.
        202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in ozone (O3) concentration due to the reduction in nitrogen oxides (N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ssions in Busan. When the NOx and, VOCs emissions were reduced by 40% and, 31%, respectively, the average O3 concentration increased by 4.24 ppb, with the highest O3 change observed in the central region (4.59 ppb). This was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O3 titration by nitric oxide (NO) due to the reduction of NOx emissions in Busan, which is classified as a VOCs-limited area. The distribution of O3 concentration changes was closely related to NOx emissions per area, and inland emission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aily maximum concentrations and 8-h average O3 concentrations. Contrastingly, the effect of emission reduction depended on the wind direction. This suggests that the emission reduction effects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mission reduction effects in Busan.
        370.
        202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ocean emission sources on the simulated O3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using the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 To analyze changes in O3 concentrations by ocean emissions, two different CMAQ simulations considering ocean emissions (OE case) and without considering ocean emissions (NE case) were conducted during the Korea-United States air quality (KORUS-AQ) campaign period (May–June 2016). The changes in the simulated O3 concentrations due to the effect of ocean emissions (OE case-NE case) appeared mostly in the ocean areas (+1.201 ppbv). The effect of ocean emissions was positive during the daytime (+1.813 ppbv), but negative during the nighttime (–0.612 ppbv).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process rate (IPR) confirme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O3 concentration by ocean emissions was mainly due to chemical processes. Further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reaction rate (IRR) showed that the daytime increase in O3 concentration was mainly attributable to the increased O3 production via O + O2 + M → O3 + M reaction as photolysis of NO2 increased due to the added ocean emissions. The nighttime decrease in O3 concentration was mainly due to the increased O3 titration by NO (NO + O3 → O2 + NO2) due to the increased NO emi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3 in the sea area by the effect of ocean emissions are mainly due to increased NOx emissions. However, there could be a number of uncertainties in ocean emissions data used in this study, thus continuous comparative research using the most updated data will need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37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설교량의 접속부 구간은 하부구조의 지지강성의 차이로 인해 부등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취약구간이다. 부등침하로 인한 접속부의 단차 발생으로 노면소음, 접속슬래브 파손, 차량진동, 구조물의 충돌하중 발생 등의 문제점이 나타 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재포장을 실시하여 가설교량과 뒤채움부의 단차를 조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 우회용 가설교량의 현장 조사를 통한 분석한 결과 가설교량의 경우 뒤채움부가 폐합된 일반 교량과 달리 접속부 형상이 복잡하여 토사 유실로 인한 침하 가능성이 높고 뒤채움부 침하로 인한 접속부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가설교량 단부의 3차원 설계를 통해 가설교량의 특징을 고려한 뒤채움 침하 방지 방안을 연구하였다
        37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 μ㏖ CO2·m−2·s−1, 54.2 m㏖ H2O·m2·s−1, 0.66 m㏖ H2O·m−2·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
        373.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형 어선의 재화상태에 따른 중량 및 무게중심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소형 어선에 탑재되는 중량물은 선원, 어구 등의 고정 중량과 연료, 청수, 식량, 미끼, 어획물 등의 가변 중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양한 소형 어선들의 중량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후, 각 탑재물의 중량 및 무게중심을 총톤수에 대하여 선형 함수화하였다. 그리고 재화상태를 고려하여 각 가변 중량물에 가중치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총 중량 및 무게중심 추정식을 구성하였다. 소형 어선의 길이와 총톤수, 그리고 재화상태 정보만을 활용하여 총 중량 및 무게중심을 상당히 신뢰도 높게 추정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37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and Zucc) oil is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al material to treat severs stomach inflammation and as a diureti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antioxidants and blended oil the storage stability and safety of the biomaterial. Methods and Results: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light on sancho oil were investigated, and the ability of antioxidants in preventing rancidity of the oil was discovered. Under fluorescent light and in darkness, the acidity of the oil was much lower than that under direct sunlight.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decreased the acid value of sancho oil; the antioxidant that showed the best results in this regard was 0.5% propolis. The acid value of canola oil, which had the lowest acid value compared with that of other oils, and blended oil, containing 5% canola oil in sancho oil, decreased by 5.5% and 15%, respectively. About one acid value decrease was observed for every 1% increase in blending with canola oil. As the concentration of canola oil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lightness (L valu) of sancho oil increased slightly, while the blueness (b value)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nsuring food safety during preservation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presevation of sancho oil.
