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23.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amines the putative universality of the Overt Pronoun Constraint (OPC) (Montalbetti, 1984) postulated for pro-drop languages by observing the interpretational status of overt and null pronouns in the context of quantified antecedents that contrasts between Korean (pro-drop language) and English (non pro-drop language). In pro-drop languages, an overt pronoun cannot have a bound variable interpretation when the antecedent is a quantified NP (e.g., everyone, someone). Twenty three Korean learners of English took a forced-choice picture task, in which they had to select one of the two pictures that best depicted a sentence they heard that carried ambiguous meanings. Results showed that Korean speakers accepted a quantified antecedent with Korean overt pronoun ku, violating the OPC. The imperfect knowledge of the OPC by Korean speakers wa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English overt pronoun he on the Korean overt pronoun ku.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on the explicit instructions on the meanings of lexicon used in the OPC construction.
        5,500원
        2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uses a sentence recall task to investigate syntactic priming effects in English prepositional object dative (PO) or double-object dative (DO) structures by Korean speakers of L2 English. The purposes were (1) to determine whether syntactic priming occurs during L2 production, and if it does, then to determine how it affects the subsequent utterance of target structures; and (2) to determine whether syntactic priming during production is lexically specific or independent. Thirty-two sets of target-prime sentences were developed using 12 dative alternating verbs, creating DO-DO, DO-PO, PO-DO, PO-PO target-prime pairs. Syntactic priming effects occurred with the PO priming irrespective of targets (whether DO or PO) but only when the verb used in the prime was the same as the verb used in the target. The results suggest that lexical dependency of syntactic knowledge during L2 production does not accord with the lemma stratum model. A pedagogical implication of successful learning of lexical entries is discussed.
        6,100원
        26.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subspecies of the sika deer, Cervus nippon, and to select C. n. hortulorum individuals for restoration of this subspecies in Korea, we obtained cytochrome b partial sequences (375 bp) of sika deer (C. nippon) from deer farms in northeastern China, North Korea, mainland Korea, and Jeju Island. Based on noninvasive samples, these cytochrome b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haplotypes of sika deer, which were obtained from GenBank. We identified five individuals of sika deer from deer farms in northeastern China and North Korea as C. n. hortulorum, and found that interbreeding between individuals belonging to different subspecies is common on deer farms in far-eastern Asia. We concluded that the five C. n. hortulorum individuals on deer farms from northeastern China and North Korea, detected in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as pure descendants of C. n. hortulorum in the wild.
        3,000원
        2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processing of L2 English relative clauses by testing the Filler-Gap Hypothesis (Hawkins, 1999; O"Grady 1997). For that goal, we partially replicated Diessel and Tomasello (2004), who examined L1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s by English-and German-speaking children. The Filler-Gap Hypothesis states that the structural distance between head and gap determines the processing difficulty pertained within relative clauses. Taking this hypothesis as a theoretical starting-point, we used an elicited imitation task to tap 48 L2 learners" knowledge of English relative clauses.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ubject relatives retained greater accuracy scores than object relatives, which in turn retained greater accuracy scores than indirect object and oblique relatives. These results were largely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made by the FGH, but only partially consistent with Diessel and Tomasello"s L1 data.
        5,100원
        32.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oped powders were synthesized by mechanical alloying (MA) of elemental powders using a nominal stoichiometric composition. Nano-structured, single-phase skutterudite was successfully produced by vacuum hot pressing (VHP) using MA powders without subsequent annealing. Phase transformations during synthesis were investigated using XRD, and microstructure was observed using SEM and TEM. Thermoelectric properties in terms of Seebeck coe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figure of merit(ZT) were systematically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nalogous studies.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was reduced owing to increasing phone scattering in nano-structured MA , leading to enhancement in the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MA associated with VHP technique offers an alternative potential processing route for the process of skutterudite.
        33.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mm-thick BLT ceramics were sintered in accordance with a bulk ceramic fabrication process. All XRD peaks detected in the sintered ceramics were indexed as the Bi-layered perovskite structure without secondary phases. Dens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sintering temperature up to and the maximum value was about 98% of the theoretical density. The remanent polarization (2Pr) value of BLT ceramic sintered at was approximately at the applied voltage of 4.5kV. From these results, a BLT ceramic target for plused laser deposition (PLD) system was successfully fabricated.
