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1

        2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 무주 지역의 36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임목(지상부와 지하부), 고사목, 유기물층, 토양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총 3개의 표준지 내에서 11 그루의 표준목을 선정하였고 고사목, 유기물 층, 토양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에 대한 지상부 및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각각 51.0 ton C/ha, 29.6 ton C/ha로 나타났다. 부위별 구성비는 줄기 목질부 41.0% > 뿌리 36.8% > 가지 12.8% > 줄기 수피 6.0% > 잎 3.4%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목의 탄소저장량은 0.65 ton C/ha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층 탄소저장량은 6.40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의 총 탄소저장량은 51.62 ton C/ha로 나타났으며 층위별 탄소저장량은 0∼10㎝에서 20.27 ton C/ha, 10∼20㎝에서 12.83 ton C/ha, 20∼30㎝에서 12.27 ton C/ha, 30∼50㎝ 에서 6.24 ton C/ha로 나타났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층위가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탄소농도와 용적밀도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은 총 139.27 ton C/ha로 나타났고 탄소저장량 구성비는 토양에서 37.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지상부에서 36.6%로 나타났고 지하부(21.3%), 유기물층(4.6%), 고사목(0.5%)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 탄소저장량 산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남지역에 분포하는 사유림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의 산림경영율을 지역별, 임상별, 영급별, 경급별, 주요 수종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청남도 사유림에서 조사된 제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고정표본점은 총 971개소이며, 사유림 내에서 포괄적인 산림시업이 이루어진 고정표본점은 총 752개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청남도 전체 사유림에 대한 포괄적인 산림경영율은 약 86.37%로 나타났다. 지역별 사유림에 대한 매년 연도별 산림 경영율은 공주시에서 14.07%로 가장 높은 경영율을 보였고 반면에 홍성군이 1.14%로 가장 낮은 경영율을 보였다. 임상별 산림경영율은 활엽수림에서 3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혼효림에서 22.8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영급은 3영급(33.77%)과 4영급(37.64%)에서 가장 높은 산림경영율로 나타났으며, 경급은 소경목(43.27%), 중경목(35.18%), 대경목(1.41%)으로 갈수록 산림경영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충남지역에 분포하는 사유림의 포괄적인 사유림경영율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시험림 일대의 삼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간곡선식을 추정하여 임목의 간재적표를 작성하였다. 조사대상지는 제주시험림 내 삼나무조림지에서 임분을 대표할 수 있는 표준지를 선정하여 직경이 골고루 분포하도록 총 20그루의 표본목을 공시목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곡선식은 Kozak 모형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적합성 지수는 99%, 오차는 0.008, 절대평균편차는 0.83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삼나무림 간재적표는 제주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삼나무림의 합리적 경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4.
        2013.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irborne fungi as indoor air pollutant have attention due to its health related problems such as asthma, rhinitis, sinusitis, atopy, pneumonia, building syndrome and etc..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current laws and policies in Korea are not efficient to deal with these problems. Our research investigated influential factors and species distribution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airborne fungi issue conduced in Korea by applying meta analysis technique. We selected 15 articles containing variables affecting fungi population such as outdoor air characteristics, temperature, location, and ventilation to evaluate significant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airborne fungi level has partial correlation to those factors despite of limited sample size. It is required that the consistent and systematic research effort should be extended to characterize health effect caused by these fungi as well as to control them efficiently.
