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0

        16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나몬 속에서 추출한 식물체 정유 6종의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유충(J2)에 대한 살선충력을 9개 농도(ppm) 수준에서 24웰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실내검정 하였다. 그 결과 카시아오일류(cassia oils)에서 높은 살선충력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인 cassia oil의 구성 성분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이 오일에 함유된 주요 성분들은 (E)-cinnamaldehyde, benzaldehyde, α-terpenen, ρ-cymene, limonene, linalool, α-terpineol, cinnamyl alcohol, eugenol, salicylaldehyde, α-copaene, (E)-cinnamic acid, cinnamyl acetate, β-caryophyllene 등이었다. 각 성분들의 살선충력을 조사하였는데, (E)-cinnamaldehyde가 15 ppm과 10 ppm 농도에서도 99%와 57%의 살선충력을 보였다. 그래서 이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들 42종을 대상으로 200, 100, 50, 25, 10 ppm 농도에서 구조에 따른 살선충력을 비교 검정하였는데, vinyl cinnamate와 (E)-methoxcycinnamaldehyde가 10 ppm에서 각각 83%와 44%의 살선충력을 나타냈다. 이는 살선충력을 갖는 화합물들이 기본 골격으로서 C6-C3를 필요로 하고 더불어 방향성을 갖는 알킨(alkene) 또는 알데하이드 그룹을 갖고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내실험을 통해 신나몬 속 식물체 정유들 또는 함유 화합물들이 토양 내 뿌리혹선충을 방제할 수 있는 잠재성이 매우 높은 식물군임을 확인하였다.
        163.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chanochemical process were employed to prepare the red phosphors (Y,Gd). The main factors affecting particle size, particle distribution,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the product were investigated in details. Particles sized around 200-600 nm are formed after intensive milling. The phosphor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photoluminescence spectrum. Results revealed that phosphors with different morphology, small particle size and high luminescence intensity could be obtained by mechanochemical process
        4,000원
        164.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nctional nanomaterial is expected to have improved capacities on various fields. Especially, metal nanoparticles dispersed in polymer matrix and metal nanofiber, one of the functional nanomaterials, are able to achieve improvement of property in the electric and other related fields. In this study, the fabrication of metal (Ag) nanoparticle dispersed nanofibers were attempted. The Ag nanoparticle dispersed polymer nanofiber and Ag nanofiber were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method using electric force. First, PVP/ nanofibers were synthesized by electrospinning in voltage with the starting materials (Ag-nitrate) added polymer (PVP; poly (vinylpyrrolidone)). Then Ag nanoparticle dispersed polymer nanofibers were fabricated to reduce hydrogen reduction at for 3hr. And Ag nanofibers were synthesized by the decomposited of PVP at for 3hr. The nanofibers were analyzed by XRD, TGA, FE-SEM and TE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g nanofibers could be applied in many fields as an advanced material.
        4,000원
        16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s foreign learners" acquisition of double particles in Korean. Some of the particles in Korean are jointly used with other particles and some are not, and the sequence of the particles determines the grammaticality of the double particles.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grammaticality of a combination of a noun and double particles. The participants" judgment of the grammaticality of the double particles and their reaction time for the judgment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Japanes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has a particle system similar to that of Korean performed better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han Chinese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shows no use of double particles. Th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regardless of their native languages, showed better judgment on the grammaticality of the use of double particl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type of double particles also affected the learners" judgment and that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of ungrammatical joint of adverbial particles, most of the participants, regardless of their native languages and their Korean proficiency, scored much lower than in the judgment of the other types of double particles. The analyses of the participants" reaction time for the judgment showed congruent results with those of their grammaticality judgement.
        6,400원
        16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적으로 이용 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임지에 버려지 는 수목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을 버섯 산업에 이용하게 된다면 그 경제적인 중요성 및 가치는 무한 하다고 판단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그린몰드 방제제의 제 조 및 사용은 해외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방제제 및 화학약품의 수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소비 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 균상에 침입하는 그린몰드의 생육 을 억제하는 유효화합물을 침엽수재 톱밥으로부터 획득하 기 위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목 추출 물로부터 그린몰드 생장 억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에 따른 그린몰드 생장 억제에 유효한 수목 원료 의 추출 조건을 규명하였다. 미송 및 낙엽송 톱밥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은 그린몰드 생장을 약 40% 수준에서 억제 하였다.
        16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신고버섯(Agrocybe chaxingu)은 주로 차나무나 활엽 수의 고사목 또는 뿌리에서 발생하며, 분류학적으로는 소 똥버섯과, 볏짚버섯속에 속하며 이뇨(利尿), 건위(健胃), 풍습(風濕), 눈을 밝게 하며 아미노산 및 무기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 일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 는 버들송이1호(Agrocybe aegerita)와는 속이 동일하나 유전자 분석 연구 결과 종이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시 험은 맛과 향기 등 기호도가 우수하여 재배가치가 높으나 국내에서 재배기술이 확립되어있지 않은 차신고버섯을 국 외에서 수집하여 균사배양특성, 종균 및 재배배지개발, 농 가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균사배양특성 조사 결과 합성 고체 배지는 YMA(Yeast extract malt extract agar), 균 사배양 온도는 25℃, 배지pH는 6.0이었으며, 기내배지의 적정 영양원으로서 탄소원은 Maltose 2.5%, 질소원은 Yeast extract 0.3%, 탄질율은 1:1, 무기염류는 KH2PO4 0.15%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하였 다. 병재배 배지로서 미송톱밥70+밀기울 30% 배지가 균 사밀도가 양호하고 수량이 850㎖병당 82.2g으로 비교적 많았으며 액체종균 제조기술로서 배양용 플라스크는 진탕 플라스크, 배양액량은 100㎖, 균사체디스크의 접종량은 4 ∼5개, 배양기간은 17일에서 건조균사체 생산량이 많았 다. 액체종균을 접종한 병재배 농가실증 시험에서는 액체 종균 접종배지가 톱밥종균 접종배지에 비해 초발이소요일 수가 길고, 발이율이 낮으며 수량이 감소하였다.
