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2

        84.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산지대에서 사향지(남향 및 북향) 및 표고별(800m, 1,000m 및 1,200m)에 따른 초지의 사초 건물수량, 품질 및 직생비율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의 목초생육기간중에 시험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산지대 초지의 사초 총 건물수량은 사향지 및 표고에 따른 영향을 받았고 표고 1,000m에서 남향 및 북향초지의 평균 사초 수량은 ha당 9,301kg이었으며, 표고 800m에서는 10,274kg로 초지의 생산성은 표고가 2
        4,000원
        85.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의 역사적 발전배경과 현존하는 기술들을 조사하고 이제까지 연구된 결과로부터 전통수산발효기술의 과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은 크게 나누어 두가지로 구분되는 바 식염만을 사용하는 적염해법(적갈)과 식염으로 절인 생선에 삶은 곡물, 마늘, 고춧가루를 가하는 식해법으로 대별된다. 젓갈은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여 총 46종이 현재 만들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젓갈제조의 특징은 비교적 짧은 기간의 발효과정(2 - 3개월) 후 어체가 그대로 보존된 상태의 발효물을 조미하여 반찬으로 사용하고 일부는 장기간 저장(6개월 이상)하여 충분한 효소적 가수분해가 얼어난 것을 액즙으로 받아 김치의 재료로 쓰이는 젓국을 생산하는 것이다. 젓갈의 맛은 주로단백질의 분해산물에 의해 형성되며 이것은 Pediococcus, Bacillus, Halobacterium등의 내염성세균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과정이 오래 경과되어 최적맛에서 벗어날 때는 효모의 증식이 현저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식해는 첨가된 곡물의 탄수화물을 이용한 유기산 발효로 pH가 급격히 저하됨으로서 저장성이 보존되는 특수한 수산발효방법이다. 산생성균과 단백질 분해균의 역할이 크게 나타냐며 비교적 짧은 기간(2주)내에 발효가 완성되며 더이상 저장하면 유기산의 지나친 생산으로 맛의 퇴화현상이 일어난다. 이들 수산발효기술은 우리나라 염장발효기술의 전체를 포용하는 것으로 젓갈은 장류발효와 식해는 김치발효와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4,300원
        86.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illus thuringiensis var. thuringiensis H1균을 4종류의 배지에서 배지 조성 및 pH 조건에 따라서 성장 양상과 아포와 내독소 결정체 생산을 조사했다. 1. 4개의 M-배지중 pH 9인 M-3배지에서 BTT의 증식량과 내독소 결정체 및 아포 생산수가 가장 높았다. 150ml배양에서 BTT의 생산량은 3.218g이었고, 생존 아포수는 ml당 개였고, 내독소 결정체의 회수된 무게비는 20.05%였다. 2. M-1배지에서 BTT의 세대시간은 평균 47.6분이었고, M-2에서는 평균 49.6분, M-3에서는 평균 132.9분, M-4에서는 평균 110.2분이었다. 3. M-배지의 초기 pH는 72시간 배양 후에 pH 로 변화하였으며, 최적 배양 pH는 이었다.
        4,000원
        87.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의 바이러스 무감염주 생산과 종자 비용절감을 위한 기초적연구를 행하고저 마늘인편의 보통엽조직의 callus배양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늘 callus의 유도 Linsmaier & Skoog는 기본배지에 Benzyladenine 10-5M과 2,4-D10-5M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callus생장은 Linsmaier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6M과, 2,4D10-6M을 함유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callus조직내의 바이러스 소장을 조사한 결과 투명하고 부드러운 callus조직을 8대 계대배양을 하였을 때 바이러스는 제거되었다. 4. 바이러스무감염이 확인된 마늘 callus조직을 Murashing & Skoog 기본배지에 kinetin 10-5M와 NAA5×10-6M을 함유한 배지에 다식하였을 때 재분화 되어 소식물체를 형성하였다.