        375.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는 인구의 증가 및 도시의 산업화, 소비에 따른 축산업의 발달로 인해 하수처리 및 음식물류와 가축 분뇨폐기물인 유기성폐자원의 처리규모와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기성폐기물의 육상처리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효과적 활용에 대한 정책 추진과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매립, 소각을 포함한 육상처리 방법 중, 바이오가스화는 혐기소화 과정에서 신재생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시설로 현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신규설치가 많이 이루어지는 반면, 시설의 메탄가스 생산량이 아직 미흡하거나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며, 15년도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시설 중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10.99 m3/ton이며, 음식물 72 m3/ton, 가축분뇨 14.84 m3/ton, 병합처리 14.51 m3/ton을 생산하고 있어, 혐기소화효율이 미국 등 선진국대비 약 54.2%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국 8개 시설에 대해서 다양한 유기성폐자원의 원료유입에서 기원하는 유입에너지와 바이오가스화 설비 운전을 위한 전력 소비에너지를 유입에너지로 설정하고, 혐기소화를 통한 바이오메탄의 잠재에너지와 미분해 유기물의 잠재에너지를 유출에너지로 산정하여 에너지수지분석을 진행하였다. 음식물/음폐수 시설의 바이오가스 에너지전환율은 80.1%이며, 가축분뇨 86.5%, 하수슬러지 22.8~57.7%로 분석되었다. 유입원료의 생산효율로는 음식물/음폐수 시설이 72.2% 이상으로 분석되었고 일부 유입에너지의 과소평가 및 바이오가스 생산량 과다측정으로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수치로도 분석되었다. 따라서 에너지수지분석은 에너지전환효율과 시설 효율과 시설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한 유량계측 표준화 및 설비 별 전력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계측 표준화작업이 요구되어진다.
        37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화는 혐기소화를 통한 메탄가스(CH4)를 생산하는 시설로 현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15년도 기준 전국 61 개소의 하수처리장에서 하수슬러지 소화시설을 운영 중에 있다.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스팀보일러를 가동하거나 발전기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최초 혐기소화조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는 유입된 폐기물에 따라 메탄함량 약 55~70%이며, 황화수소(H2S) 2,500~5,000ppm, 상대습도 약 90%를 나타난다. 바이오가스를 전처리 없이 바로 사용하게 되면 황화수소가 수분과 결합하여 황산을 생산하게 된다. 황산은 기계적 마찰이 많은 발전기 내부를 마모시키고 부식시키는 원인이 되고, 배관의 부식을 유발한다. 우리나라는 급격하게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추진되면서 많은 시행착오로 인한 고장과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보여 왔다. 전국 11개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각 공정 별 가스상의 수분을 측정하였고, 해외기과 발전기 운전적정 수분값을 구하여 바이오가스 이용을 위한 수분함량 가이드라인 설정을 하고자 한다. 국내 소화조 후단 바이오가스 수분측정 결과 음식물/음폐수의 경우 노점온도 26.8 ℃, 절대습도 25.7 g/m3, 상대습도 82.9%로 측정되었고, 가축분뇨는 노점온도 28.7 ℃, 절대습도 28.0 g/m3, 상대습도 82.7%이고, 하수슬러지의 경우 노점온도 24.8 ℃, 절대습도 22.6 g/m3, 상대습도 77.2%로 측정되었다. 또한 제습설비가 운영되고 유지가 잘된 시설의 경우 절대습도 25.5 g/m3에서 12.0 g/m3으로 약 51.1% 감소되었고, 상대습도도 77.2%에서 34.9%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제습설비가 미흡한 시설에서는 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따라서 국내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는 제습처리가 적정수준으로 처리할 경우 노점온도 약 14 ℃를 만족하며, 절대습도 15.4 g/m3과 평균 가스온도인 31 ℃ 기준 상대습도 48%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37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AE non-destructive testing equipment and signal analysis method for external tendon of PSC (Pre-Stressed Concrete) bridge. The AE NDT equipment, which h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AE sensor, signal receiver, hitting device, driving part and main frame. Defective and non-defective specimens, designed to emulate signal characteristics for external duct with void(25%, 50% and 100%) or not, were constructed and tes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E NDT equipment. Test results and AE parameters comparisons between defective and non-defective specimens are presented.