        4,800원
        25.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 조림 수종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임분을 대상으로 총 15본의 표본목 자료를 이용하여 영급별 줄기밀도 및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영급별(20년 단위) Stand 1, 2, 3의 임목 전체 건중량은 2.93, 168.72, 402.27kg/tree로 나타났고, 지상부 건중량은 6.35, 184.74, 251.35 ton/ha 등으로 나타났으며,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7.62, 227.77, 308.14 ton/ha로 나타났다. 줄기밀도는 5% 유의수준에서 영급 단위에 따라 0.38, 0.34, 0.34 g/cm3로 영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각각 3.65∼1.28, 4.07∼1.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줄기밀도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4,000원
        26.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농업은 인구의 노령화와 농업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절감 및 효율적인 작 물보호제 살포가 오래전부터 대두되어왔다. 그리고 최근 7~8년간 친환경 작물보 호제가 급격하게 증가 발전되었다. 그러나 친환경 작물보호제의 개발이 작물보호 제(농약)대비 다양성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곤충병원성 공생균의 배양액 추 출물과 살충살균 효과가 뛰어난 식물추출물을 혼합하여 살충 살균 효과에 복합적 으로 작용하는 친환경 복합작물보호제를 개발하여 살포 농도별, 살포 횟수별 그리 고 경시변화에 따른 살충효과를 확인해 보았다. 살포농도는 500배, 1000배, 2000 배 농도로 살포하여 7일후의 방제가를 확인한 결과 500배농도 3회 살포 처리구에 서 배추좀나방은 96.3%, 복숭아혹진물은 87.9%, 점박이응애는 86.8%의 살충효과 를 보여 미소해충 및 나방류 해충에 85%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살균효과는 잿 빛곰팡이와 역병에 대한 방제실험을 방울토마토와 고추포장에서 수행한 결과 500배 3회 처리구에서 잿빛곰팡이는 83.5%, 역병은 75.6%의 방제가를 보였다. 54℃ 2주, 4주, 6주 경시변화 후의 살균‧살충율 조사결과 6주후에 91.4%의 살충율 과 89.7%의 살균 감소효과를 보여 경시변화에서도 뛰어난 살균살충효과를 보였 다. 이러한 결과는 곤충병원성선충 공생균 추출액과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복합작 물보호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27.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examined the co-doping effects of 1/2mol% NiO and 1/4mol% Cr2O3 (Ni:Cr=1:1) on the reaction,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bulk defects and the grain boundary properties, of ZnO-Bi2O3-Sb2O3 (ZBS;Sb/Bi=0.5, 1.0, and 2.0) varistors. The sinter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Ni,Cr-doped ZBS, ZBS(NiCr) varistors werecontrolled using the Sb/Bi ratio. Pyrochlore (Zn2Bi3Sb3O14), α-spinel (Zn7Sb2O12), and δ-Bi2O3 were detected for all ofcompositions. For the sample with Sb/Bi=1.0, the Pyrochlore was decomposed and promoted densification at lowertemperature by Ni rather than by Cr. A homogeneous microstructure was obtained for all of the samples affected by α-spinel.The varistor characteristics were not dramatically improved (non-linear coefficient, α=5~24), and seemed to formZni..(0.17eV) and Vo.(0.33eV) as dominant defects. From impedance and modulus spectroscopy, the grain boundaries werefound to have been divided into two types, i.e., one is tentatively assigned to ZnO/Bi2O3 (Ni,Cr)/ZnO (0.98eV) and the otheris assigned to a ZnO/ZnO (~1.5eV) homojunction.
        4,000원
        28.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co-doping effects of 1/6mol% Co3O4 and 1/4mol% Cr2O3 (Co:Cr=1:1)on the reacti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bulk defects and the grain boundary properties, of ZnO-Bi2O3-Sb2O3 (ZBS; Sb/Bi=0.5, 1.0, and 2.0) varistors. The sinter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Cr-doped ZBS, ZBS(CoCr)varistors were controlled using the Sb/Bi ratio. Pyrochlore (Zn2Bi3Sb3O14), α-spinel (Zn7Sb2O12), and δ-Bi2O3 were formed inall systems. Pyrochlore was decomposed and promoted densification at lower temperature on heating in Sb/Bi=1.0 by Cr ratherthan Co. A more homogeneous microstructure was obtained in all systems affected by α-spinel. In ZBS(CoCr), the varistor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non-linear coefficient, α=20~63), and seemed to form Zni..(0.20eV) and Vo.(0.33eV) asdominant defects. From impedance and modulus spectroscopy, the grain boundaries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anelectrically single barrier (0.94~1.1eV) that is, however, somewhat sensitive to ambient oxygen with temperature. The phasedevelopment, densification, and microstructure were controlled by Cr rather than by Co but the electrical and grain boundaryproperties were controlled by Co rather than by Cr.
