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2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기생성선충으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는 고추 시설하우스 재배지역의 토양 내 선충 발생 양상과 분포 및 밀도 조사를 하였다. 밀양시 부북면, 무안면 그리고 상남면의 고추 시설재배 32 농가의 56개 하우스로부터 71점의 토양 샘플을 수집하여 고추 재배 연작 연수 및 고추 재배 시기 등에 따른 식물기생선충의 분포와 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농가의 방제제 사용으로 인하여 고추 재배 연작 연수와 선충 밀도와의 유의성은 없었다. 선충의 발생 양상은 뿌리혹선충, 참선충, 둥근꼬리선충, 창선충, 위축선충 그리고 부식성선충을 포함한 기타 선충이 검출되었다. 식물기생성 선충들 중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가장 높았다. 밀양시 고추 시설재배지 중 부북면, 무안면, 상남면의 순으로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22.
        201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ents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assive sampler for H2S measurement. When the H2S gas exists in the air, AgNO3 solution coated filter of white used phenomenon which is exchanged with black. If the H2S gas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lor of AgNO3 solution coated filter is discolored more black. H2S passive sampler measures the H2S gas concentration by changed color of AgNO3 solution coated filter. The reproducibility of the H2S passive sampler is very stable to within an error 5%RSD. The black color of AgNO3 solution coated filter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H2S gas concentrations. In addition, correlation of the developed CDM and CR-10(Minolta, Japan) showed a high correlation to 0.99. Manufactured H2S passive sampler must be kept refrigerated, stability and reactivity was observed for up to 20 days
        4,000원
        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In the case of the homogeneity test performed in three panel groups,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was 1.4 ± 0.2, 1.7 ± 0.2, 1.8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7 ± 0.2, 3.7 ± 0.3, 3.7 ± 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stability test for 72 h, the geometric mean dilution factor of the site boundary PTMs was 1.6 ± 0.1 and that of the outlet PTMs was 3.6 ± 0.1. Among error cases induced during the proficiency test of certified odor measurement agencies, the proportion of error cases was in the order of case II(discontinuance of estimation)(40.0%) > case I(error on estimation procedure by panelist)(33.3%) > case III(miswriting of estimation result)(13.3%) > case IV(miswriting of dilution factor) and V(writing of wrong estimation result)(6.7%). Therefore, it seems likely that additional education related to error cases II and I is required.
        4,000원
        2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the threshold odor number (TON) method for evaluating the odor of domestic wastewater, plating plant wastewater, food plant wastewater and lake water. The dilution factor of raw wastewater evaluated by the air dilution sensory test was in the order of food plant > plating plant > domestic > lake, and that evaluated by the threshold odor number method was in the order of food plant > domestic > plating plant > lake.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when the raw wastewater and lake water were diluted 2 and 5 times with pure water. The relative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determined from the threshold values of each panel on the air dilution sensory test was much larger than that calculated from results derived from the threshold odor number method. The relative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btained from samples with a low dilution factor was greater. There was a very good linear correl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 0.968~1.000) between the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the threshold odor number method. But, the reduction in odor intensity (the slopes of regression curves) by dilution was dependent on the types of the odor-emission sources.
        4,000원
        2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hydrogen sulfide electrochemical gassensor for several wastewater odors. At first, it was found that bubbling sampling method was superior toheadspace sampling method in terms of sensor sensitivity. High correlation between odor concentration and sensorresults was shown for two wastewater which were r=0.977 for food-waste recycling wastewater and r=0.997for food industry wastewater. On the other hand, no correlation (r=0.258) was found for plating wastewater,because hydrogen sulfide was not the main odorant for that.