        34.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36.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7.
        2001.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38.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DCT에서 인체등가형 흉부팬텀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고해상력 및 저선량 CT로 검사하여 영상의 평가 및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을 측정하여 임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고자한다. 인체등가형 흉부팬텀내부에 유리선량계를 삽입하여 조직선량을 측정하였다. 64-slice CT system (SOMATOM Sensation 64, Siemens AG, Forchheim, Germany)과 CARE Dose 4D를 이용하였고, 고해상력 CT에서의 파라메터는 관전압 120 kVp, Eff. mAs 104, scan time 7.93 sec, slice 1.0 mm (Acq. 64×0.6 mm), convolution kernel (B60f sharp)의 스캔 파라메터가 사용되었고, 저선량 CT는 120 kVp, Eff. mAs 15, scan time 7.41 sec, slice 3.0 mm (Acq. 64× 0.6 mm), convolution kernel B50f medium sharp의 스캔하였다. 인체등가형 흉부팬텀을 이용하여 스캔에 따른 CTDIvol은 고해상력 CT에서 8.01 mGy, 저선량 CT는 1.18 mGy로 측정되었다. 저선량 CT 검사는 고해상력 CT 검사에 비해 흡수선량이 85.49%가 감소하였고 영상의 차이는 없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3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DCT의 3D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쇄골하 혈전증을 수반한 73세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MIP, 볼륨렌더링, MPR의 3D 영상을 획득하여 쇄골하동맥의 혈전증을 명확하게 탐지하고 위치를 확인하여 임상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하고자한다. 스캔 데이터를 3차원 CT영상인 MIP, 볼륨렌더링, curve multiplanar reformation (MPR), virtual endoscopy 영상을 획득하였다. CT검사 환자의 데이터를 3D 프로그램으로 전송한 영상에서 3D 프로그램에서 측정한 상행대동맥은 364.28 HU, 좌총경동맥 413.77HU, 좌쇄골하동맥 15.72 HU로 낮게 산출되었다. MIP coronal 영상으로 좌측의 쇄골하동맥의 혈전으로 폐쇄를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볼륨렌더링 3차원 영상으로 투과도 100%, 87-1265 HU를 적용하여 쇄골하동맥과 뼈를 동시에 묘출하고 있으며, 좌측 쇄골하동맥의 폐쇄 영상을 선명하게 보여주었으며 coronal curved MPR 및 sagittal curved MPR 영상으로 혈전의 의한 쇄골하동맥의 폐쇄를 3D 영상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묘출하고 있다. 혈전에 의한 쇄골하동맥 폐쇄 증상 환자를 MDCT로 스캔하여 3D 영상 기법을 응용하여 쇄골하동맥의 폐쇄를 확인할 수 있어 임상에서 3D 기법을 응용하여 적절하게 진단에 적용할 수 있다.
        40.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주 후 숙취는 사람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상이 하지만 일반적으로 갈증,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위장장애,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알코올에 함유되어 있는 발효 부산물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전구물질들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로 연어 추출물 중 정액 또는 정소 추출물인 핵산-당-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이며 다당체인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동일한 Origin, 동일 구조를 가지며 PDRN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용성 연어 추출물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D-Glucuronic acid와 N-Acetyl glucosamine으로 구성된 고분자 다당체로 뛰어난 생체 적합성,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대한 부분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체내 에탄올, 아세트알데히드 감소량,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농도를 측정하여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수분 증발량과 피부 수분량을 조사하여 피부개선을 평가하고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에 에탄올은 연어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가 무첨가에 비해 5배에서 7배의 감소량을 보였고 아세트알데히드 3배에서 5배 이상의 감소량을 보였다. 또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의 변화에서는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급격한 저하 변화를 보여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히알루론산 원료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함유량이 높았으며,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고분자 다당체인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을 주원료로 하는 조성물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현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