        4,000원
        29.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examine the co-doping effects of 1/6mol% Mn3O4 and 1/4mol% Cr2O3 (Mn:Cr=1:1) on the reaction,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bulk defects and grain boundary properties, of ZnO-Bi2O3-Sb2O3 (ZBS;Sb/Bi=0.5, 1.0, and 2.0) varistors. The sinter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n,Cr-doped ZBS, ZBS(MnCr) varistors werecontrolled using the Sb/Bi ratio. Pyrochlore (Zn2Bi3Sb3O14), α-spinel (Zn7Sb2O12), and δ-Bi2O3 (also β-Bi2O3 at Sb/Bi≤1.0)were detected for all of the systems. Mn and Cr a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each phase. Pyrochlore was decomposedand promoted densification at lower temperature on heating in Sb/Bi=1.0 system by Mn rather than Cr doping. A morehomogeneous microstructure was obtained in all systems affected by α-spinel. In ZBS(MnCr), the varistor characteristics wereimproved dramatically (non-linear coefficient, α=40~78), and seemed to form Vo.(0.33eV) as a dominant defect. Fromimpedance and modulus spectroscopy, the grain boundaries can be seen to have divided into two types, i.e. one is tentativelyassigned to ZnO/Bi2O3 (Mn,Cr)/ZnO (0.64~1.1eV) and the other is assigned to the ZnO/ZnO (1.0~1.3eV) homojunction.
        4,000원
        30.
        201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lighting technology, human can breakout the limitation of the natural light and make it possible to create a brilliant civilization. However, the wide used outdoor artificial lighting caused severe environmental problem called "Light Pollution" due to human's less cognition of using light and excessive light. Obtrusive light at nighttime can do harm to the human health and observation activity. In this paper, the upward light control process of general lighting fixtures was suggested for reducing the adverse effects such as sky glow in the central city and light trespass in the residential areas.
        4,000원
        32.
        2012.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2O3 films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on a glass substrate and then the effect of post depositionannealing in nitrogen atmosphere on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films was investigated. Afterdeposition, the annealing process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at 200 and 400oC. XRD pattern analysis showed that the asdeposited films were amorphous. When the annealing temperature reached 200-400oC, the intensities of the In2O3 (222) majorpeak increased and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In2O3 (222) peak decreased due to the crystallization. Thefilms annealed at 400oC showed a grain size of 28nm, which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s deposited amorphous films. Theoptical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wavelength region also increased, while the electrical sheet resistance decreased. In this study,the films annealed at 400oC showed the highest optical transmittance of 76% and also showed the lowest sheet resistance of89Ω/□. The figure of merit reached a maximum of 7.2×10−4Ω−1 for the films annealed at 400oC. The effect of the annealingon the work-function of In2O3 films was considered. The work-function obtained from annealed films at 400oC was 7.0eV. Thus,the annealed In2O3 films are an alternative to ITO films for use as transparent anodes in OLEDs.
        4,000원
        33.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산청 지역에 분포하는 40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 스와 순생산량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지상부 바이오매스량은 127.7 Mg ha-1으로 나타났고, 줄기 103.1 Mg ha-1, 가지 17.2 Mg ha-1, 잎 7.4 Mg ha-1으로 나타났으며, 바 이오매스 함량은 줄기목질부 (71.1%) > 가지 (13.5%) > 줄기 수피 (9.6%) > 잎 (5.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상부 순생산량은 10.4 Mg ha-1로 나타났고 줄기 3.6 Mg ha-1, 가지 2.2 Mg ha-1, 1년생 소지 1.3 Mg ha-1, 잎 2.8 Mg ha-1로 나타났다. 순생산량 함량은 줄기 목질부 (34.6%) > 잎 (26.9%) > 가지 (21.2%) > 소지 (12.5%) > 줄기 수피 (4.8%)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34.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북 무주지역 36년생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개발하 고,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리기다소나무의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바이오매스를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을 추정한 결과, 잎 (78%)과 가지 (83%)를 제외하면 모든 부 위에서 결정계수가 95% 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리기다소나무의 바이오매스량은 줄기 목질부 65.9 Mg ha-1, 줄기 수피 9.5 Mg ha-1, 가지 19.6 Mg ha-1, 잎 7.0 Mg ha-1, 전체 102 Mg ha-1로 나 타났으며, 바이오매스 구성비는 줄기목질부 (64.6%) > 가지 (19.2%) > 줄기 수피 (9.3%) > 잎 (6.9%) 순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줄기밀도 (g/cm3)는 0.453으로 나타났고,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344로 나타났다.