        4,000원
        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plantwas divided into four areas (boundary areas, sewage treatment processes, sludge treatment processes and odortreatment plants), and measured around 27 sampling points. Odor characteristics from each areas were evaluatedby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NH₃/SO₂/VOCs passive sampler, mainly in terms of spatial distribution. Themain odor emission sources were found out to be dewatering plant (S-4) of sludge, sludge transshipment place(S-5), and the outlet of odor treatment plant (B-2, B-3). The correlation between dilution number (OU) and ammoniaconcentration of passive sampler appeared to be low; correlation coefficient 0.49, but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results of sulfur dioxide and toluene were very high, 0.95 and 0.93,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dorcompounds form sewage treatment facility are mainly due to sulfur compound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4,000원
        27.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concentration(OU/m3) of a complex odor being discharged from tire, feedstuff, bakery, paper, casting and painting manufacturing process, correlation between odor concentration(OU/m3) and the odor sensor was investigated. 4 type(A, B, C, D) gas sensors of metal oxide compounds are used in this study. Each odor sample of manufacturing process is diluted with odorless air and diluted odor samples were prepared for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Correlation results(R) of odor sample of tire, feedstuff, bakery, paper manufacturing process ware 0.86~0.99, and odor sample of casting, painting manufacturing process ware more than 0.93. Thus the odor concentration(OU/m3) evaluation by odor sensor was to determine the possible. In particular odor sensor B and D are likely to be effective for evaluation of odor concentration. However, odor samples before evaluation is needed the calibration process depending on the field odor sample to field apply.
        4,000원
        2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1년에 전국 79개 악취검사기관을 대상으로 공기희석관능법에 대한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악취방지법의 부지 경계선과 악취 배출원의 배출허용기준을 모사한 2개의 합성복합악취를 숙련도 시험물질(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로 사용 하였다. 부지 경계선 시료는 7ppm의 톨루엔과 7ppm m-자일렌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으며, 배출구 시 료는 10ppm DMS (dimethyl sulfide)와 10ppm DMDS (dimethyl disulfide)의 복합악취로 구성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는 기준값으로 평균과 중간값을 사용하고, 목표표준편차로 일반 표준편차, 로버스트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사용하여 Z-점수를 평가하였다. 시험결 과의 변동계수는 PTMs의 냄새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복합악취에 대한 숙련 도 시험 결과는 악취희석배율보다 로그 스케일의 악취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 절했다. 두 PTMs에 대한 참여기관의 Z-점수를 변동계수, 표준편차, 그리고 로버스트 표 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가할 때, 참여기관의 95%가 숙련도 기준을 만족하였다. 목표 표준 편차를 변동계수의 20%로 설정하였을 때 참여기관의 만족도 비율은 부지경계와 출구 PTM 시료에 대해 각각 90%와 95%로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부지경계와 출 구의 복합악취를 모사한 두 합성 PTMs 모두 복합악취의 숙련도 시험물질로 적합하였다.
        4,000원
        2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악취숙련도 시험을 위한 PTM 물질로 현장시료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에 채취한 현장시료의 안정성과 채취 균질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장시료를 PTM으로 사용하여 71개 악취검사기관의 공기희석관능법의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설정값(참여기관 또는 기준기관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를 기준으로 3가지 Z-score 평가법(표준편차 이용한 Z-score, Robust 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 목표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으로 숙련도의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하수처리장 농축조에서 채취한 현장시료는 2일 동안 희석배수의 변화 없이 안정적이었고, 참여기관을 4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채취한 현장시료가 균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현장악취시료가 악취 숙련도 평가를 위한 PTM 물질로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숙련도 시험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참여기관의 숙련도 만족비율은 Z-score 평가법이나 설정값의 기준(참여기관 또는 참고기관으로 선택한 3개 대학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 보다는 목표표준편차(S*ref)값에 의존하였다. 숙련도 만족비율은 S*ref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TM 시료의 분석결과에 대한 변동계수(CV) 0.13에 해당하는 목표표준편차값에서 숙련도 만족비율은 약 93∼96% 수준이었다.