        4,000원
        8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investigation, the reservoir stability was reviewed using hydrological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review showed that, Both sites were analyzed to lack embankment height and sidewall height in the event of flooding, and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s to increase stabil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by adding more dam cest and increasing side wall of a spill way. In addition, analysis and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other reservoir deteriorated in the future.
        8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은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에서 발열, 급성 이질, 설사,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분갈의 꽃인 분갈화의 피부 효능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세포인 B16F1 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분갈화의 피부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고, 분갈화 추출물의 효능 성분을 추적하고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갈화에 함유된 이소플라본류 화합물인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 성분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멜라닌 생합성 감소는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의 또 다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는 멜라닌 합성억제 인자인 DKK-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분갈화 추출물,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는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tectorigenin은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갈화 성분 중 tectorigenin은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와 섬유아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인자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미백 개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Muller and Troschel)는 우리나라 전국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토속종으로, 패류 양식장에 피해를 주는 불가사리류 중의 하나이다. 별불가사리 퇴치를 위해 대부분 건조하여 비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실제 활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별불가사리로부터 피부 유용성분을 밝혀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성분연구를 통해 별불가사리로부터 2종의 polyhydroxysteroid와 1종의 saponin을 분리하였으며, 이의 구조를 각각 5α-cholestane-3β,6α,7α,8,15α,16β,26-heptol, 5α-cholestane-3β,4β,6α,7α,8,15β,16β,26-octol 및 asterosaponin P1으로 동정하였다. 이 물질들의 피부 효능을 확인한 결과 asterosaponin P1이 표피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각질형성세포에서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효소인 hyaluronan synthase-2와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asterosaponin P1은 섬유아세포에서 진피의 주요 콜라겐인 type 1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별불가사리로부터 분리한 asterosaponin P1은 노화에 동반되는 피부 증상을 개선하는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9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human patch test is a method used to evaluate potential skin irritation after contact with a cosmetic materials. Pectin lyase-modified red ginseng extract (GS-E3D) is a newly developed ginsenoside Rd-enriched ginseng ex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kin safety of GS-E3D in human patch test. Methods and Results : Thirty two female volunteers were tested with GS-E3D. GS-E3D (20 ㎕) was applied to occlusive patch test devices and was then applied onto the back of subject with normal skin for 24 hours. Cutaneous irritation responses were evaluated and graded according to criterion of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 at 30 min, 24 hours, and 48 hours after removing of GS-E3D patch.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47.3 ± 9.3 years. Skin reactivity calculated from irritation score in GS-E3D treated group was 0.51 and skin irritation score of no application group was 0, respectively. Skin irritancy was no response in both GS-E3D treated group and no application group. From above data, GS-E3D was identified as a non-irritant according to ICDRG guideline that skin irritation score of ‘0.00 - 0.75’ is a non-irritant.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S-E3D can be useful as a safe cometic ingredient.
        9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ectin lyase-modified red ginseng extract (GS-E3D) is a newly developed ginsenoside Rd-enriched ginseng ex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cute oral and dermal toxicity of GS-E3D in rat. Methods and Results : The acute oral toxic effects of GS-E3D in female SD rats were examined at dosages of 300 ㎎/㎏ and 2,000 ㎎/㎏. In acute dermal toxicity study, 500, 1,000 and 2,000 ㎎/㎏ of GS-E3D were applied onto the shaved skin of male and female SD rats. The weights of rats were recorded at 0, 1, 3, 7, and 14 days and clinical observation were checked once a day for a period of 14 days. All rats were scarified on 14th day and complete gross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detect any gross change of organs after necropsy. GS-E3D did not produce orally or dermally treatment-related clinical signs of toxicity or mortality in all rats during the 14-day observation period. The oral and dermal LD50 values of GS-E3D were over 2,000 ㎎/㎏ in rat. The oral and dermal administration of GS-E3D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 in body weight and gross pathology examin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S-E3D can be used as a food and cosmetic materials without critically adverse effect.
