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000

        1.
        202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arthquakes can damage transmission system components, leading to extensive blackouts and disrupting essential societal functions. In urban areas, interruptions in power supply critically impact sectors such as industry, healthcare, and telecommun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quantitative and systematic analysis. Most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assessing seismic fragility at the individual facility level, with insufficient probabilistic safety evaluations that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entire transmission systems.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connectivity-based seismic fragility and risk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systems in Busan and its neighboring regions, Ulsan and Gyeongnam. To achieve this, a network model of Busan’s transmiss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OpenStreetMap data. Damage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using seismic fragility curves from HAZUS and reports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amage state-specific risks were then quantitatively assessed by combining these fragility values with Busan’s seismic hazard curves. The results showed High Confidence and Low Probability of Failure values ranging from 0.049 g (Slight) to 0.273 g (Complete), with median fragility values ranging from 0.143 g (Slight) to 0.605 g (Complete). The annual risk for each damage state was determined to be 4.151×10-4/yr, 1.177×10-4/yr, 3.667×10-5/yr, and 9.391×10-6/yr.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assesses the seismic fragility of Busan’s transmission system, providing a practical basis for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and risk-informed decision-making related to regional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4,000원
        2.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25년 아시아 최초로 출범한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 '의 블루오션 전략을 ERRC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 로는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하고 루프랩부산의 핵심 이해관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거’ 측면에서 루프랩 부산은 작품 판매 중심의 일회성 행사 구조와 고정된 오프라인 전시장 중심 운영 모델을 제거하고, 공간 제약을 최소화한 디지털 플랫폼으로 전환하였다. ‘감소’ 측면에서 기술 중심 전시의 이벤트적 성격, 오프라인 중심의 높은 운영 비용, 예술가와 기술 전문가 간 수직적·비대칭적 협업 구조 등의 문제점을 줄였다. ‘증가’ 측면에서 AI 기반 큐레이션 시스템, 작품 관람자 반응 분석 기술, 블록체인 기반 작품 저작권 인증 및 거래 시스템 등을 통해 예술과 기술, 산업 간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화함으로 써 미디어 아트페어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였다. ‘창조’ 측면에서 미디어 아트페어가 단순한 예술 전시를 넘어 문화기술, 콘텐츠산업, 스마트시티 전략과 결합한 혁신적 허브이자 플랫폼 비즈니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루프랩부산은 미디어 아트페어가 정기적 개최를 통 한 제도화, 글로벌 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 확장, 지역 문화산업과의 융합 적 협력, 블록체인·AI 기반의 투명한 거래 생태계 구축을 통해 지속가능 한 플랫폼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7,800원
        3.
        202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SPCBD)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condition in adults, with early diagnosis often challenging due to nonspecific symptoms. This report presents a rare case of SPCBD in a 73-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nonspecific abdominal pain and fever. Imaging confirmed SPCBD associated with common bile duct stones. Following initial failure with percutaneous drainage, additional surgical intervention successfully managed the SPCBD and associated severe pancreatic abscess. We report this case to highlight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SPCBD in a patient with nonspecific abdominal symptoms.
        3,000원
        4.
        202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에 사용하는 십이지장경은 겸자 올림장치와 복잡한 내부 채널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위장관 내시경과 구조적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의 체액이나 유기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아 감염 전파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내시경 소독 지침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십이지장경 재처리에 특화된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감염 관리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 자격질관리위원회 산하 ERCP/EUS 연구회에서는 십이지장경에 특화된 전세척, 세척, 소독, 헹굼, 건조 및 보관에 대한 세부적인 재처리 지침을 개발하였다. 본 지침은 임상 진료 현장에서 십이지장경 재처리 절차를 표준화함으로써 감염 전파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 안전을 향상시키며, 지속적인 질 관리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4,600원
        20.
        202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화동 에칭 공정에서 발생한 철염 폐수를 전구체로 활용하여 마그네타이트(Fe3O4)를 합성하고, 이를 인산염 흡착 및 회수에 적용하였다. 합성 조건 최적화를 위하여 Box–Behnken Design를 적용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활용하여 회귀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을 통해서 도출한 최적 합성 조건은 Fe3+/Fe2+ 비율 1.7, NaOH 농도 0.7 N, 숙성 시간 86.3분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조건에서 합성된 마그네타이트는 10.9 mg-P g-1 마그네타이트의 인산염 흡착 용량을 나타내었다. 기기 분석 결과, 최적화된 마그네타이트는 고순도 결정 구조와 초상자성 특성을 나타냈으며, 비표면적과 반응성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속 회분식 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에 적용한 결과, 5회 반복 흡착–탈착 동안 평균 인산염 회수율은 46.6%로 나타났다. 유입 인산염 농도가 200 mg-P L-1의 고농도 조건에서도 회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마그네타이트가 인산염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안정성을 입증하였다.
        4,000원
        1 2 3 4 5