        4,000원
        30.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씨스트 선충은 콩 수량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선충이며, 콩 씨스트 선충으로 입는 피해가 연 간 전 세계적으로 9백만 메가그램이나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콩 씨스트 선충은 식물 영양분을 먹어 뿌리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근류균의 고정을 억제함으로서 수량의 감소를 가져 오게 된다. 콩 씨스트 선충을 방제하는 근본적인 방법은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거나 윤작을 하는 것이다. 유전적으로 콩 씨스트 선충의 다양한 레이스들과 상업적 품종들의 제한된 저항성 품종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레이스 전환을 가져왔고, 이러한 이유로 콩 씨스트 선충의 방제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논문은 콩의 중요성, 콩 씨스트 선충, 콩 씨스트 선충 저항성에 대한 연구현황, 그리고 전망에 관해 고찰하였다.
        4,200원
        3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리그난이 무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생장조절제와 천연물의 생물검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schisandrin, schisandrin C, gomisin A 및 gomisin N 등 4종의 리그난이 무 종자의 발아 및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 종자를 10-5, 10-6 및 10-7 M의 schisandrin, schisandrin C, gomisin A 및 gomisin N 용액에 1시간 침지 후 발아율을 비교한 결과, 4종의 리그난류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발아속도가 빨랐다. 리그난류의 처리 48시간 후 대조구를 기준으로 하여 발아율의 촉진 또는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 schisandrin과 gomisin A는 10-6 M의 농도에서, schisandrin C와 gomisin N은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리그난이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구를 기준으로 하여 생육 촉진 또는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하배축은 gomisin A와 gomisin N의 처리시 10-5 M의 고농도에서, gomisin N의 경우에는 10-6 M에서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뿌리의 길이는 schisandrin 10-4 M의 고농도에서 가장 길었다. 유식물체당 총 생체중 및 건물중은 10-7 M의 저농도 처리시에 촉진되었으며, schisandrin C는 10-5 M의 고농도 처리시에 생체중과 건물중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오미자로부터 순수분리한 리그난은 종자발아 또는 유묘의 생장을 조절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로서 이용가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32.
        2011.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luene, xylene, styrene, and ethylbenzene are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painting materials. According with the development of gas chromatography equipment, it has been possible to analyze the low level of ambient VOC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limit of detection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were analysed for VOCs originated from painting materials in GC/FID/liquid injection analysis system. The results of %RSD for four standard solutes showed a great reproducibility in terms of detection time and detection area. The limit of detection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in SRI GC appeared to be 501.64 pg and 1.67 ppb for toluene, 572.03 pg and 1.90 ppb for ethylbenzene, 1077.22 pg and 3.59 ppb for m,p-xylene, 36563.35 pg and 121.76 ppb for styrene, respectively.
        4,000원
        33.
        2010.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GC equipment, it has been possible to analyze the low level of ambient VOCs concentration. In this study, the limit of detection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were estimated for two GC equipments of the VOCs analysis, which w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VOC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RSD for ten standard solutes showed a great reproducibility in terms of detection time and detection area. The limit of detection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in SRI GC appeared to be 0.175 ppb and 0.583 ppb for benzene, and 0.223 ppb and 0.743 ppb for toluen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limit of detection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in FISON GC appeared to be 0.149 ppb and 0.496 ppb for benzene, and 0.094 ppb and 0.313 ppb for toluene, respectively.
        4,500원
        34.
        200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aint, which has very close relationship to the of indoor air quality, was examined for the air pollution leveling test, and using the various passive sampler, the test was evaluated on the regard of TWA(Time Weighted Average).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ir pollution levels differ between the regular paint that is used for public and the new developed environment friendly paint. The consecut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small chamber test to investigate the VOCs and formaldehyde, ammonia emissions and characteristics from paint which are commonly used as the complete material of building. In conclustion, the natural paint showed the highest emission of VOCs among the selected paints, and water pain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ammonia. Formaldehyde showed N.D(Not Detected) in most of tests and found a small amount in vinyl paint however, it was not as bad as to fail the certify level of building materials. It is recommended to constantly develop the chamber system and it will be very much possible to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the various paints and other complete materials.
        4,8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