        9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만성적인 염증은 낭포성 섬유증, 암, 치매, 아토피성 질환, 비만 등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염증의 발생단계에 관여하는 일부 신호물질은 피부조직의 손상과 노화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염증발생 매커니즘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염증반응을 억제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몇몇 식물로부터 항염증 소재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Stevia rebaudiana는 특유의 풍미를 가지는 천연감미료 스테비올배당체(steviol glycoside, SG)를 생성하는데, 일부 SG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염증억제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를 통해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스테비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A, 스테비올 이외에도 항염증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SG가 더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는 S. rebaudiana에서 얻은 SG의 nitric oxide (NO) 생성억제활성을 RAW 264.7 세포주를 대상으로 스크리닝 하였다. 그 결과 steviol β-glucopyranosyl ester (SGE)가 동일한 농도 조건의 SG 중에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interleukin-1α (IL-1 α), interleukin-1β (IL-1β),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 kappa-light 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NF-κB),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같은 염증관련 인자의 mRNA 발현량 또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SGE는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SGE가 항염증 소재로 활용될 잠재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9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서리태 발효추출물의 모발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학적 산화를 통해 손상된 모발을 준비한 뒤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발의 형태학적 특성, 인장강도, 구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발에 산화제를 처리하였을 때, 표피의 큐티클 층이 손상되고 모발의 인 장강도가 14.32 ± 0.83 g/cm2에서 12.32 ± 0.79 g/cm2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FT-IR 분석결과 산화 제를 처리한 모발은 버진 헤어에 비하여 1,077, 1,041, 801 cm-1에 해당하는 피크가 증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케라틴 단백질 간의 이황화 결합에 필수적인 시스테인이 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손상된 모발에 서리태 발효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표피의 큐티클 층의 틈이 메워지고, 인장강도가 14.27 ± 0.96 g/cm2로 회복되 었으며, 모발의 성분 중 시스테인의 산화물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발효 서 리태 추출물은 산화제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보호 소재로 연구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9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청소년 뿐만 아니라 대학생 또는 성인들 또한 많은 문 제가 되고 있다. 그중 비교적 스스로 시간을 분배하고 혼자만의 시간이 많은 대학생 또는 20대 초중반의 성인들을 대상자로 정하여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에 대한 문제를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점과 선호도 및 기대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 자 선별은 1곳의 pc방 사용시간이 100시간 이상인 대상자로 한국정보화진흥원(스마트 쉼센터)에서 배포한 인터넷중독진단(성인대상) 척 도를 사용하여 15문항 기준 43점 이상으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대학생 또는 청년들 총 남녀 14명을 선별 후 실험군 7명, 대조 군 7명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총 주 1회씩 13회기 약 3 개월 정도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행 후 사전 과 사후에 동일 한 총 6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은 1회기가 시작될 때 6개 측정도구를 실시하였고 3개월 후 13회기 진행할 때 동일한 측정도구 를 통해 실시하였다. 위와 같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차이를 관찰 했으며 그 결과 3개월 후 게임 및 인터넷 과 몰입의 정도가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군이 그렇지 않은 대조군의 비하여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 라 대학생 및 청년의 게임 및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가 원예치료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명확 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하기에 부족함이 있었으며 조금 더 객관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 을 통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96.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신선한 식재료의 확보 및 친환경 식단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농작물을 직접 재배하여 먹는 도시민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 농업은 가족과 함께 건전한 여가생활을 즐기고, 재배하고 수확한 채소나 과일을 이웃에게 나눠주며, 친목을 도모하고 소통하면서 건강한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으로 안전하고 신선한 친환경 식단과 식재료를 확보하여 도시민들의 건강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 한 친환경 농업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은 회사원으로 4인 가족, 아파트에 거주하며, 어린 시절 10년 이상 농촌경험이 있는 도시민들이 가장 많았고, 주1회 주말 오 전시간에 1~2시간 이용하며, 3년 이상 도시농업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먹거리 교육이 농작물의 수 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농업활동에서 잡초제거의 어려움과 친환경 농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 물의 종류와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이용으로 식단의 변화와 식재료비가 감소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도시농업 활동이 친환경 식단의 변화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확물을 친환경 먹거리로 이웃에게 소개할 수 있고 지 속적으로 도시농업활동을 하겠다고 답하였다.