        170.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업적으로 이용 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임지에 버려지는 수목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을 버섯산업에 이용하게 된다면 그 경제적인 중요성 및 가치는 무한하다고 판단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그린몰드 방제제의 제조 및 사용은 해외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방제제 및 화학약품의 수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 균상에 침입하는 그린몰드의 생육을 억제하는 유효화합물을 침엽수재 톱밥으로부터 획득하기 위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목 추출물로부터 그린몰드 생장 억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에 따른 그린몰드 생장 억제에 유효한 수목 원료의 추출 조건을 규명하였다. 미송 및 낙엽송 톱밥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은 그린몰드 생장을 약 40% 수준에서 억제하였다.
        171.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차신고버섯(Agrocybe chaxingu)은 주로 차나무나 활엽수의 고사목 또는 뿌리에서 발생하며, 분류학적으로는 소똥버섯과, 볏짚버섯속에 속하며 이뇨(利尿), 건위(健胃), 풍습(風濕), 눈을 밝게 하며 아미노산 및 무기질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 일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버들송이1호(Agrocybe aegerita)와는 속이 동일하나 유전자분석 연구 결과 종이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시험은 맛과 향기 등 기호도가 우수하여 재배가치가 높으나 국내에서 재배기술이 확립되어있지 않은 차신고버섯을 국외에서 수집하여 균사배양특성, 종균 및 재배배지개발,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균사배양특성 조사 결과 합성고체 배지는 YMA(Yeast extract malt extract agar), 균사배양 온도는 25℃, 배지pH는 6.0이었으며, 기내배지의 적정 영양원으로서 탄소원은 Maltose 2.5%, 질소원은 Yeast extract 0.3%, 탄질율은 1:1, 무기염류는 KH2PO4 0.15%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병재배 배지로서 미송톱밥70+밀기울 30% 배지가 균사밀도가 양호하고 수량이 850㎖병당 82.2g으로 비교적 많았으며 액체종균 제조기술로서 배양용 플라스크는 진탕플라스크, 배양액량은 100㎖, 균사체디스크의 접종량은 4~5개, 배양기간은 17일에서 건조균사체 생산량이 많았다. 액체종균을 접종한 병재배 농가실증 시험에서는 액체종균 접종배지가 톱밥종균 접종배지에 비해 초발이소요일수가 길고, 발이율이 낮으며 수량이 감소하였다.
        176.
        2006.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oaerosols are airborne particles of biological origins including viruses, bacteria, fungi, and all varieties of living materials. In suitable hosts, bioaerosols are capable of causing acute or chornic diseases that may be infectious, allergenic, or toxigenic. Bioaerosols from outdoor air accumulate on filters of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 in large quantities and are able to multiply there under certain conditions. In this study, silver was coated on activated carbon fiber (ACF) filters by an electroless plating method, and their efficacy for bioaerosols removal was tested. Physical filtration and biological antimicrobial test were performed. SEM and XRD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morphology and components of ACF filters. Electroless silver-plated ACF filters showed antimicrobial efficiency, whereas pure ACF filters did not. It was found that electroless silver plating did not influence the physical filtration efficiency of ACF filters.
        4,000원
        178.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보건소의 물리치료실과 작업치료실의 개설 현황과 치료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작업치료사의 보건소 취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2005년 9월 1일부터 동년 11월 30일까지 전국의 242개 보건소 중에서 75개 보건소의 소장을 직접 만나 설문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0.0 version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보건소 취업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5년 9월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전국의 75개 보건소에 있는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하여 물리치료와 작업치료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75개의 보건소 중에서 70개(93.3%) 보건소에 물리치료실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작업치료실이 설치된 곳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물리치료사는 정규직 68명(77.3%)과 임시직 18명(20.5%), 기간제(1.1%)와 기타 1명(1.1%)으로 총88명이 고용되어 있지만 작업치료사는 임시직으로 1명이 고용되어 있다. 작업ㆍ물리치료실의 필요성은 물리치료실의 경우 응답자의 90.7%가 필요하다고 조사되었지만 작업치료실은 응답자 중 60%만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재활방문 서비스는 보건소 75곳 중 50곳(66.7%)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전문 인력으로는 간호사(35.5%), 의사(28.3%), 물리치료사(26.8%), 기타(8.7%) 순으로 조사되었고 작업치료사는 1명(0.7%)에 불과하였다. 재활방문서비스 대상자는 대부분 65세 노인들로 이들의 질병유형은 뇌졸중(40.2%), 만성퇴행성 질환자(33.9%), 치매912.5%), 척수 손상자(10.0%)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구의 결과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안 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역 보건법에서 보건소 내 작업치료실의 개설과 작업치료사의 고용과 역할에 관한 법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에서 작업치료의 참여를 위한 공청회 및 토론회를 개최하는 등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한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4,200원
        180.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온 통로 및 이온 농도의 변화는 수정 현상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온의 변화가 포유동물 배의 발달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난자가 수정 이후 배 발달 과정을 거치는 동안 나타나는 칼슘과 포타슘 이온의 변화를 전기생리학적 실험 기법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정 시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세포내 칼슘 농도 변화는 활성 전류(수정 전류)와 함께 동반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