        4,000원
        3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S”자 다리우스 형 블레이드는 입체적 곡선의 형상으로 미적인면을 고려하여 독창적으로 고안 하였다. 실험용 모형제작을 위하여 4가지 단면 블레이드모형을 K-표준 모델을 기초로 한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수치해석은 풍향을 0°, 90°, 180°, 270°로 그 주위의 유동장과 압력장을 해석하였으며, 각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Torque와 Power 값을 확인하였다. 블레이드의 효율은 전체적으로 풍향이 0°일 때 높게 나타났으며, Type D에 비해 Type A, B, C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6.
        2010.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icrostructure and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PTCR) characteristics of 0.1mol%Na2Ti6O13doped 0.94BaTiO3-0.06(Bi0.5Na0.5)TiO3 (BBNT-NT001) ceramics sintered at various temperatures from 1200oC to 1350oC were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eco-friendly PTCR thermistors with a high Curie temperature (TC). Resulting thermistors showeda perovskite structure with a tetragonal symmetry. When sintered at 1200oC, the specimen had a uniform microstructure withsmall grains. However, abnormally grown grains started to appear at 1250oC and a homogeneous microstructure with large grainswas exhibited when the sintering temperature reached 1325oC. When the temperature exceeded 1325oC, the grain growth wasinhibited due to the numerous nucleation sites generated at the extremely high temperature. It is considered that Na2Ti6O13 isresponsible for the grain growth of the 0.94BaTiO3-0.06(Bi0.5Na0.5)TiO3 ceramics by forming a liquid phase during the sinteringat around 1300oC. The grain growth of the BBNT-NT001 ceramic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decrease of resistivity.All the specimens were observed to have PTCR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sample sintered at 1200oC. The BBNT-NT001ceramic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ñrt and increased resistivity jump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at from 1200oC to1325oC. Especially, the BBNT-NT001 ceramics sintered at 1325oC exhibited superior PTCR characteristics of low resistivityat room temperature (122Ω·cm), high resistivity jump (1.28×104), high resistivity temperature factor (20.4%/oC), and a highTc of 157.9oC.
        4,000원
        3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고창군 일대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바 탕으로 바이오매스 및 순생산량,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령임분과 성숙 임분의 경우 평균 임령이 각각 10년과 48년으로 나타났으며 임목 전체 건중량은 8.59 kg, 166.66 kg으 로 나타났고 임분밀도를 고려한 단위면적당 지상부 건중량은 17.55 Mg/ha, 122.05 Mg/ha으로 나타났다.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전체 건중량은 21.48 Mg/ha, 154.16 Mg/ha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바이오매스 구성 비는 유령임분에서 성숙임분으로 갈수록 줄기목질부, 줄기 수피, 뿌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잎, 가지 구성비는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순생산량은 유령임분에서 6.30 Mg/ha으로 나타 났고 임목 전체에서는 6.95 Mg/ha으로 나타났으며, 성숙 임분에서 11.61 Mg/ha, 임목전체에서 13.19 Mg/ha으로 나타났다. 줄기밀도(g/cm3)는 유령임분과 성숙임분에서 각각 0.338, 0.448로 나타났으며, 임 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유령임분과 성숙임분 에서 각각 2.304~2.508, 1.318~1.644의 범위로 나타났다.
        4,000원
        4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도 조사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북지방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하여 평균 연륜생장량과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조사된 고정표본점은 총 56개소로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였으며 그 중 개체수 분포 비율이 높은 10개 수종에 대하여 총 800본의 연륜생장량이 조사된 목편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충북지방에서 평균 연륜생장량이 가장 높은 수종은 아까시나무(2.30mm/yr)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졸참나무(2.27mm/yr)>산벚나무(1.98mm/yr)>일본 잎갈나무(1.98mm/yr)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주요 수종들의 경우, 영급과 임분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연륜생장량은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