        9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환경 도시농업을 통해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도시농업의 정착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친환경 도시농업은 도시민들에게 부족한 자연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며, 친환경 먹거리에 대한 인식을 지각하고, 건강한 삶의 질 향상과 친 환경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도시농업을 체계적으로 관리, 육성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도시농업을 확산시키고, 긍정적인 환경보전 효과를 거두고자 한다. 도시농업 활동에서 도시민들이 친환경 농법의 교육을 통해 텃밭 조성 및 농작물재배방법이 이루어 졌고 농작물의 수확도 친환경적으로 이 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농업에 이용하는 씨앗 및 모종도 친환경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에도 도 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의 중요성 지각을 통해 행동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답하였다. 도시농업활동을 친환경적이라고 이 웃에 소개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도시농업 활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답하였다.
        98.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in terms of MBTI personality types and horticultural preferences, where the MBTI personality types were obtained from the predicted results from the typical expressions of the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s self-speculation MBTI preference indicator. The analysis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wo types: intuition type and sensing typ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uition type preferred the herbs with fragrances, while the sensing type showed their preference towards flowering plant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uitive and sensing types with respect to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plant characteristics’ and ‘interesting horticultural activities’, which imply that different types have different choice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the thinking type showed their interest in the overall shape of the plant, while the feeling type showed their first interest in the flowers of the pl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inking type and feeling typ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degree of preferences in horticultural activities’, ‘initially interested plant tissues’, ‘five senses that are the most stimulating in the horticultural process’ and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Regarding the judging type and perceiving type in their choices of plant characteristics, the judging type preferred flower plants, while perceiving type preferred herbs with fragrances. The results of self-speculation MBTI personality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regarding the most interested plant tissue and plant characteristics, which leads to a difference in their choices.
        9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on the sustainable management methods for soil resources by determining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cialized plant gardens (Sedum garden, Fern garden, Medicinal plant garden, Ornament plant garden, Rare & endemic plant garden, and Shrub garden) and forest in Korea National Arboretum. Soil particle size showed similar distribution except for Sedum garden and Medicinal plant garden. Soil bulk dens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forest and specialized plant garden (p<0.05) and ranged from 0.79 g/cm 3 in Sedum garden to 1.13 g/cm 3 in shrub garden. Sedum garden and medicinal plant garden showed significantly low of soil moisture content (p<0.05). Soil pH ranged from 4.87 in Sedum garden to 5.41 in rare & endemic plant garden. Soil organic matter content ranged from 2.61% in Sedum garden to 4.71% in forest. The lower value in total N content was 0.11% in Sedum garden and 0.18% in medicinal plant garden. Available phosphoru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edum garden and medicinal plant garden than in other specialized plant garden of ranging from 16.90 ppm to 20.34 ppm (p<0.05). The contents of inorganic NH4 + and NO3 -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pecialized plant gardens (p<0.05). The ratios of NO3 - to total inorganic N content ranged from 28% in Sedum garden to 44% in fern garden and forest. N mineralization and nitrification rat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pecialized plant gardens (p<0.05).
        10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Constip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bility of water extract of fermented (FRC) and non-fermented (NFRC) roasted Cassia tora to improve intestinal function and reduce constipation in a rat constipation model.Methods and Results:Different concentration of FRC and NFRC were orally administered loperamide (5 ㎎/㎏; LOP) reduced the number,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es, as well as intestinal transit motility. However, 24 h-(24 hour fermented roasted-Cassia tora) 300 ㎎/㎏ FRC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number, weight, and water concent of feces, compared to that seen in the LOP group, and also improve intestinal transit mitility and, the thickness of distal colon and mucous fluid.Conclusions: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LOP-induced constipation was improved by treatment with FRC. Therefore FRC could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s or natural medicine for constipation.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clarify how fermentation improves the medicinal properties of roasted C. tora.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