        37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production is largely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old, heat and flooding. Here, to identify cold tolerant QTLs at seedling stage in rice, we generated RIL population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Hanareum 2 and Unkwang which are a highly cold sensitive and cold tolerant, respectively. We observed cold phenotype of this population in the growth chamber conditions and natural field conditions. For observation of cold tolerant phenotype of RIL population in the growth chamber, we treated cold stress (5~13℃) for 14 days and recovery for 4 days. When we examined the phenotype of RIL in the field conditions, temperature range in the field conditions was about 6 to 25℃ in 2015~2016. We named QTLs as Seedling Cold Tolerant (SCT) in growth chamber and Cold induced Yellowing Tolerant (CYT) in the field, respectively. Three QTLs for SCT and 5 QTLs for CYT were detected on chromosome 1, 6, 7, 8, 10, 11 and 12. Among these QTLs, qSCT12 on chromosome 12 showed 26.3 LOD score with 25.5% of phenotypic variation. When qSCT11.1 and qSCT12 were combined, cold tolerant was most strongest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s. qCYT10 on chromosome 10 was identified in field experiment on both 2015 and 2016. These result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a marker-assisted breeding program to improve cold tolerance in rice.
        379.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수슬러지와 음식물류폐기물을 포함한 유기성폐기물은 도시의 산업화, 인구 증가에 따라 그 규모와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수슬러지의 경우, 2003년 이후로 연평균 4.6 %씩 꾸준히 증가하여 2014년 기준 597 개소 하수처리장에서 약 10,112.7 ton/d 정도 발생되었다. 같은 해 음식물류폐기물은 총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27.4 %인 13,697.4 ton/d 규모로 배출되었다. 2012년 이후 음식물류폐기물을 필두로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유기성폐기물의 육상처리와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효과적 활용에 대한 정책 추진과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매립, 소각을 포함한 육상처리 방법 중, 바이오가스화는 혐기소화 과정에서 신재생 에너지원인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시설로 현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국 12개소 하수슬러지 단독 및 병합처리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사계절 평균으로 정밀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 시설의 효율성 분석에서 유기물분해율은 VS 기준 55.2 %, CODcr 기준 48.7 %로 나타났다. 병합처리 시설의 유입 VS 농도는 단독처리시 2.59 % 보다 1.6배 높은 4.05 %로 조사되었다. 대상 시료의 원소분석시 평균 C/N비는 유입 7.7, 유출 6.5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시설의 안정성 분석에서 혐기소화조 유출액의 VFAs은 수분석시 427 mg/L, 기기분석시 42 mg/L로 분석되었으며, 소화슬러지 탈리여액의 질소와 인은 TN 1,229 mg/L, TP 155 mg/L 등으로 안정적인 운전범위에 속하였다.
        380.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하수처리장의 바이오가스화 시설은 낮은 농축율로 인한 저농도 유입수, 공정 흐름별 운영기술에 대한 노하우 부족 및 관리 미숙으로 인하여 혐기소화 효율이 미국 등 선진국 대비 약 54.2 %에 불과한 실정이다. 환경부는 바이오가스화 효율을 증진하고 하수슬러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에너지자립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특히 혐기소화조가 미설치된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음식물류폐기물과 병합소화시 연계 하수처리장의 유입 수질 등을 사전에 검토한 후 신규 소화조를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하수슬러지 단독 및 병합처리 시설의 혐기소화조 내부 유출액에 대한 최우점 미생물 종을 분석하고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주요 운전인자(유기물부하율, 메탄가스 발생량, C/N 비 등) 간의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수슬러지 단독 및 병합처리 시설의 상관관계 분포가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메탄가스 생성율은 음폐수의 영향으로 VFAs, C/N비, VS/TS 등과 비례관계를 보임과 동시에 Mesotoga, Methanosaeta 미생물 군이 우점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하수슬러지 단독처리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혐기소화조에서는 Copro-thermobacter, Methanosarcina 등의 미생물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